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위험사회에서 핵심적인 인식은 인간의 행위는 결정적으로 위험의 형태와 크기를 만들어내고 이것에 우리는 내맡겨진다는 것이다. 쓰나미 같은 재난 역시 해수면에 근접한 지역에 사람들을 거주토록 했기 때문에 재앙이 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제방시설이나 경고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쓰나미는 재앙이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위험을 인지하고, 위험에 대한 수용력을 배가시키기 위하여, 사전 보호조치를 세우기 위하여 그리고 성공적인 경고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정치적 지원 그리고 위험커뮤니케이션 당사자 간의 결연한 행위가 요구된다. 이러한 조치와 행위를 성취하기 위하여 학자, 현장 전문가, 정치가, 시민단체 그리고 공무원이 참여하는 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은 필수적이다.
이 책은 매스미디어 속의 위험에 대한 표현과 서술에 대한 학술적 담론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저널리스트가 위험 주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도움을 준다.
200자평
매스미디어 속의 위험에 대한 표현과 서술에 대한 학술적 담론을 보여주는 책이다. 어떤 원칙에 의거해서 텔레비전, 라디오 그리고 신문은 위험을 보도하며 보도는 공적인 정치적 토론, 지식의 발달, 미디어 이용자의 의견과 관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며 미디어의 표현이 다소 예견적인 그리고 이성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위험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저널리스트가 위험 주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설명하며 위험의 사회적 통제와 관련한 미디어의 과제는 가능한 정확한 정보를 공적인 장에 제시하는 것에만 있지 않고, 오히려 공적인 장, 정치적이며 행정적인 기능 수행의 장애에 경고음을 발하고, 정치권과 행정 관료의 창조적 변화를 만들어 내도록 하는 데 있음을 역설한다.
지은이
한스 페터 페터스(Hans Peter Peters)
독일 쾰른 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보쿰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뮌스터 대학교, 도르트문트 대학교에서 위험 커뮤니케이션론을 강의했다. 현재 독일 율리히의 과학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Forschungszentrum/Juelich)에서 위험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를 총괄하고 있으며 베를린 자유대학교 언론학과의 석좌교수로 위험 커뮤니케이션, 과학 저널리즘을 가르치고 있다.
송해룡
1954년 8월 12일 충남 천안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 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 석사학위와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1987)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미디어스포츠에 내재된 콘텐츠 차원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학문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독일 쾰른스포츠대학교 미디어스포츠학과의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2002년 한일 월드컵조직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뉴미디어 경영론』 『매스텔레마틱론』 『스포츠 광고와 기업커뮤니케이션』 『스포츠 커뮤니케이션론』 『디지털커뮤니케이션과 스포츠 콘텐츠』 『체험지향사회』, 역서로는 『미디어스포츠』 『미디어스포츠 그리고 사회』 『스포츠 미디어를 만나다』 등이 있다.
차례
머리말 1
머리말 2
제1장 21세기와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제2장 커뮤니티 구조와 미디어의 위험 보도
1. 지역사회의 구조가 뉴스기관에 미치는 영향
2. 권력 구조가 위험 기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3. 다양한 사례
4. 결론
제3장 미디어, 위험 평가 그리고 수치
1. 서언
2. 에일라의 경우
3. 다이옥신 논쟁
4. 공중인식과 위험 보도
제4장 정보채널과 공공장으로서 매스미디어
1. 기술관료적인 미디어 비판
2. 매스미디어의 위험커뮤니케이션 기능과 방식
3. 저널리스트적 목적인 갈등과 화해로서 매스미디어 보도
제5장 환경위험에 관한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역할
: 산림고사, 체르노빌 그리고 광우병 파동의 예
1. 산림고사와 관련한 보도
2. 체르노빌 대재앙
3. 광우병 파동
제6장 매스미디어와 위험커뮤니케이션
1. 서론
2. 위험 개념의 정의
3. 위험커뮤니케이션
4. 위험 보도
5. 위험 보도의 수용과 영향
6. 결론
제7장 과학저널리즘과 독일의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
1. 미디어와 과학 : 포퓰러화, 계몽 그리고 과학기술에 대한 찬반 논쟁
2. 70년대 중반 이후 과학과 기술보도의 변화
3. 학문과 기술보도에 대한 비난
4. 맺는 말
제8장 저널리스트와 과학전문가의 상호 작용
: 두 전문가 문화 간 협력과 갈등
1. 서론
2. 다른 문화 간 충돌로서 전문가와 저널리스트의 상호작용
3.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문화 차이의 증거
4. 논의점
제9장 과학, 미디어 그리고 여론의 관점에서 본 위험
1. 들어가는 말 125
2. 위험에 대한 과학기술적 관점, 위험 평가
3. 위험에 관한 미디어의 관점, 위험저널리즘
4. 위험에 대한 일반인의 위험 인지 관점
5. 여러 개로 분산되는 위험 구성 : 정치적인 위험 규제의 결과
제10장 유전공학에 관한 신문과 텔레비전 보도가
수용자의 생각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제11장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학술적 전문가의 역할
1. 도입
2. 학자와 전문가 사이의 차이점
3. 학자의 공적인 기능
4. 전문가의 역할
5. 불안전하고 사회적 가치와 혼재하는 전문성
6. 공적인 전문가의 자격
7. 요약과 결론
제12장 원자력 발전, 화학물질의 위험, 그리고 보도의 양
1. 보도의 양
2. 전국적인 뉴스 의제
3. 여론에 대한 신문과 텔레비전의 영향력
4. 결론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