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용화산 아래 낙동강에서 배 띄우고 노닐다
강에 배를 띄우고 무리 지어 노닐며 시를 짓거나 유락하는 일은 그 유래가 오래되었다. 《삼국사기》에는 백제의 무왕이 궁녀를 데리고 뱃놀이를 했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사》에도 왕이 서경 대동강에서 뱃놀이하며 시를 수창하고, 임진현 강변에서 뱃놀이를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용화산하동범록〉은 함안의 용화산 아래에서 함께 배를 타고 노닐었던 이들을 기록한 것이다. 영남학파의 두 거두, 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의 진전을 모두 이어받은 한강 정구(鄭逑)는 1607년, 과거 군수로 있었던 함안을 찾아와 여헌 장현광(張顯光)과 함께 망우당 곽재우(郭再祐)의 정사에서 묵었는데, 대학자와 의병장으로 명성 높았던 세 사람이 한자리에 있다는 소식에 인근 각지의 선비들이 함께 모였다. 이들은 낙동강에서 배를 타고 용화산 아래 계곡을 따라 노닐며 시를 읊고 정담을 나누었다. 이때 정구가 모인 사람들의 면면을 기록하도록 했으니 바로 〈용화산하동범록〉이다.
기수에서 목욕하고 바람 쐬며 읊조리고 돌아오다
‘풍영(諷詠)’이라는 말은 《논어》 〈선진〉 편에 나오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문답에서 유래한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뜻을 물었을 때, 증점이 “늦봄에 봄옷이 만들어지면 어른 대여섯, 아이 예닐곱과 함께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을 쐬며 읊조리고 돌아오겠습니다”라고 하자 공자가 감탄하며 “나는 점과 함께하겠다”라고 했다. 선현들은 공자와 증점의 이 같은 경지를 본받고자 경치가 좋은 곳에 나아가 바람을 쐬며 심사를 읊고, 그곳을 ‘풍영대’라 일컫곤 했다. 대구 현풍에도 풍영대가 있었는데, 1634년, 현풍현감 김세렴이 뜻을 같이하는 젊은 선비들과 함께 풍영대에 올라 바람 쐬며 시를 읊어 호연지기를 기르고, 참여한 이들의 명단을 돌에 새겼다. 이른바 〈풍영대제명석각〉이다.
시를 묶어 선현을 추모하고 그리워하는 정성을 부치다
1927년, 자고당(紫皐堂) 박상절(朴尙節)은 〈용화산하동범록〉의 초고를 갈무리한 간송당 조임도(趙任道)의 현손인 조홍엽(趙弘燁)을 통해 이 기록을 보고 증조부 박진영이 이 모임에 참석했음을 알게 된다. 이에 박상절은 이 짧은 기록과 서문에 더해 당시 선유에 참석한 사람의 행적을 여러 문헌에서 찾아 추가했고 행적이 불분명했던 두 사람의 내력을 확정한다. 또 당시 선유의 모습을 여덟 장의 그림으로 새겨 더욱 실감 나게 했으며, 그림마다 5언시를 붙여 감흥을 더했다.
또한 풍영대 각석을 통해 조부 박형룡이 김세렴을 중심으로 한 현풍 풍영대 모임에 참석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박상절은 〈용화산하동범록〉 아래에 〈풍영대제명석각도(風詠臺題名石刻圖)〉를 그려서 붙이고, 또 〈풍영대술고시(風詠臺述古詩)〉를 서문과 함께 수록했다. 이어 현풍 풍영대의 돌에 새겨진 사람들의 행적을 찾아 〈풍영제현행략〉이라는 이름 아래 서술했다. 이 두 편의 글을 엮어 제목을 《기락편방(沂洛編芳)》이라 했으니,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자 했던 풍영대의 고사와 낙동강 가에서 함께 뱃놀이했던 일에 착안한 것이었다.
놀이 문화의 재발견
《기락편방》에 실린 제현록을 통해 우리는 한 시대를 슬기롭게 살아간 조상의 행적을 만날 수 있다. 또 〈용화산수도(龍華山水圖)〉 및 서발문의 여러 기록을 통해 유서 깊은 장소를 상상해 볼 수 있고 직접 찾아가 그때 그 자리를 눈에 담아 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선현이 추구했던 놀이의 의미(풍류)와 삶의 의미[수신(修身)]를 되새길 수 있으며, 여기서 얻은 깨달음을 우리 삶에 적용하고 또 지금보다 나은 삶을 고민하고 실천할 수도 있다. 《기락편방》은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우리 삶을 새롭게 재구하는 창의적 상상력의 원천이다.
200자평
우리 선조들은 자연을 만끽하며 그 속에서 심성의 의미를 되새겨 마음을 닦고 여유를 즐겼다. 여기 아름다운 모임 둘을 소개한다. 1607년, 영남학파의 거두 한강 정구와 의병장 곽재우를 비롯한 35명의 선비들이 함안 용화산 아래 낙동강에서 배를 타고 노닐었다. 1634년, 현풍 현감 김세렴을 비롯한 12명의 젊은 선비들이 풍영대에 올라 호연지기를 기르며 시를 읊었다. 1757년, 이 두 모임 참석자의 후손인 박상절이 선조들의 기록을 모으고, 시와 그림을 더하고 서문을 붙여 하나의 책으로 간행하니 바로 《기락편방(沂洛編芳)》이다. 마음의 긴장을 해소함으로써 다시 마음을 다잡을 힘을 얻는 것이 놀이의 목적이었다. 산천의 유장하고 미려함을 통해 긴장을 해소함으로써 마음을 다잡을 힘을 다시 충전하던 선조들의 현명한 놀이 문화를 배울 수 있다.
엮은이
자고당(紫皐堂) 박상절(朴尙節, 1700∼1774)은 박진영의 아들인 완석당 박형룡(朴亨龍, 1614∼1696)의 여섯 아들 가운데 다섯째인 박창조(朴昌兆, 1666∼1748)의 맏아들이다. 자는 성보(成甫)로,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의 문하에 종유했고, 벼슬은 통덕랑이었다. 학문이 정심(精深)하고 효우가 순지(純至)해 고을 원이 두 번이나 재랑(齋郞)에 천거했고, 이인좌의 난 때는 창의해 격문을 돌리기도 했다. 학문에도 뛰어나 《이전작해(理全酌海)》와 문집 15권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옮긴이
백운용(白雲龍)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고전 문학을 전공해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경북대학교·대구교육대학교 강사다. 저서로는 《사천가에 핀 충효 쌍절, 청송 불훤재 신현 종가》(예문서원, 2017),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 사업의 위상과 전망》(공저, 택민국학연구원, 2021), 역서로 《창선감의록》(박이정, 2019)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대구 지역 구곡(九曲)과 한강 정구〉(퇴계학과 전통문화, 2016) 등이 있다.
차례
기락편방 서문(沂洛編芳 序)
용화산하동범록(龍華山下同泛錄)
용화산하동범록(龍華山下同泛錄)
〈용화산하동범록〉 소재 제현의 행적(龍華諸賢行蹟)
1. 한강(寒岡) 정 선생(鄭先生)
2. 망우당(忘憂堂) 곽 선생(郭先生)
3. 부총관(副摠管) 박 공(朴公)
4. 여헌(旅軒) 장 선생(張先生)
5. 독촌(獨村) 이 공(李公)
6. 작계(鵲溪) 성 공(成公)
7. 문암(聞巖) 신 공(辛公)
8. 입암(立巖) 조 공(趙公)
9. 갈촌(葛村) 이 공(李公)
10. 옥촌(沃村) 노 공(盧公)
11. 영모당(永慕堂) 신 공(辛公)
12. 두암(斗巖) 조 공(趙公)
13. 외재(畏齋) 이 공(李公)
14. 교수(敎授) 나 공(羅公)
15. 복재(復齋) 이 공(李公)
16. 생원(生員) 유 공(兪公)
17. 매죽헌(梅竹軒) 이 공(李公)
18. 창랑수(槍浪叟) 이 공(李公)
19. 광서(匡西) 박 공(朴公)
20. 국암(菊菴) 이 공(李公)
21. 영모재(永慕齋) 이 공(李公)
22. 봉사(奉事) 신 공(辛公)
23. 처사(處士) 이 공(李公)
24. 처사(處士) 이 공(李公)
25. 도곡(道谷) 안 공(安公)
26. 처사(處士) 이 공(李公)
27. 처사(處士) 곽 공(郭公)
28. 소우헌(消憂軒) 이 공(李公)
29. 슬곡(瑟谷) 이 공(李公)
30. 처사(處士) 유 공(柳公)
31. 간송당(澗松堂) 조 공(趙公)
32. 익암(益庵) 이 공(李公)
33. 처사(處士) 이 공(李公)
34. 처사(處士) 이 공(李公)
용화산하동범록 추서(龍華山下同泛錄追序)
삼가 〈용화산하동범록 추서〉 뒤에 쓰다(謹書龍華山下同泛錄追序後)
용화산수도
용(龍)
화(華)
산(山)
하(下)
동(同)
범(泛)
지(之)
도(圖)
풍영제현행략(諷詠諸賢行略)
풍영대의 돌에 이름을 새긴 그림(風詠臺題名石刻圖)
풍영대의 옛일을 회고하며(風詠臺述古詩 )
풍영제현행략(諷詠諸賢行略)
1. 동명(東溟) 김 선생(金先生)
2. 매음(梅陰) 나 공(羅公)
3. 처사(處士) 김 공(金公)
4. 동호(東湖) 김 공(金公)
5. 처사(處士) 곽 공(郭公)
6. 관송정(灌松亭) 곽 공(郭公)
7. 오의정(五宜亭) 조 공(趙公)
8. 처사(處士) 김 공(金公)
9. 대포자(大布子) 곽 공(郭公)
10. 송호(松湖) 박 공(朴公)
11. 별검(別檢) 곽 공(郭公)
12. 진사(進士) 허 공(許公)
13. 완석당(浣石堂) 박 공(朴公)
기락편방 발문(沂洛編芳跋) 1
기락편방 발문(沂洛編芳跋) 2
《기락편방록》 뒤에 쓰다(題沂洛編芳錄後)
공경히 《기락편방》의 뒤에 쓰다(敬書沂洛編芳後)
해설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한강 선생은 퇴계 선생의 정통을 이어받았고 낙수는 또한 탁영담의 하류이니, 100년이란 긴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도 그 정아한 음률[正聲]을 이음이 문하 고제(高弟)의 손에서 나와 낙동강 물줄기가 문득 도학의 연원이 되게 했다. 그렇다면 당시 물길을 따라 오르내리면서 조용히 둘러보며, 저 ‘인자요산(仁者樂山) 지자요수(知者樂水)’의 의미를 지극히 음미하고 음풍농월의 풍취를 시로 읊음에 반드시 사람들이 엿볼 수 없는 점이 마땅히 있었을 것이다. 또 백세의 뒤에 제목을 보고 상상만 하고서도 오히려 함께하고픈 마음이 일어나 현인의 마부라도 되어 그 채찍을 잡고자 하는 소원을 가지거늘, 하물며 당일 같은 자리에서 주선하면서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흠모하며 도덕의 맑은 빛을 쐰 자라면 어찌 가슴 가득히 충만함이 없겠는가! 비록 그 조예에 고하가 있고 감동에 깊고 얕음이 있어도 무우대(舞雩臺)에서 바람 쐬던 관자와 동자의 무리와 그 심사는 똑같았을 것이다.
그 28년 뒤 동명(東溟) 김 공(金公)이 포산(苞山,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의 수령이 되어 풍영(風詠)을 즐기고, 바위에 이름을 새겨 오랫동안 전했다. 이때 광서의 아들 완석 공(浣石公)이 또 여기에 참석했는데, 그 풍류와 고아한 운치가 용화산에서의 옛일과 다를 바 없었다. 그리하여 이 과분한 맑은 모임이 문득 박씨 집안의 내림이 되었으니, 이 또한 기이한 일이 아닌가!
〈기락편방 서문(沂洛編芳 序)〉에서
아, 나는 이 〈동범록〉에 감회가 많도다. 가히 공경히 사모할 만한 것이 있고 또 그리워할 만한 것이 있다. 그 공경히 사모할 만한 것은 한강 여헌 두 선생의 도덕과 문장이 아니겠으며, 그 그리워할 만한 것은 곽 신선[곽재우를 말함]의 풍치와 절조가 아니겠는가! 또한 알고 지낸 붕우들이 여기에 많이 수록되어 있고 향당의 어른들 또한 이 모임에 참석했다. 모두 우리 아버지와 더불어 서로 교유한 이들인데, 10년도 되지 못해 이미 옛일이 되었으니, 눈길을 줄 때마다 그리움이 이는 것을 어찌 막을 수 있으랴!
〈용화산하동범록 추서(龍華山下同泛錄追序)〉에서
용화산수도
용(龍)
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화산이라
푸른 물결 속에 우뚝하네.
아, 스승과 벗들의 모임에
우리 선조 예전에 함께하셨네.
第一龍華嶽 峨峨枕碧流
猗歟師友會 吾祖昔同遊
이상은 용화산 아래에서의 아름다운 모임을 읊은 것이다.
도(圖)
시는 다음과 같다.
여덟째 창암정이라
여기에 덕성(德星)이 빛나고 있도다.
향기로운 배 막 출발하려 하면서
주인(곽재우)의 손을 잡아 이끄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