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만화웹툰총서를 소개합니다.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9년 말까지 각각 50종이 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웹툰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대중 서사체로 드라마, 영화, 연극 등 다양한 형태로 매체 전환되고 있다. 이는 웹툰 서사의 소구력이 웹툰의 독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매체의 경계를 뛰어넘어 동시대의 한국 대중에게 보편적으로 향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책에서는 한국 웹툰이 서사를 구현하는 방식을 공간성 개념과 가능세계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툰 서사의 변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로써 한국 웹툰이 대중서사로서 지니는 의미와 대안 담론으로서의 독자적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지은이
양혜림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융합콘텐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0년 웹툰 <세실자유경제고등학교>가 대원웹툰대상에 당선되며 스토리 작가로 데뷔한 후 만화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 연구와 창작 양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결혼해龍>(2016), 『아멘티아』(2015), <왕자님이 있다>(2014), 『국립자유경제고등학교 세실고 2학기』(2014), 『국립자유경제고등학교 세실고』(2011) 등의 기획 및 스토리를 맡아 연재했으며 이 중 <결혼해龍>은 중국과 대만에서, 『아멘티아』는 일본에서 동시 연재 및 출간되었다. 저서로 일본에서 출간된 『なぜ学校でマンガを教えるのか(왜 학교에서 만화를 가르치는가)』(공저, 2019)가 있으며, 연구 논문으로는 “브랜드웹툰의 서사 구조 연구”(2017), “연작 웹툰 『2013 전설의 고향』에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성 연구”(2014) 등이 있다.
차례
01 서사체로서의 웹툰
02 허구 세계의 층위
03 브랜드웹툰
04 성장 서사
05 장소 정체성
06 소외 공간
07 배경 공간
08 애착 공간
09 서사 공간의 전환
10 대안 담론으로서의 웹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_유해영
공공 캐릭터_류유희
그래픽 노블_백란이
넥스트 콘텐츠, VR 웹툰의 프레즌스_정성식
도시와 캐릭터_류유희(근간)
마법소녀_세종대학교 융합콘텐츠산업연구소(근간)
만화 팬덤 문화_이선영(근간)
만화, 애니메이션 그리고 게임의 OSMU전략_김용관 · 이광현
만화비평 _강신규(근간)
문화 원형으로 본 애니메이션_임용섭
브랜드웹툰_류유희(근간)
비디오 게임의 역사_김용관 · 이광현
성인 만화 계보학_조익상(근간)
슈퍼 빌런_이선영
스핀오프_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_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_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영웅 메커니즘_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_류재형
에세이 만화_조윤숙
예술로서의 만화_이화자(근간)
웹툰 열 가지로 보기_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_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_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_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_채희상
웹툰의 서사 공간_양혜림
웹툰의 여성 캐릭터_박성희(근간)
웹툰의 영화 트랜스미디어 전략_이상원(근간)
웹툰 큐레이션_강태진(근간)
의인화 캐릭터_신홍주
이모티콘 커뮤니케이션_이선영(근간)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의 확장_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_석향란
지능형 웹툰_한창완(근간)
캐릭터 라이선싱_김영재 · 김종세
콘텐츠 카니발_이선영(근간)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_황선태
키덜트 캐릭터_백란이
판타지 복합장르 애니메이션의 구조_이혜원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_황선길
한국 근대 만화사 가이드_윤기헌
한국 웹툰 공간 스토리텔링_장은진(근간)
한국 일상툰에 나타난 풍자_김유나(근간)
영화로 만들어진 한국 만화_박석환(근간)
할리우드 장편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 구조_박재우
4.0시대의 애니메이션 브랜드 전략_박란
4차 산업혁명 시대, 만화와 기술의 융합_양지훈
BL과 GL_류유희(근간)
VR 영상 콘텐츠_김상일 · 유미 ·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경옥_김소원
강도하_박기수
강철수-김성훈(근간)
강 풀_이승진
고우영_김봉석
고행석_김성훈
곽백수_채희상
길창덕_박인하
김동화_김성훈
김성환_방희경
김수정_장은진
김 진_김소원
김진태_서찬휘
김칸비_구자준
김혜린_한상정
네온비_김은정
무적핑크_김소원
문정후-한창완(근간)
박기정_서은영
박봉성_정재현
박수동_박기수(근간)
박흥용_박기수(근간)
박희정_이주라
방학기_박기수(근간)
백성민_박석환(근간)
스노우캣_오영진(근간)
신문수_장은진
신일숙_김은혜
양영순_이기진
원수연_장민지
윤승운_서찬휘
윤태호_박기수
이 빈_김소원
이두호_박인하
이말년_홍난지
이상무_박석환 · 김성훈
이원복_박세현
이은혜_허윤
이정문_서은영
이충호_송경원(근간)
이현세_박인하
이희재_김종옥
조 석_김성훈
주호민_서은영
천계영_하효숙
하일권_한상정
한승원_류수연
한혜연_서찬휘
허영만_박석환
황미나_이기진
책속으로
장편 연재 웹툰의 서사는 일견 로맨스, 액션, SF, 판타지 등 전통적인 출판만화의 장르 구분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술했듯 출판만화의 컷을 세로로 나열해서 인터넷에 업로드한 것에 불과하다는 입장도 있다. 그러나 ‘세로로 나열’해서 ‘인터넷에 업로드’했다는 디지털 매체로서의 특성은 일상성과 공유성, 상호작용성(박인하, 2015)이라는 강력한 변별 자질을 웹툰에 부여한다. 미디어가 곧 메시지라는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의 말처럼 매체는 텍스트의 일부로서 존재하며, 미디어와 콘텐츠의 완전한 분리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매체적 특성은 텍스트에 영향을 주어 서사적 특성으로 발현된다. 형식과 내용이 통합된 서사체로서 웹툰의 서사 구조가 갖는 특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이유다.
-‘웹툰은 이야기다’ 중에서
마리로르 라이언(MarieᐨLaure Ryan) 역시 이런 관점을 따르고 있는데, 텍스트는 하나의 우주(textual universe)이기 때문에 서사에서의 사실(fact) 여부 역시 텍스트가 속한 가능 세계(possible world) 내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능세계론은 본래 철학과 윤리학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온 형식 모델이나 라이언은 이를 적극적으로 서사학에 적용하고 있다. 라이언의 이론에서 우리가 태어난 현실 체계(system)이자 텍스트의 창작가가 위치한 세계인 ‘실제 세계(actual world)’와 ‘텍스트의 실제 세계(textual actual world)’는 명확히 구분되는데, 흥미로운 점은 ‘텍스트의 실제 세계’라 할지라도 ‘텍스트 우주’의 완전한 상이라고는 볼 수 없다는 부분이다. 우리 개인이 인지하는 현실 체계가 현실 우주의 전체와 완벽하게 동일하다고 볼 수 없듯 텍스트에 그려지는 세계상 또한 그러하다. 텍스트 우주 내에는 무수한 텍스트 세계들이 있으며, 그중 하나가 ‘실제(actual)’로 지정되어 독자에게 ‘텍스트의 실제 세계’로 인식된다.
-‘허구 세계의 층위 ’ 중에서
성장 서사는 문학의 개념으로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한용환(2015)은 “유년기에서 소년기를 거쳐 성인의 세계로 입문하는 한 인물이 겪는 내면적 갈등과 정신적 성장,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각성의 과정을 주로 담고 있는 작품”으로, 나병철(2007)은 “미성숙한 소년, 청년 주인공이 자아의 내적 성숙을 통해 사회적 공동체와의 화해를 모색하는 작품”으로 각각 정의하고 있다. 한편 독일에서는 역사적으로 ‘빌둥스로만(Bildungsᐨroman)’을 중요한 서사 장르로 다루고 있는데, 이는 주인공이 내면의 성숙 과정을 거쳐 조화로운 완성의 단계까지 이르는 소설로 ‘성장소설’로 번역된다. 빌둥스로만의 전통적인 주인공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자아를 발견하고 완성해 간다.
-‘성장 서사 ’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