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광고기호학은 1960년대 이론적 체계를 갖춘 후 효과적인 정성적 광고 연구의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도 1990년대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으나 이들 대부분의 연구들은 소쉬르의 구조주의 계열의 기호학적 방법이나 퍼스의 화용론 중심의 광고기호학적 연구만을 개별적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그간의 광고기호학의 연구결과들을 일견해 통합적으로 살펴보기는 쉽지 않다. 서로 다른 두 유형의 광고기호학의 연구방법과 이론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두 유형의 광고기호학의 이론적 특성에 따라 바르트, 페니누, 레이모어, 월리엄슨, 그레마스, 벤제, 나딘과 자키아, 크뢸, 플라더, 에코를 선별해 그 연구들을 소개한다.
지은이
조창연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FU)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기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호학회, 커뮤니케이션학회, 언론학회, 홍보학회, 광고홍보학회의 회원, 편집위원 및 임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기호학회에서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일상에서의 대화를 비롯해 담론과 공론, 그리고 광고와 PR를 포함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현상을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시각에서 접근하고 이를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에 연결하는 융합·통섭적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 『기호학과 뇌인지과학의 커뮤니케이션』(2014), 『기호, 텍스트, 그리고 삶』(2006)이 있고, 역서로 『iBrain, 아이브레인: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진화하는 현대인의 뇌』(2010), 『영화 인지 기호학』(2007), 『영상커뮤니케이션: 광고 이미지 전략』(2005)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퍼스의 기호학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이론적 현황, 문제점과 대안 모델”(2015),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의 학제 연구인 “소셜 미디어의 매체 기호학적 함의-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2014), “영상 기호와 그 의미 생성에 대한 뉴로 기호학적 탐색연구” (2013) 등이 있다.
차례
01 광고 이미지의 언어적 분석
02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기호학의 통합적 접근
03 레비스트로스의 신화학적 접근
04 구조적 이데올로기 분석
05 그레마스의 서사 구조 분석
06 퍼스의 정보기호학적 분석
07 퍼스의 시각기호학적 분석
08 퍼스와 모리스의 통합기호학적 분석
09 화용론적 텍스트 이론 분석
10 소쉬르와 퍼스의 융합기호학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