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학생들은 어떤 이야기를 안고 학교에 올까?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말하는 내용을 교사는 얼마나 잘 이해할까? 수업시간에 교사나 학생이 할 수 없는 이야기는 뭘까? 교사는 어떤 학생의 이야기에 더 귀를 기울일까? 왜 어떤 학생은 말하지 않을까?
교실에서는 참으로 다양한 방식의 이야기가 일어난다. 그러나 교사의 역할이 없으면 교실은 오해가 일어나는 장소에 그치고 만다. 교사와 학생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할 때, 학생은 입을 다물고, 교사는 학업능력이 떨어진다고 학생을 낙인찍는다.
크고 작은 일에 부딪치면서 어떻게 하면 교사는 수업에서 학생들과 함께 ‘우리’의 이야기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까? 의욕적으로 수업을 만들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성찰과 실행의 도구가 담화분석이다.
교사는 흥미로운 수업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질문하고 답하며, 발언 차례를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와 늘 마주하게 된다.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교실수업을 하려면 시간 분할과 차례 교환에 대해서까지 세심하게 배려해야 한다. 교실 안팎의 맥락을 보는 안목을 키우고 수업을 바라보는 비판적 시야를 열기 위해 교실에 담화분석의 방법을 도입해야 한다.
수업을 변화시키고 싶은 교사에게 수업에서 이뤄지는 교사와 학생, 학생들 간의 이야기를 분석하는 도구와 이론을 제공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수업 이야기 사례를 중심에 두고서 각 장마다 교실을 바라보는 비판적 관점과 담화분석 방법을 담았다. 책의 전반부에서는 교실 담화를 관찰하고 녹화하는 방법과 전사 작업을 위한 절차를 제시한다. 책의 후반부에는 교실 담화를 들여다보는 토대로서 발언 차례, 맥락화, 내러티브, 프레임 등에 한 걸음씩 접근해 간다. 각 장의 끝에는 비판적 성찰의 과제와 성찰을 위한 활동을 제시하고, 심화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읽을거리를 제시한다.
책 전반에 걸쳐 ‘맥락’의 역할에 각별한 관심을 둔다. 수업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는 우선 교실에서 관찰되지만, 교실 밖의 사회적 맥락은 교실 안에서 수업하는 학생들의 참여에 영향을 준다. 때문에 교실 밖에서 일어나는 포괄적 상호작용과 교실 내의 다층적인 상호작용까지 모두 고려한다. 사회적 맥락, 상호작용적 맥락, 개인적 대응력의 세 가지 차원을 구분해 교실 이야기의 추진력을 확인한다. 교실 이야기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적 맥락과 사회적 맥락을 적극적으로 읽어 들이면 교사는 수업을 이끌어가는 개인적 대응력을 키울 수 있다.
200자평
말하는 방식의 차이는 교사의 하루 일과에 영향을 준다. 학생의 질문에 어떻게 대답할지 몰랐던 적이 있는가?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거나, 아무 말도 하지 않는 학생이 있었는가? 이해하기 힘든 순간이 발생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수업을 만들기 위해 교실수업 담화분석을 해야 한다. 이 책은 그 시작을 위한 가장 좋은 입문서다.
지은이
스와트모어 칼리지에서 영문학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했다. UCLA에서 제2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 응용언어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로스앤젤레스에서 교사로 일하면서 언어와 문화에 관련된 문제를 경험했으며, 교실수업의 맥락 안팎에 존재하는 현상에 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조지아대학교 언어 및 리터러시 학부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펜실베이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Upenn) 언어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Linguistic Anthropology of Education(2003)과 Conversational Borderlands: Language and Identity in an Alternative Urban High School(2001)이 있다.
옮긴이
청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언어의 이해』가 있고, 그 외 다수의 연구 논문을 냈다.
차례
옮긴이의 말
책을 내며
01 교실수업 담화분석 시작하기
교실수업 담화분석이란?
이 책의 구성
관점과 비판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02 담화의 세 가지 차원 그리고 정체성
첫 번째 차원 : 사회적 맥락
두 번째 차원 : 상호작용적 맥락
세 번째 차원 : 개인적 대응력
모두 결합하기 : 세 가지 차원의 교실수업 모습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03 이야기 작업하기 1 : 녹화와 시청
세 가지 차원에서 녹화하기
세 가지 차원에서 시청하기
모두 결합하기 : 세 가지 차원의 녹화와 시청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04 이야기 작업하기 2 : 전사와 분석
세 가지 차원에서 전사하기
세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기 : 학생의 참여를 무시하는 사례
모두 결합하기 : 다차원적 담화분석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05 발언 차례 들여다보기
전통적 발언 차례의 패턴
비전통적 발언 차례의 패턴
모두 결합하기 : 발언 차례의 담화분석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06 맥락화 들여다보기
맥락화 단서
결합
맥락
결과
맥락화를 의식할수록 높아지는 대응력
모두 결합하기 : 맥락화 자원의 담화분석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07 내러티브 들여다보기
들어가기-진행하기-마무리하기 : 상호작용적 차원
들어가기-진행하기-마무리하기 : 사회적 차원
들어가기-진행하기-마무리하기 : 개인적 대응력
모두 결합하기 : 교실 내러티브의 담화분석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08 프레임 들여다보기
사회적 맥락에서의 프레임 형성하기
상호작용적 맥락에서의 프레임 형성하기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프레임 사용하기
모두 결합하기 : 프레임의 담화분석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09 담화분석을 통한 새로운 학습 환경
교실 담화의 세 가지 차원을 돌아보며
성찰, 재실행 그리고 재검토
맺음말
비판적 성찰 및 활동
더 읽을거리
용어사전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