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레터 [주간 인텔리겐치아]입니다. 로댕의 조각 <칼레의 시민>은 전쟁 패배로 침체된 국가 분위기를 고양하는 과정에 탄생한 걸작입니다. 프랑스 국민은 로댕이 재현한 칼레 시민의 영웅적인 자기희생에서 자긍심을 느꼈습니다. 카이저는 위대해 보이는 희생 이면을 주목했습니다. 인간적 고뇌와 번민을 부각한 표현주의 드라마 <칼레의 시민>에는 20세기 초 독일 상황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이야기가 다른 …
북레터 [주간 인텔리겐치아]입니다. 봄은 자살률이 가장 높은 계절입니다. ‘스프링 피크(spring peak)’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급격한 일조량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황사, 미세먼지, 꽃가루도 영향을 미칩니다.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알레한드로 카소나는 봄이야말로 삶에 대한 의지를 피워 내야 하는 계절이라 말합니다. “봄이 오는 첫날 죽는 건 죄악이에요!” 《봄에는 자살 …
북레터 [주간 인텔리겐치아]입니다. 가장 오래된 벽화 연대를 추정하면 약 4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혹독한 빙하기, 인류는 먹고사는 데 별 도움도 안 되는 예술에 열과 성을 다했습니다. ‘정신 승리’로 현실을 극복하려던 바로 그 방식 덕분에 결국 인류는 살아남습니다. 이후로 많은 예술가가 묻고 답했습니다. “삶과 예술, 어떻게 조화시킬까?” …
북레터 [주간 인텔리겐치아]입니다. “러시아 유머의 여왕” 나데즈다 테피의 대표작이 한국에서 단행본으로 처음 출간됩니다. 테피는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던 작가입니다. 이름을 딴 초콜릿과 향수가 판매될 정도였습니다. 니콜라이 2세, 레닌과 케렌스키, 부닌과 솔로구프도 열성 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망명 이력 때문에 그녀의 이름은 러시아 극문학사에서 빠르게 지워졌습니다. 최근 테피의 …
북레터 [주간 인텔리겐치아]입니다. 안녕하세요. 북레터 인텔리겐치아입니다. 팬데믹 2년, 올해도 불안과 두려움을 안고 크리스마스를 맞게 되었습니다. 스페인 국민 작가 알레한드로 카소나의 ≪바다 위 일곱 번의 절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펼쳐집니다. 크리스마스 전야, 호화 여객선, 화려한 선상파티에서 죽음이 예고된 겁니다. “오늘이 여러분의 마지막 크리스마스가 될 겁니다.” 파티 호스트였던 선장의 말 한마디에 …
북레터 [주간 인텔리겐치아]입니다. 안녕하세요. 북레터 인텔리겐치아입니다. 코로나로 모든 대면 활동을 조심하며 2년여를 보냈습니다. 다시 극장에서 사람들과 나란히 앉아 연극을 즐길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가는 첫 관문에서 극장이 선택한 드라마를 모아 봤습니다. 11월에 공연될 작품들의 원작 희곡부터 읽어 보세요. 재미와 감동이 더할 것입니다. 버나드 쇼가 꼽은 가장 위대한 …
북레터 [주간 인텔리겐치아]입니다. 안녕하세요. 북레터 인텔리겐치아입니다. 내가 읽은 희곡이 무대에 오르거나 영화로 발표되면 정말 궁금해집니다. 감독은 어떻게 공간을 해석하고 구성했을까, 캐스팅은? 배우는 인물을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했을까? 그리고 드디어 영화를 봅니다. 보는 내내 머릿속에 태풍이 휘몰아칩니다. 이 감독은 이렇게 했구나! 이건 원작하고 다르네? 오늘은 영화로도 성공한 명품 희곡 4편을 소개합니다. 소설보다 잘 읽혀요. …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와 대학로 인간과 사회와 피와 땀과 성공과 실패와 희로애락까지 모든 게 예술로 승화하는 무대. 그곳의 명멸하는 조명 아래서 펼쳐지는 바로 지금 여기 우리의 이야기. 지만지드라마가 내놓는 현대 희곡. 지평선 너머 유진 오닐에게 첫 퓰리처상 수상의 영예를 안긴 작품이다. 메이오가의 성향이 다른 두 형제 로버트와 앤드루, 그리고 이들과 삼각관계로 …
비극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누구에게나 그런 순간이 있다. 슬프고 괴로운 순간, 말로 표현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힘든 순간. 여기, 비극의 주인공들이 있다. 인간 세상의 슬픔과 피할 수 없는 운명의 고통을 마주한 그들이 여러분에게 답한다. 좌절 금지. 봄에는 자살 금지 물질적인 세상이 싫어진 귀부인, 낭만적인 사랑을 꿈꾸다 좌절한 은행 말단 직원, …
샤일록과 안네 프랑크 샤일록과 안네 프랑크 문학 속의 유대인은 두 가지 상이 공존한다. 반유대주의는 히틀러의 창작물이 아니다. 예수를 죽게 만든 아브라함의 후손들은 오랜 기간 멸시와 증오의 대상이었다. 탈무드의 지혜로도 실질적 심리적 게토를 깨뜨리지 못했고, 그들의 선민의식이 게토의 장벽을 높이기도 했다. 21세기 지구촌 가족 시대,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문학을 …
철학하는 연극 죽음을 앞둔 고릴라가 몽테뉴를 인용하고 개 세 마리가 칸트를 토론한다. 갈라파고스의 거북이는 역사 교수에게 알려지지 않은 역사를 들려주기도 한다. 가면을 벗기고 삶과 세상을 돌아보게 하는 데는 동물의 웅변이 더 효과적인 것일까. 무대 위에서 철학을 연출하는 스페인 극작가 마요르가의 희곡들이다. 스탈린에게 보내는 연애편지 소련의 작가 불가코프는 소련 내에서 …
시대의 소명, 나의 사명 괴테의 빌헬름은 사회에서 자신의 용도를 찾는 젊은이다. 계급을 뛰어넘어 사회에 영향을 주고 싶어 한다. 그 방법으로 연극을 선택하고 열정을 바쳤으며, 결과와 상관없이 그 과정에서 성장했다. 그럼 나의 사명은 무엇일까. 시대의 소명을 일깨우는 문학이 힌트를 건넬지 모른다. 빌헬름 마이스터의 연극적 사명 괴테의 두 번째 소설을 국내 …
플라멩코, 프리메라리가, 그들의 문학 지중해의 끝, 유럽 대륙의 해가 지는 곳. 바다 건너 아프리카를 마주하고 로마인과 무어인의 지배를 받았지만 가장 먼저 신대륙을 식민지로 삼았다. 이베리아반도의 뜨거운 태양 아래 쓰인 스페인 문학은 그만큼 뜨겁고 다채로우며 순수하게 격정적이다. 집시 로만세 페데리고 가르시아 로르카의 대표 시집이다. 열여덟 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인에서 …
가장 치명적인 동물 진화는 맹목이다. 의도나 목적이 없다. 호모사피엔스, 스스로를 만물의 영장으로 여기는 인간은 지구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동물로 진화했다. 치명적 능력이 인류의 멸종을 불러올 수 있고, 그것이 행성 지구의 다른 동물에겐 축복일 수 있다. 그들의 소리에 귀 기울여 보자. 동물 철학 천줄읽기 다윈의 진화론과는 다른 획득형질 이론을 담고 …
평화는 자연스럽지 않다 “함께 생활하는 인간들 사이의 평화 상태는 결코 자연 상태가 아니다. 자연 상태는 오히려 전쟁 상태다.” 독일 철학자 칸트의 말이다. 평화는 자연스레 오지 않는다. 실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대선 후보 대부분이 안보를 강조한다. 평화 이상의 안보는 없다. 원형의 전설 자유와 평등의 첨예한 갈등이 핵전쟁으로 비화한 어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