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쇼펜하우어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세계를 표상의 세계라고 규정하는데, 그에 따르면 존재하는 세계의 모든 사물들은 우선적으로 표상으로서 드러나게 된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과율에 의해서 파악되는 세계는 나의 표상인데, 이러한 표상의 세계는 충분근거율에 의해서 설명할 수 있는 세계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상의 세계는 나에 의해서, 즉 인식하는 주관에 의해서 파악되는 세계이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이러한 주관은 모든 현상의 세계, 즉 표상의 세계에서는 주인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관은 지성(Intellekt)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데, 지성은 표상의 세계를 이끌어가는 주인공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성에 의해서 파악되는 세계는 칸트가 말하는 물자체의 세계와 같은 것이 아니라 단지 표상의 세계일 뿐이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이러한 표상의 세계는 제한적인 세계다. 지성에 의해서 파악되는 세계의 뒤편에는 본래적인 세계인 의지의 세계가 있는데, 이 세계는 지성에 의해서 또는 주관에 의해서는 결코 파악할 수 없는 세계이다. 쇼펜하우어는 오히려 주관이나 지성은 의지에 끌려 다닐 뿐이라고 비판한다.
그는 칸트를 비롯한 많은 철학자들이 인간의 지성 또는 이성을 넘어서 있는 세계가 사실은 의지의 세계라는 점을 간과했다고 비판한다. 이런 점에서 그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우리가 표상의 세계에만 머물러 있을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의지의 세계가 갖고 있는 본성과 특징들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야만 하며 이러한 의지의 세계에 얽매여 있는 인간의 맹목적인 삶에의 의지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그의 독특한 주장들을 제시하고 있다.
200자평
쇼펜하우어는 우리가 접근하는 세계는 표상의 세계일 뿐이며, 세계의 진정한 본질은 살기 위한 맹목적인 의지라고 말한다. 고통스럽기만 한 인간의 삶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과연 존재하지 않는 것인지를 규명한다.
지은이
1788년 단치히에서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자주 여행을 했다. 그러나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충격을 받았으며, 이후에는 문필가로서 사교적이었던 어머니와 갈등을 겪었다. 처음에는 괴팅겐 대학에서 자연과학과 의학을 공부하다가 철학으로 관심을 돌려 베를린 대학에서 본격적으로 철학연구를 했다. 쇼펜하우어는 당시의 사상과는 다른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구축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사상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 잘 드러나 있다.
한때 베를린 대학에서 사강사로 활동하며 강의를 했지만 당시 철학계를 주도하던 헤겔과의 갈등, 그리고 그의 의지의 철학에 대한 사람들의 무관심으로 인해 강의가 실질적으로 개최되지는 못했다. 특히 강단철학(Schulphilosophie)에 대한 거부감을 가져 철학 강의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 이후 베를린에 콜레라가 발생하자 프랑크푸르트로 이주해 살다가 1860년 사망했다.
옮긴이
건국대 미생물공학과, 동국대 철학과, 건국대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 튀빙겐 대학에서 철학과 종교학을 수학하였으며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국대 강사, 국민대 교양과정 강의전담교수를 거쳐 현재 제주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니체와 전통 해체≫, ≪철학과 철학자들≫, ≪인간과 실존≫, ≪삶과 실존철학≫, ≪현대철학의 이해≫, ≪쇼펜하우어의 철학≫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아도르노의 하이데거 비판에 대한 고찰> 외 다수가 있다.
차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1판 서문
제1권 표상으로서의 세계에 대한 첫 번째 고찰
충분근거율에 근거한 표상: 경험과 학문의 대상
제2권 의지로서의 세계에 대한 첫 번째 고찰
의지의 객관화
제3권 표상으로서의 세계에 대한 두 번째 고찰
충분근거율에 의존하지 않는 표상: 플라톤의 이데아, 예술의 대상
제4권 의지로서의 세계에 대한 두 번째 고찰
자기인식의 도달에 있어서 삶에의 의지의 긍정과 부정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세계는 나의 표상이다.’ 이것은 살아 있으면서 인식하는 모든 생명체에게 적용되는 진리다. 그러나 인간만이 이러한 진리를 반성적으로, 추상적으로 의식할 수 있는데, 인간이 진정 그렇게 의식한다고 하면 그는 철학적인 신중함을 갖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인간이 태양과 땅을 아는 것이 아니라 태양을 보는 눈 그리고 땅을 느끼는 손을 아는 것이다.
-31쪽
철학은 현존하는 것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 구체적으로 감정으로서 모든 사람에게 이해시키면서 세계의 본질을 명확하게 하고, 이성의 추상적인 인식으로 가져가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을 할 수가 없다. 그러나 철학은 이것을 모든 가능한 관계 속에서 모든 관점에서 가져가는 것이다.
-104~10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