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스포츠 매니지먼트는 20세기 경영의 역사에서 비롯됐다. 1869년 최초로 미국 프로야구 구단이 창단돼 본격적인 프로 스포츠 산업이 시작됐다. 하지만 스포츠 경영이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학문적으로 의미를 부여받게 된 것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다. 국내에서도 프로 스포츠는 1982년 6개의 프로야구 구단이 출범하면서 시작됐지만, 본격적으로 스포츠 경영에 대해 논의한 지는 10여 년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한 경영의 기능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 책은 스포츠 경영의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급변하는 시대에 곧 도래할 주제를 접목해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 성공적인 스포츠 조직 경영을 위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지은이
문개성
원광대학교 스포츠산업·복지학과 교수다. 공학사, 예술학 석사, 체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스포츠산업경영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스포츠 매니지먼트 분야에서 박사후 연구과정을 거쳤다.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외래교수를 역임했고,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에 재직했으며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이사로 활동했다. Managing Service Quality,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 등의 SSCI 국제 저널과 ≪한국체육학회지≫, ≪체육과학연구≫ 등의 연구등재학술지에 주저자 논문 20여 편을 발표했다. 저서로 『스포츠 인문과 사회』(2015)가 있다. 한국체육학회 영문 저널 편집위원, 태권도진흥재단 마케팅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차례
01 스포츠 산업
02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해
03 스포츠 매니지먼트 환경
04 스포츠 매니지먼트 전략
05 스포츠 조직화
06 스포츠 조직의 인적자원
07 스포츠 조직의 리더십
08 스포츠 조직의 동기부여
09 스포츠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10 스포츠 조직 평가와 관리
책속으로
디센시 등(DeSenci et al., 1990)은 스포츠와 관련된 상품 혹은 서비스를 판매하는 조직 업무에 관한 계획, 조직, 감독, 예산을 조정하고 평가하는 기술의 조화를 이루는 분야를 스포츠 경영이라 정의했다. 또한 첼라두라이(Chelladurai, P., 1994)는 스포츠 상품의 효과적인 생산과 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과 관련된 기술 등을 상황에 맞게 잘 조화시키는 분야로 정의했다.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해” 중에서
국내 스포츠 에이전트 제도에 대한 중앙 정부 차원의 논의는 유명선수와 소속팀의 갈등으로 번진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국가대표 여자 배구팀의 김연경 선수가 원 소속팀이었던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서 4시즌을 보내고 일본과 터키리그에 3년간 활동한 이후 발생했다. 드래프트에 지명된 후 6시즌을 뛴 것으로 간주한 선수는 FA권리를 행사하려고 했지만, 원 소속팀에선 임대기간을 자신들의 팀에서 활동한 것으로 보지 않았다.
“스포츠 조직의 인적자원” 중에서
국가 혹은 도시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유치하기 위해 개최지의 선정 과정에서 로비의 유혹이 있다. IOC와 FIFA 재정의 주 수입원은 TV 중계권과 스폰서십이다. 세계적 스포츠 에이전시도 올림픽이나 월드컵 행사 기간 중에 이 수입원의 권한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전방위로 로비를 해야 한다는 유혹에 빠진다.
“스포츠 조직 평가와 관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