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미디어 생활 2. 신문
2637호 | 2015년 6월 16일 발행
한국전잰과 미디어 생활 2/10
신문
한반도를 커버한 부산 대구의 전국구 신문
전황 보도, 징병 공고, 배급 안내, 전황 분석, 국제 관계, 전선 르포와 대통령 동정,
피난민 소식과 휴먼 스토리, 개학 통지와 문화 기사까지.
2면짜리 지방지는 하루하루를 버티는 국민의 힘이었다.
한국전쟁이 벌어지자 서울의 주요 신문이 임시 수도 부산과 대구로 피난한다. 대구의 <<영남일보>>와 <<대구매일신문>>, 부산의 <<국제신보>>와 같은 지방지는 서울의 신문들이 자리 잡기 전부터 피난민과 지역 주민을 위해 맹활약을 펼쳤다. 특히 <<영남일보>>는 피난민이 들끓고 있는 대구에서뿐 아니라 전국에서 한때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했다. 전쟁 당시 대구 지역 신문들은 2면으로 발행되었다. 1950년 9월 <<영남일보>>의 지면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계엄사령관 육군소장 정일권 이름으로 된 포고령, 신성모 국방장관의 담화문, 전과 보고, 모집 공고, 배급 안내, 군 관계 인사 인터뷰, 기자회견, 외신으로 들어온 전황,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관계, 국제기구 관련 외신, 종군 특파원의 전선 르포, 대구를 방문했다는 이승만 대통령 동정, 피난민 소식, 찾는 사람, 무훈담, 미담 등 휴먼 스토리, 학교 개학 통지, 그밖에 정치·경제·사회·교육·생활·문화 기사, 사설, 시평이 실려 있다. 여기에 문총구국대원들을 중심으로 시·수필 등 문학작품, 연재소설이 들어갔다. |
한국전쟁기 신문들은 엄격한 사전 검열을 거쳤고 정부 발표 위주로 지면을 꾸렸다. 그러나 전황이 궁금하고 전쟁의 공포 속에서 하루하루 살아가는 주민들에게 신문은 중요한 정보원이었으며 없어서는 안 될 큰 위안이었다.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던 시절, 전쟁으로 피폐해진 국민에게 신문은 순간순간을 버티는 힘이 됐다. 겨우 2면이 발행됐을 뿐이지만 신문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불안에 떠는 국민에게는 살아 있다는 확인, 여전히 세상이 돌아가고 있다는 확인이 되었을 것이다.
김은주, 연합뉴스 논설위원, <<한국의 여기자, 1920~1980>> 지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