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악장가사≫의 이본은 모두 3종으로 일본 교토대학(京都大學) 부속도서관 소장 호사문고본(蓬左文庫本), 전남 해남 윤선도 종택 소장 윤씨본(尹氏本) 그리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藏書閣) 소장 장서각본(등록번호 41038705) 등이 그것들이다. 이 책은 호사문고본을 저본으로 번역한 것이다.
≪악장가사≫의 용도는 수록된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아악가사>와 <속악가사>는 궁중 제례 의식에 사용된 악장을, <가사>는 궁중 잔치용 음악 가사를 수록하고 있으므로 이 책은 궁중 제례 및 잔치용 가사집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악적 측면에서 보면 <아악가사>는 아악을 연주하는 제례의 가사, <속악가사>는 속악(향악)을 사용하는 제례의 가사 그리고 <가사>는 속악과 당악을 사용하는 연향의 가사로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제적(禮制的) 측면에서 보면 오례 가운데 제례를 담당하는 길례에는 <아악가사>와 <속악가사>가, 연향을 담당하는 가례에는 <가사>가 쓰이기 때문에 이 역시 편찬을 고려하는 대상이 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악장가사≫는 ‘궁중의 제례와 연향에 사용된 가사집’이라는 점을 통해 볼 때, 편찬 주체는 궁중 음악 담당자 혹은 부서임을 알 수 있다. 일부에서는 16세기를 살았던 민간인 박준이 편찬했다는 주장이 있어 왔으나, 이 책에는 17세기의 노래가 실려 있고 노래의 용도가 궁중 전용임을 상기할 때 이와 같은 주장은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사정이 이와 같다면 ≪악장가사≫의 편찬 주체는 궁중 제례 및 연향과 관계된 이들이며, 구체적으로 조선 시대 궁중 음악을 총괄했던 장악원 혹은 소속 장악원 소속 관원들이라 할 수 있다.
악서(樂書)의 흐름에서 볼 때, 조선 후기 17세기 후반 장악원에서 편찬된 ≪악장가사≫의 의의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악장가사≫ 편찬 이전의 궁중 악서가 악보(樂譜) 무보(舞譜) 위주였던 점과 달리 순수 가사 위주의 악서 출현은 악서의 흐름 가운데 큰 변화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악장가사≫는 구비 전승의 국문 가사를 여러 악서의 영향을 받아 기록한 점에서 국문 가사의 기록 전통을 계승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악장가사≫는 예악서의 전문화·분화 편찬의 흐름 속에서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양금신보≫ 등에서 보여 준 국문 가사 수록 전통을 계승해 17세기 궁중에서 편찬된 가사 위주의 최초 시용·상용 악서라 할 수 있으며, 이런 전통은 ≪악학편고≫와 ≪교합가집≫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200자평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순수 노래집으로,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와 함께 한국 시가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고려~조선 시대의 당대 최고 인기 가요를 만나볼 수 있다. 원문을 함께 실어 당시의 국어 표기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옮긴이
김명준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고려대, 상지대, 충북대, 상지대 강사, 고려대학교 초빙 교수, 파키스탄 국립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조교수 및 학과장을 역임했다. 지금은 한림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조선 중기 시가와 자연≫(공저, 2002), ≪악장가사 연구≫(2004,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한국 고전시가의 모색≫(2008), ≪중세 동서 문화의 만남≫(공저, 2008), ≪중세 동서 시가의 만남≫(공저, 2009) 등이 있고, 번역·자료서로 ≪악장가사 주해≫(2004), ≪교주 조선가요 집성≫(2008), ≪개정판 고려속요 집성≫(2008), ≪악장가사≫(2011), ≪시용향악보≫(2011,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차례
1. 속악가사(俗樂歌詞)-종묘영녕전(宗廟永寧殿) 종묘(宗廟) 악장(樂章)
해제
1) 영신(迎神)
2) 전폐(奠幣)
3) 진찬(進饌)
4) 초헌(初獻)-보태평(保太平) 11성(聲)
희문(熙文) 인입(引入)
기명(基命)
귀인(歸仁)
형가(亨嘉)
집녕(輯寧)
융화(隆化)
현미(顯美)
용광(龍光)
정명(貞明)
대유(大猷)
역성(繹成) 인출(引出)
5) 아헌(亞獻)-정대업(定大業) 11성(聲)
소무(昭武) 인입(引入)
독경(篤慶)
탁정(濯征)
선위(宣威)
신정(神定)
분웅(奮雄)
순응(順應)
총수(寵綏)
정세(靖世)
혁정(赫整)
중광(重光)
영관(永觀) 인출(引出)
6) 철변두(撤籩豆)
7) 송신(送神)
2. 아악가사(雅樂歌詞)-문선왕(文宣王) 문묘(文廟) 악장(樂章)
해제
1) 전폐(奠幣)
2) 초헌(初獻) 정위(正位)
연국공(兗國公)
성국공(郕國公)
기국공(沂國公)
추국공(鄒國公)
3) 철변두(撤籩豆)
3. 가사(歌詞)
해제
1) 감군은(感君恩)
2) 정석가(鄭石歌)
3) 청산별곡(靑山別曲)
4) 서경별곡(西京別曲)
5) 사모곡(思母曲)
6) 능엄찬(楞嚴讚)
7) 영산회상(靈山會相)
8) 쌍화점(雙花店)
9) 이상곡(履霜曲)
10) 가시리
11) 유림가(儒林歌)
12) 신도가(新都歌)
13) 한림별곡(翰林別曲)
14) 만전춘(滿殿春) 별사(別詞)
15) 화산별곡(華山別曲)
16) 오륜가(五倫歌)
17) 연형제곡(宴兄弟曲)
18) 상대별곡(霜䑓別曲)
해설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조상들의 덕이 우리 후손(後孫)을 계도하시니,
아! 모습과 베푸심을 생각하매 빛이 납니다.
엄숙하고 정결하게 제사를 받드오니,
우리를 편안케 하시고 소원을 이루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