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생태이론
이동후의 <<미디어 생태이론>>
도구야, 매개야, 아니면 리얼리티야?
우리가 보는 것이 우리다. 우리가 듣는 것이 우리고 쓰는 것이 우리고 읽는 것이 우리다. 그럴듯하지만 확실하진 않다. 그것 말고도 훨씬 더 많은 것이 우리이기 때문이다. 간단치 않다. 한국인은 한국어를 쓰지만 한국어를 쓰는 사람이 모두 한국인은 아니다.
미디어 생태이론은 미디어 에콜로지를 말하는가?
미디어를 환경으로 보고 미디어가 구성하는 환경과 인간, 사회의 유기적 관계를 살펴보는 관계 이론이다. 인간과 미디어, 미디어와 미디어 간 관계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려는 일반론이다.
미디어 생태학의 연구 대상은 무엇인가?
인간의 지각, 이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의 복합적 메시지 체계다.
언제 이런 이론이 등장한 것인가?
생태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1960년대, 생태학적 시각을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미디어 생태이론>>는 무엇을 이야기하나?
미디어 생태학자 10명의 기본 문제의식을 통해 미디어 생태이론을 소개했다.
미디어 생태학자 10명을 어떤 기준으로 골랐는가?
이 분야 1세대다. 미디어생태학회 홈페이지 명예의 전당 배너에 게시된 10명 가운데 다른 학자와 주제가 겹치는 에릭 헤블록을 제외하고 노버트 위너를 넣었다. 마셜 매클루언, 해롤드 이니스, 월터 옹, 닐 포스트먼, 루이스 멈퍼드, 자크 엘룰, 엘리자베스 에이젠시타인, 수잔 랭어, 노버트 위너, 에드먼드 카펜터가 포함된다.
미디어 생태학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누구인가?
1968년 미국 영어교사협의회 연례회의에서 닐 포스트먼이 처음 사용했다. 매클루언이 이 용어의 창시자라고 한다.
창시자 마셜 매클루언이 이 용어로 전하려는 뜻은 무엇이었나?
‘미디어는 메시지’라는 표현은 미디어 생태학적 미디어론을 집약적으로 보여 준다. 미디어는 특정한 목적이나 필요를 만족시키는 중립적 도구가 아니다. 보이지 않는 배경 원칙을 갖는 환경이다. 의식하지 못하는 자연스러운 미디어 환경이 인간의 지각과 경험 규모, 형태를 형성·제어한다.
해롤드 이니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서로 다른 미디어의 물질적·형식적 조건이 지식을 보존하거나 전파하는 방식, 특정 사회의 지식을 조직·통제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사회 조직과 문화적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의 물질적 요소와 커뮤니케이션 형식의 특성을 커뮤니케이션 편향성이란 개념으로 표현한다.
에드먼드 카펜터가 제시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균형은 어떤 담론인가?
각각의 미디어는 서로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실제를 보여 주고 경험을 구성하는 편향성을 갖는다. 특정 미디어의 편향성으로 깨진 인간 감각의 균형은 미디어의 균형을 통해 회복 가능하다. 균형 회복을 위해 중립적이지 않은 미디어 형식의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월터 옹은 왜 구술 커뮤니케이션을 붙들고 늘어졌을까?
말을 다루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다른 기술보다 훨씬 더 심각하게 인간의 의식과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문자 이전의 인류 역사를 지배하며 우리에게 깊게 내재된 구술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재조명했다. 인간의 자기-정체성과 의식이 중심이다.
미디어 생태론의 눈으로 볼 때 인쇄술이 사회 변화 미친 영향력은 어떤 것인가?
초기 근대 유럽 사회 변화의 동인이 인쇄술이다. 지식의 보전과 축적이 가능한 인쇄술이 지식 생산과 유포 체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르네상스, 종교 개혁, 과학 혁명과 같은 서구 근대 문화 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식 흐름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미디어 생태학 전통에서 가장 중요한 책은 무엇인가?
루이스 멈포드의 ≪기술과 문명≫(1934)이다. A.D 1000∼1750년, 1750년 이후, 20세기 초로 나누어 인류역사를 이야기한다. 기술 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문명사를 살펴본다. 기술과 유기체를 비교하여 기술 생태학적 시각을 제시한다는 점이 선구적이다.
미디어 생태계에서 영상이미지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자크 엘룰이 이 주제를 파고든다. 현대사회 기술맹종적인 체계와 세계관이 유지되는 데 영상이미지가 일조한다. 영상이미지가 문화를 지배하면서 생기는 기술사회의 폐해를 논의했다. 추상적 진리를 탐구할 수 있는 말과 토론의 입지가 좁아졌다. 그는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양식인 말과 토론이 무기력해진 상태를 말의 굴욕이라고 표현했다.
노버트 위너가 주목한 사이버네틱스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사이버네틱스란 동물과 기계의 제어와 커뮤니케이션이다. 기계적·생물학적·사회적 체계를 제어하는 인간과 기계, 기계와 기계 사이의 메시지를 연구한다. 생명유기체, 기계, 사회의 제어 수단으로 정보와 정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개념이다. 미디어를 환경으로 이해하는 미디어 생태이론에 영감을 준다.
상징적 변형을 설명하는 수잔 랭어의 주장은 무엇인가?
인간은 자신의 경험을 추상화하며 상징으로 재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경험을 상징으로 바꾸는 인간의 능력은 인간 정신 구조의 독특한 특성이다. 인간과 다른 생물을 구별 짓는다. 다른 생물들이 기호를 다루는 능력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책이 소개하는 10명의 이야기로 미디어 생태이론의 설명은 충분한가?
1세대 명단에서 빠진 에릭 해블록이나 제임스 캐리, 밥 로건부터 후속 세대인 조슈아 마이어로위츠, 폴 레빈슨, 랜스 스트레이트를 소개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지만 조지 베이트슨, 폴 와즈라위크, 에드워크 홀은 생태학적 시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당신의 미디어 생태 연구는 앞으로 어디까지 갈 것인가?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에서 우리 모바일 미디어 환경을 이해하고 싶다. 모바일 미디어를 기존 미디어 환경의 연장선에서 살핀다. 미디어 진화와 우리의 시공간 경험 관계를 추적·기술하는 장기 프로젝트다. 미디어 생태이론이라는 일반론을 우리의 맥락에서 재해석하는 것이다. 현재 미디어 환경에 관한 구체적·미시적 연구로 미디어 생태이론을 확장하고 싶다.
당신은 누구인가?
이동후다.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