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동화문학선집’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100명의 동화작가와 시공을 초월해 명작으로 살아남을 그들의 대표작 선집이다.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아동문학연구센터 공동 기획으로 7인의 기획위원이 작가를 선정했다. 작가가 직접 자신의 대표작을 고르고 자기소개를 썼다. 평론가의 수준 높은 작품 해설이 수록됐다. 깊은 시선으로 그려진 작가 초상화가 곁들여졌다. 삽화를 없애고 텍스트만 제시, 전 연령층이 즐기는 동심의 문학이라는 동화의 본질을 추구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편저자가 작품을 선정하고 작가 소개와 해설을 집필했으며,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다.
우리나라의 아동문학사에서 동화는 동시적인 상상력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 정원석의 초기 동화들은 이전에 창작한 동요들을 개작하면서 쓰였다. 그의 동화 세계를 특징짓는 특유의 서정적인 문체는 이와 깊은 연관이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설화, 의인화된 동물의 등장, 상호 조응하는 세계관 등이 나타나는 것도 우리 동화 미학의 동시적 상상력의 영향성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정원석은 이러한 전통적 동화 미학을 이후에 다양한 소재의 도입과 사회 문제들에 대한 성찰, 이국적인 색채의 가미 등을 통해 발전시킨다.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눈이 온 수풀>, <달밤과 까치>, <꽃 내음이 하나 가득 차 있었다>, <꼬제뜨의 장화> 등은 이런 정원석 동화 미학의 정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취를 인정받아 정원석은 새싹문학상과 소천동화문학상을 받았다.
정원석 동화를 이해하는 몇 가지 키워드는 회복과 치유, 화해다. 그리고 동화의 출발은 긍정의 정신이다. 초기의 작품들은 서정성이 두드러지면서 긍정적 정신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 그의 동화에서 긍정의 정신은 삶 속에서 빚어진 비극적 사건들로 한 번 잃게 된다. 그리고 회복과 치유, 화해의 사건들과 조우하게 되면서 되찾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계기적 사건들은 자칫 잘못하면 단순화될 수 있는데 작가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야기의 힘을 빌린다. 그런 까닭에 점점 서정성보다 서사성이 강조된다.
초기작에 속하는 <눈이 온 수풀>, <달밤과 까치>는 동시적 상상력에 기초한 긍정의 정신이 잘 드러나난다. <눈이 온 수풀>은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 눈밭에서 발자국이 만드는 ‘소복소복’ 소리를 후렴구와 같이 반복하면서 엄마 다람쥐가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서정적으로 그려 내고 있다. 이를 통해 설원의 추위 속에서 아이들에게 먹일 양식을 구해 온 엄마 다람쥐의 귀갓길을 아름답게 형상화하면서 엄마 다람쥐가 아기 다람쥐들을 사랑하는 마음을 온 세계가 긍정하고 있는 것을 보여 준다. >달밤의 까치>는 견우와 직녀 설화를 까치의 입장에서 새롭게 이야기하는 동화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의 정신은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관으로 느껴질 수 있다. 한국이 완전히 서구화될 것이란 상상력에서 출발한 작품들 중 하나인 <꽃 내음이 하나 가득 차 있었다>는 이러한 난관에 대한 정원석 식의 답을 보여 준다. 그는 여기에서 돌아온 목소리와 노래라는 기적과 같은 사건을 통해 치유와 회복의 사건을 이야기한다. 동심의 회복을 통해 동화적 세계, 긍정적 정신을 복구하는 치유와 회복의 서사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동일한 모티브는 <두 노인 이야기>와 <산에는 꽃 피네>에도 나타난다. 여기서 화해가 서사의 중심으로 나타난다. <산에는 꽃 피네>는 한국전쟁 때의 이야기를 직접 다루고 있다. 오랜 후에 우연한 계기로 서로의 생존을 확인하게 된 두 노인이 편지를 나누며 과거의 사건을 이야기하는 단편이다. 이들이 전쟁 중에 화해를 하고 서로의 생존을 빌어 줄 수 있었던 것은 어린 시절의 추억 때문이다.
정원석은 동심의 회복이 우리가 살아가며 겪는 많은 갈등과 그 갈등으로 인한 상처들을 이겨 내고 서로 화해할 수 있는 힘이라고 생각한다.
200자평
정원석의 동화에는 특유의 서정적인 문체가 있다. 그의 동화의 출발은 긍정의 정신이다. 작가는 자신이 가진 전통적 동화 미학을 이후에 다양한 소재를 도입하고 사회 문제에 대해 성찰하고, 이국적인 색채를 가미하면서 발전시킨다. 이 책에는 대표작 <눈이 온 수풀> 외 13편이 수록되었다.
지은이
1932년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태어났다. <눈이 온 수풀>이 ≪어린이 다이제스트≫에 실려 등단했다. 1977년 동화집 ≪달밤과 까치≫를 출간하고 새싹문학상을 받았다. 제2동화집 ≪꽃 내음이 하나 가득 차 있었다≫를 출간하고 소천아동문학상을 받았다. 장편 ≪저기 저 맑고 푸른 하늘≫, 동시집 ≪귓속말≫, ≪자작나무 숲길에서≫, 제3동화집 ≪굴뚝 속의 찐꽁이≫, ≪달빛 밝은 강물 위에 꽃잎은 흐르고≫, ≪우산 셋이 나란히≫ 등을 출간했다.
해설자
197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박사 과정에 있다. 아동문학에 관심을 두고 일반 문학과 함께 연구하고 있다. 2009년 ≪문학사상≫ 신인상으로 등단해 시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차례
작가의 말
눈이 온 수풀
달밤과 까치
달님과 호두
꼬제뜨의 장화
꽃 내음이 하나 가득 차 있었다
꽃 내음을 파는 꽃 가게
아기 코끼리 바봉
두 장의 음악회 초대권
내재봉소 할머니
두 노인 이야기
빛과 바람
산에는 꽃 피네
꽃을 좋아한 왕자님
등왕각의 추억
해설
정원석은
김학중은
책속으로
1.
꼬제뜨는 벗은 장화를 가슴에 꼭 껴안고 울기 시작한 것입니다. 부인은 꾸짖으며 억지로 뺏으려 했습니다. 샘 할아버지는 딱해서 가만히 보고만 있다가 이 꼬제뜨가 정말 친손녀딸인 것처럼 느껴지고 불쌍해졌습니다.
‘우리 꼬제뜨도 어디선가 이런 일을 당한다면 얼마나 슬플까?’
샘 할아버지는 물끄러미 장화와 꼬제뜨의 얼굴을 번갈아 보았습니다. 그러고는 마침내 결심하고 말했습니다.
“꼬제뜨야, 울지 마라. 그 장화는 네게 줄 테니.”
부인은 제 귀를 의심하는 것처럼 샘 할아버지를 쳐다보았습니다.
“괜찮습니다, 부인. 우리 손녀딸 것은 새로 짓기로 하지요. 이 장화는 이 할아버지가 선물하지요.”
샘 할아버지는 가슴이 뿌듯해서 하얀 머리를 끄덕이며 되풀이 말했습니다. 그러고는, 꼬제뜨를 번쩍 치켜 안으면서 말했습니다.
“가끔 이 앞을 지나실 적이면 꼬제뜨를 데리고 들러 주십시오. 꼬제뜨야, 할아버지와 약속하겠니?”
-<꼬제뜨의 장화> 중에서
2.
“꽃들이 모두 예쁘고 향긋해서 고를 수가 없어요.”
아기 바람이 망설이며 말했습니다.
“모두 마음에 드시면 골고루 다 가져가세요.”
“고맙습니다. 그럼 조금씩 골고루 다 주세요.”
“네에, 알았습니다.”
개구리 아가씨는 거미줄 같은 그물로 꽃 내음을 모읍니다. 이리 갔다 저리 갔다 바쁘게 돌아다닙니다.
여기는 꽃 내음을 파는 꽃 가게입니다.
아무리 손님이 많아도 꽃은 줄지 않습니다. 아무리 꽃 내음을 많이 팔아도 없어지지 않습니다.
-<꽃 내음을 파는 꽃 가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