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본의 방송제도를 대상으로 삼아 대학 교재로서도 사용 가능한 체계적인 방송의 경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전반부에서는 방송 시장, 방송 산업의 공급 분석, 수요 분석처럼 경제학적 접근 속에서 방송이라는 매체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후반부에서는 저작권 제도, 프로그램 거래 등 일본의 제도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어 한국 독자들이 일본 방송 제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00자평
21세기 거대 방송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경제학적 분석. 이 책은 일본의 방송제도를 대상으로 삼아 대학 교재로서도 사용 가능한 체계적인 방송의 경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방송이라는 매체를 경제학적 접근 속에서 체계적으로 분석. 저작권 제도, 프로그램 거래 등 일본의 제도를 분석하여 한국 독자들의 일본 방송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지은이
스가야 미노루(菅谷實)
게이오(慶應)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연구소 교수
『정보 통신의 국제 제휴 전략』(공편저), 중앙경제사, 1999년
『통신·방송의 융합-그 이념과 제도 변용』(공편저), 일본평론사, 1997년
『미국의 미디어 산업 정책』, 중앙경제사, 1997년
『미국의 전기 통신 정책』, 일본평론사, 1989년 외 다수
나카무라 기요시(中村淸)
와세다(早稻田)대학 상학부 교수
Kiyoshi Nakamura ed. “Going Global, Structural Reforms in Japan’s Economics and Business Systems”, The Japan Times, 1996(편저)
“유료 방송, 광고 방송, 공공 방송”, 『유료 방송 시장의 앞으로의 전망』, 일본평론사, 1997년
“영국 방송 부문의 경제학적 문제”, 『공익 사업 연구』, 공익사업학회, 1998년
“Japan’s TV Broadcasting in a Digital Environment”,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 23, No. 3-4, 1999
옮긴이
송진명
1949년 대구(大邱)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대우, 효성, 동부그룹에서 기획과 마케팅 부서에서 주로 근무하였으며, 이사로 승진한 후 경영 전반에 대하여 관리하였다. 재단법인 한국방송개발원에서 기획과 예산, 그리고 방송인 교육을 담당하였다. 회사 퇴직 후 중앙대학교 일본어교육원 전문1, 2과정을 수료하고 일본어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책으로 『방송미디어 경제학』, 『1인 비즈니스』, 『빚 끝장내기』, 『성서 가슴을 울리는 말씀』, 『디지털 시대의 경영전략』 등이 있다.
차례
제1장 방송 미디어와 시장의 특질
1. 방송 산업의 특질
2. 방송 시장의 특질
3. 방송사의 소유와 운영
4. 디지털 다채널 시대의 방송 규제
제2장 방송 미디어의 경제학적 과제
1. 디지털 기술 혁신과 방송 미디어 시장의 변화
2. 프로그램 제작?유통의 경제적 과제
3. 공공 서비스 방송과 그 경제적 의의
4. 디지털 기술 혁신과 경제 분석의 방향
제3장 방송 미디어 시장의 공급 분석
1. 방송 서비스의 정의와 시장.산업 특성
2. 방송 서비스의 특징
3. 방송 사업
4. 방송 서비스 공급 구조의 특징
제4장 방송 미디어 시장의 수요 분석
1. 방송 미디어 서비스의 특이성
2. 일상생활에서의 방송
3. 미디어?프로그램 선택의 결정 요인
4. 방송 수요의 경제학적 해석
5. 앞으로의 과제
제5장 방송 시장의 경쟁과 협조
1. 경영 특성과 시장에서의 경쟁과 협조
2. 고찰상의 평가 축
3. 공공 방송
4. 광고 방송
5. 유료 방송
6. 인적 자원 개발 기관으로서의 광고 방송과 유료 방송의 차이
7. 시장 경쟁에 의한 실현이 불투명한 분야
8. 경쟁의 성과와 그 평가
제6장 공공 방송의 경제적 의의
1. 공공 방송의 특성
2. 공공 방송의 서비스와 재원
3. 주파수 제약과 공공 방송
4. 공통 시청과 공공 공간
5. 디지털 시대의 공공 방송
제7장 프로그램 유통 시장
1. 다채널화 이전의 프로그램 유통 시장
2. 다채널화 후의 프로그램 유통 구조 변화
3. 프로그램 유통 시장의 행방
제8장 방송 프로그램 거래의 법제도
1. 일본의 방송법제
2. 민간 방송에서의 광고 방송 계약
3. 지상파 민간 방송에서의 텔레비전 방송망 가맹 계약
4. 디지털 통신 위성 방송에서의 사업자 계약
5. 유선 텔레비전 방송에서의 사업자 계약
6. 앞으로의 방송 사업법제 및 방송 사업 정책의 전망
제9장 프로그램 유통과 방송 저작권
1. 다채널화와 방송 프로그램의 활용
2. 저작권 제도
3. 방송에서의 저작권 문제
제10장 다채널화와 광고 방송
1. 다채널화와 지상파 방송사
2. 일본에서의 다채널화의 현황과 장래
3. 다채널화가 광고 방송사에 주는 영향
4. 다채널화에 대한 광고 방송사의 대응
제11장 방송 미디어의 산업 조직
1. 지상파 방송의 산업 구조와 그 변화
2. 전송 용량의 증가와 미디어 소프트웨어 공급
3. 미디어 간 경쟁과 디 팍토 네트워크
부록
책속으로
지금까지 방송을 대상으로 한 사회과학적 연구는 사회와의 관계, 방송 저널리즘론, 방송이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 사회학·정치학·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경제학을 기반으로 한 매체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것은 방송이 산업 규모 면에서 그다지 크지 않았고, 국영 또는 공영 등 매우 폐쇄적인 시장에서의 경쟁밖에 존재하지 않았던 방송 시장 환경에도 기인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방송 영역에서 지상파와 더불어 케이블 TV, 위성 방송의 도입으로 다매체·다채널화가 실현되어 방송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시장이 개방되는 것과 함께 방송 서비스의 경제적 분석도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브로드밴드화가 진행됨에 따라 웹 캐스트가 방송의 경합 서비스로서도 주목을 받게끔 되었다.
이 책은 일본의 방송제도를 대상으로 삼아 대학 교재로서도 사용 가능한 체계적인 방송의 경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이 책은 전반부에서는 방송 시장, 방송 산업의 공급 분석, 수요 분석처럼 경제학적 접근 속에서 방송이라는 매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후반부에서는 저작권 제도, 프로그램 거래 등 일본의 제도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어 한국 독자들이 일본 방송 제도를 이해하는데 좋은 지침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이 책의 타이틀은 ‘방송 경제학’이 아니라 ‘방송 미디어 경제학’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지상파 방송이라는 협의의 ‘방송’뿐만 아니라 케이블TV·위성방송·웹 캐스트 등 다매체·다채널 시대의 새로운 방송 서비스를 포함한 광의의 방송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방송’이 아니라 ‘방송 미디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_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