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한국문학 / 문집 / 이담속찬
이담속찬_앞표지L_24090_20250528

이담속찬

원서명 耳談續纂
지은이 정약용 (丁若鏞)
옮긴이 임미정
책소개

다산 정약용이 모으고, 번역하고, 편집한 속담집
여러 문헌에 산재된 속담을 한곳에 모아 정리한 한국 최초의 작업
단순한 속담집을 넘어 다산의 학문적 지향과 지식의 재구성 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저작

《이담속찬(耳談續纂)》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모으고, 번역하고, 주석을 붙여 정리해 1820년에 완성한 속담집이다. 다산의 수많은 저술 가운데 가장 먼저 상업 출판물로 제작되면서, 민간에 널리 알려진 다산의 대표 저술이다. 여러 문헌에 산재해 있는 속담을 한곳에 모아 정리한 한국 최초의 작업이기도 하다. 표제에서 ‘이담(耳談)의 속찬’이라 밝히고 있듯이, 《이담속찬》은 중국 문인 왕동궤의 《이담(耳談)》의 중국 속담 가운데 177개를 발췌·재편한 것에, 민간에서 우리말로 구전되던 속담 214개를 한역해 완성한 책이다. 우리 속담 214장에는 모두 운(韻)을 붙인 것이 특징이다. 4개를 제외한 모든 속담이 4언 2구의 시(詩) 형태로 리듬감 있게 번역되어 있다. 구전되던 우리말 속담의 운율이나 대구(對句) 구조를 고려한 다산의 기획과 번역 결과물은 다른 어떤 속담집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다산은 오랜 시간을 들여 여러 차례 원고를 수정해 《이담속찬》을 완성했다. 특히 서문에는 편찬 과정에서 참고한 서적과 속담을 수집하는 과정이 명시되어 있다. 《이담속찬》과 관련된 초고 성격의 자료도 전하고 있어, 《이담속찬》은 단순한 속담집을 넘어 다산의 학문적 지향과 지식의 재구성 방식을 탐색할 수 있는 중요한 저작이다.
《이담속찬》은 1820년에 편찬된 이래 여러 형태로 제작되었다. 대표적으로 다산의 문집에 다른 작품과 함께 수록되어 전하는 전서본 계열과 《이담속찬》만 단독으로 제작되어 유전된 단행본 계열이 있다. 그간 번역·소개되었던 《이담속찬》은 이본에 대한 고려 없이 오탈자가 많은 20세기의 활판본을 저본으로 했기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번 책은 제작된 시점과 완성도 면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료인 다산의 문집 《열수전서속집(洌水全書續集)》 속의 《이담속찬》을 저본으로 삼았다. 오랜 시간 《이담속찬》을 연구해 온 임미정 교수가 정확한 번역으로 다산이 의도했던 속담집의 원형을 소개한다.


 
200자평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모으고, 번역하고, 편집한 속담집. 다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먼저 상업 출판물로 제작되면서, 민간에 널리 알려진 다산의 대표 저술이다. ‘이담(耳談)의 속찬’이라 밝히듯이 중국 문인 왕동궤의 《이담(耳談)》의 중국 속담 가운데 177개를 발췌·재편한 것에, 민간에서 우리말로 구전되던 조선의 속담 214개를 한역해 완성했다. 그간 소개되었던 《이담속찬》은 후대에 제작된 부정확한 판본을 저본으로 했기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오랜 시간 《이담속찬》을 연구해 온 임미정 교수가 가장 정확한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다산이 의도했던 속담집의 원형을 살려냈다.


 
지은이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자(字)는 미용(美鏞), 호(號)는 다산(茶山)·사암(俟菴)·여유당(與猶堂)·자하도인(紫霞道人)·열수(洌水)·철마산초(鐵馬山樵) 등이 있다. 시호(諡號)는 문도(文度)다. 남인 가문 출신으로 정조(正祖) 때에 관료 생활을 시작했고, 서학(西學)에 관심을 가졌다는 이유로 전남 강진에서 18년간 유배 생활을 했다. 유배 기간 동안 육경 사서(六經四書)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경세유표(經世遺表)》·《흠흠신서(欽欽新書)》·《목민심서(牧民心書)》 등의 실학서를 집필했다. 유학 경전 연구의 결과는 《모시강의(毛詩講義)》·《상서고훈(尙書古訓)》·《주역사전(周易四箋)》·《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외에도 다수가 있고, 실용서의 성격을 지닌 《이담속찬(耳談續纂)》·《아언각비(雅言覺非)》·《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마과회통(麻科會通)》 등까지 다양한 방면의 저술이 현재 24종 전한다. 전서(全書) 형태의 문집으로는 다산이 직접 정리를 시도했던 《여유당집(與猶堂集)》과 후손이 편집한 《열수전서(洌水)》가 있지만 필사본으로 일부만 남아 있다. 1934년부터 1938년까지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76책(전154권)을 간행해 다산 저술의 집대성을 시도했다.


 
옮긴이

임미정은 연세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고,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시 선집의 내용 분석, 새로운 고전 자료에 대한 발굴과 소개, 허균의 저술 활동 전반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한시, 한시 비평, 문헌학이다. 저서로 《국조시산 연구》(보고사, 2017)·《이담속찬 연구》(보고사, 2017), 공저로는 《다산 필사본 연구》(사암, 2019)·《한국의 레트로 인문학》(보고사, 2021), 《조선야사의 계보와 전승》(민속원, 2025) 등이 있다.


 
차례

이담속찬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왕씨(王氏)의 《이담(耳談)》은 고금(古今)의 속담을 모은 것이다. 경서(經書)와 사서(史書)에 쓰여 있는 것도 빠진 것이 꽤 있어서 지금 다시 수록했고, 승지 석천(石泉) 신작(申綽)이 10여 장을 채록해 도와주었다. 이어 성호(星湖) 선생의 《백언해(百諺解)》를 생각해 보니 곧 우리나라의 속담인데 모두 운을 맞추지 않았다. 이제 운을 붙일 만한 것을 골라서 운을 붙이고, 이어서 또 빠진 것을 수록했다. 돌아가신 둘째 형님이 흑산도에 계실 때에 또 수십 장을 보내 주셨으므로, 지금 모두 합해 편집하고 이름을 《이담속찬(耳談續纂)》이라 했다. / 가경(嘉慶) 경진(庚辰, 1820) 봄에 철마산초(鐵馬山樵)가 쓰다.
– 〈서문〉 중에서

관을 파는 자는 해마다 역병을 바란다.
鬻棺者, 欲歲之疫.
……
《한서(漢書)》 〈형법지(刑法志)〉. ○우리나라 속담에 “곡식을 파는 자는 해마다 기근을 바란다”고 했다.
〈刑法志〉. ○東語云 : “積糶者, 欲歲之饑.”
– 41쪽 중에서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넣어야 짜다.
在灶之鹽, 擩之乃鹹.
……
사물의 문채가 비록 갖추어졌어도 사람의 공이 마땅히 중요하다는 말이다.
言物采雖具, 人功宜急.
– 78쪽 중에서



서지정보

발행일 2024.6.6
쪽수 176 쪽
판형 사륙판(128*188) ,  국배판(210*290)
ISBN(종이책) 979-11-430-0487-1   03810   18800원
ISBN(EPUB) 979-11-430-0488-8   05810   15040원
ISBN(큰글씨책) 979-11-430-0489-5   03810   39000원
분류 문집, 지만지한국문학
다산속담속담집아언각비여유당전서왕동궤이담속찬정약용채파유의
Facebook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성북동1가 35-38)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 소개
    • 컴북스 도서
    • 주제로 찾기
      •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
      • 저널리즘
      • 광고·홍보·마케팅
      • 경제경영
      • 문화
      • 영화
      • 정기간행물
      • 한국어
    • 시리즈로 찾기
      • 한국시나리오걸작선
      • 한국의 저널리스트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컴북스이론총서
      • 만화웹툰이론총서
      • 만화웹툰작가평론선
      • 저널리즘총서
      • 리얼미디어
      • 컴북스팸플릿
      • 아트코리아랩총서
      • 인공지능총서
    • 자료실
    • 지만지 소개
    • 지만지 도서
    • 주제로 찾기
      • 문학
      • 사회
      • 인문
      • 역사
      • 예술
      • 자연
    • 지만지드라마 소개
    • 지만지드라마 도서
    • 장르로 찾기
      • 희곡
      • 연극이론
    • 지만지드라마닷컴
    • 지만지한국문학 소개
    • 지만지한국문학 도서
    • 장르로 찾기
      • 시
      • 소설
      • 수필
      • 평론
      • 문집
      • 동화
      • 동시
    • 시리즈로 찾기
      • 초판본 한국소설문학선집
      •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
      • 초판본 한국문학평론선집
      • 한국동화문학선집
      • 한국동시문학선집
      • 한국수필선집
      • 육필시집
      • 지역 고전학 총서
      • 한국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
      •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 학이시습 소개
    • 학이시습 도서
    • 주제로 찾기
      • 인적 자원 개발
      • 새 시대의 공교육
      • 교사를 위한 수업 매뉴얼
      • 학습 이론&역사
      • 진로설계학습
      • 일상에서배우기
      • 자서전·전기
      • 문해 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지식공작소 소개
    • 지식공작소 도서
    • 주제로 찾기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오디오북스 소개
    • 오디오북스 도서
    • 시리즈로 찾기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세계환상문학걸작선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큰글자책 소개
    • 큰글자책 파트너사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