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가 배후다
미디어가 배후다
무대가 있다. 무대 위에 배우는 없다. 무대 위 배우가 없음에도 상황은 벌어진다. 전자미디어 시대, 없는 배우가 연기를 펼친다. 미디어가 배후다.
장소감의 상실 I, Ⅱ물리적 현존은 한때 직접 경험의 필수 요건이었다. 하지만 미디어가 진화하며 물리적 현존의 중요성은 감소했다. 미디어는 장소와 경험을 동질화하고, 신분과 지위에 상관없이 모두를 연결한다. 이 책은 미디어·상황·행동의 관계에 대한 일반 원칙, ‘인쇄 상황’에서 ‘전자 상황’으로 전환이 초래한 잠재적 효과를 탐색한다. 조슈아 메이로위츠 지음, 김병선 옮김 |
VR, AI, 저널리즘빅데이터, 가상현실, 인공지능은 4차 산업혁명의 상징적 개념들이다. 이들은 전통 저널리즘에 스며들어 저널리즘의 기반을 흔들고 있다. 하지만 위기는 기회다. 새로운 물결을 맞은 저널리즘의 변화를 전망하고 기회를 모색한다. 신동희 지음 |
소셜 미디어와 언론의 관계성소셜 미디어를 언론과 관계시켜 논의한다. 역사적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 개념을 유형화한다. 온라인 신문과 방송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양상, 소셜 미디어가 정치에 개입하는 과정, 소셜 미디어가 언론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임종섭 지음 |
현대 저널리즘현대 저널리즘을 관점에 따라 나눠 개괄한다. 네 가지 관점은 저널리즘의 내부 논리, 저널리즘과 외부 세계의 관계, 현장에서 저널리즘의 모습,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저널리즘 현상이다. 열 가지 저널리즘 유형을 소개해 일상의 저널리즘 경험을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안내한다. 김사승 지음 |
페이지 원: ≪뉴욕타임스≫와 저널리즘의 미래미국의 저명 신문사들이 연이어 도산했다. 하지만 ≪뉴욕타임스≫는 2012년 흑자를 기록했다. 저널리즘의 미래는 무엇인가? 이 책은 다큐멘터리 <페이지 원> 제작 후기부터 힐러리 클린턴의 알자지라에 대한 견해까지, 저널리즘의 미래를 다양한 관점에서 제시한다. 데이비드 폴켄플릭 지음, 이상훈 옮김 |
베네딕트 앤더슨이 책은 ≪상상된 공동체≫의 저자 앤더슨의 사상을 10가지 키워드로 소개한다. 모든 공동체는 상상의 산물이다. ≪상상된 공동체≫는 민족의 선구자들이 수평적 동지애를 바탕으로 주권을 가진 공동체를 만든 방식을 그려낸, 청년기 민족주의 연구다. 기존 체제의 압제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정치 공동체를 세우려 한 민족주의를 알아본다. 서지원 지음 |
질베르 시몽동생성의 과정에서 존재자는 어떻게 구조화되는가? 시몽동의 개체화 이론은 개체의 발생을 탐구하는 생성의 철학이다. 생성을 존재에 종속시키는 것을 거부하고 존재가 생성되는 과정, 발생과 구조화를 탐구한다. 이 책은 시몽동의 철학을 10가지 키워드로 소개한다. 황수영 지음 |
2966호 | 2018년 7월 10일 발행
미디어가 배후다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