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요 어머니, 우리는 슬플 일도 없어요
그래요 어머니, 우리는 슬플 일도 없어요
어버이날입니다. 평생에 고쳐 못할 일, 지금 바로 하십시오.
![]() 서홍관 시인은 1985년 신경림 시인과 이시영 시인의 추천을 받아 등단했다. 그의 남은 생애 숙제는 전쟁과 편견, 착취와 폭력이 넘치는 세상 속 고통을 껴안는 것이다. 시인이 육필시 55편에 한 글자 한 글자 더불어 잘사는 세상을 만들고 싶은 염원을 담아 썼다. 서홍관 지음 |
![]() 말과 언어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통해 자신만의 상징체계를 구축한 송찬호 시인의 시집이다. 어려서부터 그림 그리기와 글쓰기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그림 그리기의 꿈을 일찍 버리고 조금씩 시를 읽고 쓰다가 시인이 되었다. 시 쓰기를 향한 그의 오랜 열망과 고통이 깃든 육필을 살펴볼 수 있다. 송찬호 지음 |
![]() 5월 광주항쟁은 청춘의 가마솥을 뜨겁게 달구었고 한 문인을 탄생시켰다. 이승철 시인이다. 광주항쟁의 충격으로 대학을 그만두고 그날의 진실과 상처를 시로 형상화했다. 그가 등단 30주년을 맞아 표제시 <오월>을 비롯한 54편의 시를 직접 써냈다. 이승철 지음 |
![]() 시는 의지가 아니라 힘겨운 생활이 불러들인 미학이라는 이재무 시인의 육필시집이다. 그는 무수한 사물과 인간과의 인연이 만든 자신의 정체성을 보며, 자기 진로 또한 앞으로의 인연이 정할 것이라 기대한다. 그의 시적 정서는 쭉 진화했고 지금도 진화 중이다. 시인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며 정성껏 눌러쓴 50편의 시를 소개한다. 이재무 지음 |
![]() 시가 아픔이고 슬픔일 수밖에 없었던 시절을 지나 이제는 시가 노래이고 종교이기를 바라는 나해철 시인의 육필시집이다. 그는 손 글씨로 쓰는 내내 속으로 울었다. 자신이 살아온 시간, 마음속 깊은 곳이 거기 있었기 때문이다. 46편의 시를 “정성 들여 또박또박 쓰기보다는, 현재의 모습이 비쳐 보이도록 그냥 깨끗하게” 썼다. 나해철 지음 |
![]() 김태형 시인은 1992년 ≪현대시세계≫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 ‘청색종이’라는 책방 겸 출판사를 운영하고 독서 모임과 시 강좌를 진행하며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인간 내면의 고독과 열정을 그려 온 그의 육필 50편을 만나 보자. 김태형 지음 |
2957호 | 2018년 5월 8일 발행
그래요 어머니, 우리는 슬플 일도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