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되살아나는 전체주의,
급진 민주주의로 맞서라
전 세계적으로 극우화 경향이 거세다. 권위주의와 국수주의를 추종하고 차별과 배제를 당연시하는 세력이 민주주의의 제도와 문화를 뒤흔들고 있다. 21세기 신파시즘의 대두에 우리는 어떻게 맞설 수 있을까.
포스트-마르크스주의를 이끈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정치이론은 그 대응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라클라우가 주창한 ‘급진 민주주의’는 기성 질서에서 채 가시화하지 못하던 다양성과 차이를 사회 인식의 지평 위에 드러내고 새로운 정치 주체와 질서를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기획이다. 폐쇄·차별·특권을 주장하며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전체주의에 맞설 방안을 제시한다.
이 책은 라클라우 정치이론의 토대를 이루는 ‘헤게모니’, ‘포퓰리즘’, ‘비어 있는 기표’, ‘등가와 차이’ 등 주요 개념을 해설하고, 포스트-마르크스주의와 급진 민주주의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 세계적 극우화·전체주의화 경향에 맞설 사유의 틀을 얻을 수 있다.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rnesto Laclau, 1935∼2014)
정치이론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했으며, 대학 시절 아르헨티나 사회당을 중심으로 학생 운동을 이끌었다. 1966년 군부에 의해 대학 강사직에서 쫓겨난 후 영국으로 건너가 박사 학위를 받았고, 아르헨티나에서 군사 정권이 재출현하자 영국에 남게 되었다. 이후 대학에서 ‘이데올로기와 담론분석’ 석박사 과정을 주도하면서 에식스학파(Essex School)를 자연스레 형성했다. 2000년대부터는 아르헨티나 키르츠네르 정부, 스페인 급진좌파 정당 포데모스의 정치적 자문을 맡기도 했다. 2014년, 스페인 세비야에서 포데모스와 워크숍을 하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제3세계 정치적 맥락과 서구 마르크스주의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포퓰리즘, 헤게모니, 급진 민주주의 등의 정치 개념과 담론 이론,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를 발전시켰다. 주요 저작으로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해방(들)[Emancipation(s)]≫, ≪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On Populist Reason)≫ 등이 있다.
200자평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가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사상을 소개한다. 라클라우 정치이론의 토대를 이루는 ‘헤게모니’, ‘포퓰리즘’, ‘비어 있는 기표’, ‘등가와 차이’ 등 주요 개념을 해설하고, ‘포스트-마르크스주의’와 ‘급진 민주주의’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은이
김내훈
작가.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 박사 과정 중이다. ≪프로보커터: ‘그들’을 도발해 ‘우리’를 결집하는 자들, 주목경제 시대의 문화정치와 관종 멘털리티 연구≫와 ≪급진의 20대: Kᐨ포퓰리즘, 가장 위태로운 세대의≫를 썼고 ≪인싸를 죽여라: 온라인 극우주의, 혐오와 조롱으로 결집하는 정치 감수성의 탄생≫을 한국어로 옮겼다. 포퓰리즘 담론과 문화정치에 관심이 있다.
이승원
영국 에식스대학교 “이데올로기와 담론분석(Ideology and Discourse Analysis)” 과정에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시시한 연구소, 커먼즈네트워크에서 활동하고 있다. 급진 민주주의, 사회운동, 정치 변동, 포퓰리즘, 커먼즈, 도시 정치 등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 ≪민주주의≫, ≪커먼즈의 도전≫(공저), ≪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 ≪좌파 포퓰리즘을 위하여≫, ≪녹색 민주주의 혁명을 향하여≫, ≪비판적 시민성을 위한 민주주의 교육≫ 등이 있다.
이준형
미디어 문화연구자.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한국의 미디어 포퓰리즘 정치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국언론노동조합에서 정책 전문위원으로 일하고 있고,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의 연구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최근에는 문화연구, 포퓰리즘 이론, 국가론을 이론적으로 종합하고 분석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현우식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반본질주의 정치학을 주제로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고 있다.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담론과 이데올로기’, ‘커먼센스 인 커먼즈’, ‘다른 정치의 본령’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
엮은이
해설자
옮긴이
감수자
낭독자
차례
민주주의의 경계 위에 선 이단아
01 포스트ᐨ마르크스주의
02 담론
03 정치의 우위성
04 헤게모니
05 포퓰리즘
06 신화와 사회적 상상
07 적대와 탈구
08 비어 있는 기표
09 등가와 차이
10 급진 민주주의
목록
책속으로
라클라우는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의 지적 기획이 “‘포스트’-마르크스주의라면, 그것은 또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이기도 하다”라고 말한다(Laclau & Mouffe, 1985). 전자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는 고전 마르크스주의와 서구 마르크스주의를 관통하는, 정치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의 본질주의적 패러다임을 벗어나려 하는 이론적 기획을 의미한다. 후자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는 계급 적대로 환원되지 않는 당대의 투쟁에 반영된 열망을 해석하고, 이로부터 대안적 세계상을 제시하려 한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재해석된 마르크스주의라고 이해할 수 있다.
_ “01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중에서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에서 라클라우와 무페는 마르크스주의의 토대-상부 구조 모델을 탈구축해 헤게모니 개념의 새로운 이론적 지평을 제시하려 한다. 이후 라클라우 사상에서 헤게모니 개념은 마르크스주의적 패러다임을 넘어 정치적 접합 일반의 논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확장된다. 후기 사상으로 갈수록 헤게모니 개념은 특수한 요구들(demands)이 보편적인 요구들과 맺는 관계를 사고하기 위한 개념으로 활용된다. 마르크스주의에서 사회의 부분적 계급(노동자 계급)의 해방은 곧 전체 사회의 해방을 의미했으며, 둘 사이의 관계는 이론적·정치적으로 보증되었다. 그러나 라클라우 사상에서는 이러한 보증 없이 어떻게 부분적 해방의 요구들이 보편적 해방들(emancipations)의 요구들로 만들어지면서 정치적 주체를 구성하는지가 다루어진다.
_ “04 헤게모니” 중에서
포퓰리즘은 특정 집단의 특정한 운동이나 특정한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정치적 논리’다. 라클라우에 따르면 사회적 논리는 어떤 대상이 표상 가능하고 어떤 대상이 불가능한지 가르는 지평을 그리는 규칙 체계다. 정치적 논리는 그다음 층위, 사회적인 것의 제도화와 관련된다. 사회적인 것의 제도화란, 앞서 말한 요구들의 경합과 접합의 결과로 형성된 특정 정치적 공동체의 정체성이 제도권 정치의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것을 가리킨다. 사회적인 것의 제도화는 정해진 규칙이 없고 사회적 요구들의 다양한 등가적 접합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열려 있다. 접합의 양태에 따라 제도화된 ‘타자’의 배제와 전선의 구축이 발생한다. 라클라우는 이러한 기제가 작동할 때 그 운동이 어떤 이데올로기적 내용을 가지든 그것이 포퓰리즘이라고 말한다.
_ “05 포퓰리즘” 중에서
라클라우는 비어 있는 기표 개념을 통해 ‘어떻게 특수한 요구들이 보편적·인민적 요구를 대표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게 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한다. 기표는 어떠한 의미와 접합되기 전까지는 어떠한 기의·담론과도 접합될 수 있는 ‘부유하는 기표’이고, 어떠한 담론과 접합된 이후에도 의미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경향적으로 비어 있는’ 기표다. 따라서 특수한 요구와 접합되어 있는 기표더라도 다양한 요구들을 등가 사슬로 묶어 내고 인민적 요구를 보편적으로 대표할 수 있다.
_ “08 비어 있는 기표” 중에서
정치적 차원에서 ‘급진’은 정치 질서의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음을 의미하지 않고, 오히려 이러한 전통적인 자코뱅식 급진성을 극복하려 하는 특징을 띤다. 분명 민주주의는 서로 다른 다양한 이해 집단이나 주체들이 갈등상태를 벗어나 가장 조화로운 완벽한 상태로 통일되어 가는 과정을 가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정치사회적 통일체를 구성해 가는 과정이 주체들의 다양성과 차이를 제거하고 자유와 평등의 상태를 제약하면서 새로운 주체의 참여를 이미 결정된 과정에 맞추고 제한하려 한다면, 그 과정은 민주적일 수 없다. 즉 라클라우에게 민주주의를 급진화한다는 것은 특정한 통일체를 민주적으로 구성하는 구성의 논리와, 이 특정한 통일체가 영속적으로 고정되지 않은 채 다양성과 차이 그리고 자유와 평등의 영역을 끊임없이 확장하도록 하는 전복의 논리, 이 둘 중 어느 한쪽으로 일방적으로 치우치지 않게 필연성이 아닌 우연성 차원에서 긴장과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_ “10 급진 민주주의” 중에서
추천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