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세상에 읽을 수 없는 책이 없게 하라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지구촌고전 / 주행백수
주행백수_앞표지_24092_20250918

주행백수

원서명 舟行百首
지은이 김선 (金䥧)
옮긴이 강혜선
책소개

100편의 파노라마, 붓 끝으로 그려낸 한강 뱃길의 모든 순간
조선 후기 문인 김선(金䥧)이 남긴 100수의 연작시 《주행백수》는 한강 기행시의 새로운 지평을 연 선구적인 작품이다. 이전까지 몇 수의 단편에 그쳤던 한강 주행시(舟行詩)와 달리, 당나라 시를 본보기로 삼아 장편 연작 형식으로 한강 뱃길을 노래한 것은 그가 최초이며, 이후 정약용 같은 대문호들이 그의 뒤를 이었다.
이 시집은 서울을 떠나 여주로 향하는 4~5일간의 뱃길 위에서 보고 겪은 모든 것을 생생하게 담아낸 한 폭의 거대한 파노라마다. 목숨을 걸고 넘어야 했던 험난한 여울의 역동적인 모습, 소금과 콩을 싣고 강을 오르내리는 상선들의 활기, 뱃사람들의 고된 노동과 강촌 주막의 낭만이 눈앞에 그려지듯 생생하게 펼쳐진다. 이는 유적이나 인물 중심의 관념적인 기행시에서 벗어나, 오직 뱃길 위에서의 실제 경험에 집중했기에 가능한 성취다.
하지만 김선은 단순히 바깥 풍경만을 그리지 않는다. 그의 시선은 자신의 내면 깊은 곳으로 향한다. 작품 전반에는 속세를 떠나 자연에 은둔하고 싶은 마음과 관직을 향한 미련 사이에서 갈등하는 ‘진퇴(進退)의 고민’이 짙게 배어 있다. 한강의 출렁이는 물결 위에서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미래를 고뇌하는 한 지식인의 고독한 성찰이 담겨 있다.
《주행백수》는 조선 후기 한강의 풍경과 그곳에서 치열하게 살아가던 사람들의 삶, 그리고 한 인간의 깊은 번민을 총체적으로 담아낸 독보적인 기행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잊혔던 한강의 옛 모습을 발견하고, 시대를 초월하는 인생의 고민에 깊이 공감하게 될 것이다.


 
200자평

《주행백수》는 조선 후기 문인 김선이 서울에서 출발해 여주까지 배를 타고 한강을 여행하며 쓴 5언 절구 연작시 100수다. 험난한 뱃길 풍경과 상선, 뱃사람 등 한강의 생생한 파노라마와 함께, 속세를 향한 미련과 은둔 사이에서 갈등하는 지식인의 깊은 고뇌를 담아 한강 기행시의 새 장을 열었다. 생생한 현장감과 내면 성찰이 어우러진 걸작으로, 유적 중심의 기행시에서 벗어나 조선 후기 한강의 진짜 모습과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을 느끼게 해 준다. 강혜선 교수가 소개하는 시의 배경과 작품에 대한 상세한 해설과 주석, 고전 명화들과 함께 시를 읽노라면 어느새 19세기 한강의 물길이 눈앞에 펼쳐진다.


 
지은이

김선(金䥧, 1772∼1833)은 조선 후기 문인 김려(金鑢)의 아우로 알려져 있다가, 그의 시문집인 《서원시준(犀園詩雋)》, 《진주별고(辰洲別稿)》, 《견월원별고(見月園別稿)》를 수록한 《담정총서(藫庭叢書)》가 영인된 이후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문인이다. 김선은 김려로부터 당대 사가(四家)로 평가되었으며, 김조순(金祖淳), 권상신(權常愼), 신위(申緯), 김정희(金正喜) 등과 교분을 맺었다. 김선은 1801년 강이천(姜彛天)의 유언비어(流言蜚語) 옥사(獄事)를 재조사할 때 심문을 당한 후 평안도 초산(楚山)에 유배되었다가 1806년 형 김려와 함께 해배(解配)되었다. 김선은 1809년 진사에 합격하고, 1818년 경기전 참봉으로 첫 벼슬을 한 뒤, 1820년 문과 급제 후 홍문관 부교리, 북평사, 동부승지, 안주목사, 동래부사 등을 지냈다.


 
옮긴이

강혜선(姜慧仙)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한문학을 전공했고, 옛 문인들의 뜻과 정이 담긴 글을 찾아 소개하기를 좋아한다. 저서로는 《정조의 시문집 편찬》, 《나 홀로 즐기는 삶》, 《한시 러브레터》 등이 있고, 역서로 《유배객, 세상을 알다−김려 산문선》, 《조선 선비의 일본견문록, 해유록》, 《여성한시 선집》 등이 있다.


 
차례

제1수 반송지 언덕에서 말을 달리니
제2수 둥근 석양이 먼 데 나무에 떨어지고
제3수 여울 오를 때는 흰 돌이 많고
제4수 안개 낀 물가의 나무와 하늘
제5수 외로운 배 꿈결같이 아득히 떠가니
제6수 나루터 물 깊은 곳에
제7수 돛을 달고 푸른 산으로 들어가니
제8수 가벼운 바람이 가는 배에 머무니
제9수 맑은 새벽 뱃사공들 모여들어
제10수 거센 여울 바위는 고래 같아
제11수 베개에 기대 거센 여울을 오르니
제12수 강에서 자니 구름이 신발 아래 일어나고
제13수 무시무시한 천오의 물줄기가
제14수 나루터에는 물새 소리 시끌시끌
제15수 주막 아래 노를 멈추니
제16수 뱃사공은 푸른 물결을 넘나들고
제17수 어부가 배를 몰아 나가는데
제18수 동작나루에서 소금을 싣고
제19수 돛을 펼쳐 치호로 들어가
제20수 깊숙한 포구 어디선가 개 짖는 소리
제21수 창랑의 물에 발을 씻고
제22수 안개 속에 나무들은 떠 있는 듯
제23수 드넓은 강으로 외로운 배 들어가니
제24수 깊은 밤 주막집이 환하고
제25수 사방 숲에 벌레 소리 가득하고
제26수 밤이 깊어 외로운 달이 솟고
제27수 앞선 배와 뒤선 배가
제28수 낙엽에 가을비 후드득 내리고
제29수 푸른 대삿갓 반쯤 걸치고
제30수 우르릉 쾅쾅 천둥이 치더니
제31수 아침에는 세음만으로 올라가고
제32수 상뢰와 하뢰는
제33수 양후가 바야흐로 수레를 멈추니
제34수 돛을 나란히 해서 서쪽 물가 출발해
제35수 삐걱삐걱 노 저어 어디로 가나
제36수 노끈을 감은 옛 검은
제37수 짙은 안개 속 주막집 푸른 깃발
제38수 우거진 녹음에 걸린 석양빛이
제39수 찬 강물에 묻노니
제40수 양근의 푸른 숲을 나서니
제41수 하루 내내 안개 낀 강에서
제42수 오늘 저녁은 어느 곳에서 자려나
제43수 산골짝 숲에 어둠이 내리더니
제44수 석양이 찬 상앗대에 머물 때
제45수 강가의 풀은 푸르게 우거졌고
제46수 연꽃 꺾어 은자의 허리띠를 만드니
제47수 삼월에는 단양으로 올라가고
제48수 강을 오를 때는 북풍을 바라고
제49수 모르겠네, 어느 집 딸이
제50수 맑은 아침 구름 낀 포구를 출발해
제51수 백 길 드넓은 여량 폭포에는
제52수 텅 빈 강에 이별의 정 가득한데
제53수 이슬은 겹겹의 마름잎을 적시고
제54수 축축한 안개가 가을 골짜기에 짙은데
제55수 만고 세월 반야뢰는
제56수 삐걱삐걱 노 젓는 배들 모여들더니
제57수 나뭇잎 끌어안고 귀뚜라미 우는데
제58수 아침에 청제산을 떠나
제59수 버들 언덕 안개 짙은 곳에
제60수 오랫동안 혼탁한 홍진에 물려
제61수 대탄의 진목 여울은
제62수 불타고 난 산골짜기 숲과
제63수 들불은 강가 역참을 비추고
제64수 저녁 빛은 나무 끝에서 일고
제65수 둥둥 물 위에 뜬 마름은
제66수 물안개가 하늘까지 가득 퍼지고
제67수 비단을 짠 듯 푸른 들판에
제68수 산골 기운이 푸른 하늘까지 서려 있고
제69수 옛 골짝 구름 깊은 저곳에
제70수 어두워진 강에는 원근 구분이 없는데
제71수 분명 알겠네! 사방 고을에 비가 내려
제72수 하얀 비단을 편 듯한 맑은 강이
제73수 백장 누런 칡 밧줄로 당기고
제74수 포구에는 다투어 배 타느라 떠들썩한데
제75수 삐거덕삐거덕 새벽 노 젓는 소리
제76수 여울 오를 때는 노를 쓰지 않고
제77수 우뚝 백 척으로 솟은 돛단배
제78수 맑은 강은 거울같이 깨끗한데
제79수 휘장 걷고 강가 봉우리로 들어가니
제80수 하늘 끝에 높은 강이
제81수 풍향기 깃대 그림자 둘로 나뉘는데
제82수 포구에는 구름이 막 모이고
제83수 가련하구나! 저 강물은
제84수 새벽 강물에 물오리 떼 어지럽고
제85수 어느 날 금고자는
제86수 소는 대울타리에서 울고
제87수 이웃 배에서 나는 노랫소리 웃음소리
제88수 나루터에 소를 몰고 가는 여인
제89수 산골 논에는 찰벼를 많이 심고
제90수 쩡쩡 나무하는 소리
제91수 키 큰 버들 만여 그루
제92수 강물에는 마름잎이 자랐고
제93수 오월 가뭄에 보리가 나지 않고
제94수 어젯밤 월계에 비 오니
제95수 자욱하게 강 안개 끼고
제96수 용문산 길에는 나무가 둘렀는데
제97수 습한 구름 뭉쳐서 흘러가지 않으니
제98수 새벽달 돛 앞에 머물면서
제99수 산빛은 파사성 너머 보이고
제100수 새벽 골짜기에 비가 막 그치자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제13수 무시무시한 천오의 물줄기가

무시무시한 천오(天吳)의 물줄기가
흰 눈을 뿜어내며 물결을 일으키니,
돌아가는 배가 말처럼 빙빙 도는데
모래톱은 반달처럼 누워 있네.

天吳驚首流
天吳驚首流 跳波噴素雪
歸舟旋似馬 沙洲偃如月

제18수 동작나루에서 소금을 싣고

동작나루에서 소금을 싣고
소금 팔러 충주로 올라가네.
열 사람 힘으로 닻줄을 당기더니
키를 돌리자마자 잽싸게 배를 모네.
駄鹽銅雀津
駄鹽銅雀津 賣鹽上忠州
牽纜十夫力 捩柁捷開頭

제51수 백 길 드넓은 여량 폭포에는

백 길 드넓은 여량 폭포에는
신령한 잉어가 용으로 변한다지.
그대 보게나, 아가미 마르는 곳에
흰 구름이 천만 겹 덮인 것을.
吕梁百丈洪
吕梁百丈洪 神鯉化爲龍
君看曝鰓處 白雲千萬重

제68수 산골 기운이 푸른 하늘까지 서려 있고

산골 기운이 푸른 하늘까지 서려 있고
강물 소리는 개미굴을 요란하게 울리네.
나도 모르게 드넓은 강물에서
부질없이 서울 그리는 꿈만 꾸는구나.
峽氣盤蒼廓
峽氣盤蒼廓 江聲殷礨空
不知烟水濶 漫作秦關夢

제93수 오월 가뭄에 보리가 나지 않고

오월 가뭄에 보리가 나지 않고
칠월 비에 차조 농사가 망했네.
산밭에는 추수할 것이 없어
가을 되자 배를 몰아 나가네.
五月旱無麥
五月旱無麥 七月雨損秫
山田無可刈 秋來操舟出



서지정보

발행일 2025. 9. 30.
쪽수 269 쪽
판형 128*188mm ,  210*290mm
ISBN(종이책) 9791143003485   03810   18800원
ISBN(EPUB) 9791143003508   05810   15040원
ISBN(큰글씨책) 9791143003492   03810   34000원
분류 문학, 시, 지구촌고전, 지만지, 지만지한국문학
시한국한국시
Facebook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성북동1가 35-38)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 소개
    • 컴북스 도서
    • 주제로 찾기
      •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
      • 저널리즘
      • 광고·홍보·마케팅
      • 경제경영
      • 문화
      • 영화
      • 정기간행물
      • 한국어
    • 시리즈로 찾기
      • 한국시나리오걸작선
      • 한국의 저널리스트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컴북스이론총서
      • 만화웹툰이론총서
      • 만화웹툰작가평론선
      • 저널리즘총서
      • 리얼미디어
      • 컴북스팸플릿
      • 아트코리아랩총서
      • 인공지능총서
    • 자료실
    • 지만지 소개
    • 지만지 도서
    • 주제로 찾기
      • 문학
      • 사회
      • 인문
      • 역사
      • 예술
      • 자연
    • 지만지드라마 소개
    • 지만지드라마 도서
    • 장르로 찾기
      • 희곡
      • 연극이론
    • 지만지드라마닷컴
    • 지만지한국문학 소개
    • 지만지한국문학 도서
    • 장르로 찾기
      • 시
      • 소설
      • 수필
      • 평론
      • 문집
      • 동화
      • 동시
    • 시리즈로 찾기
      • 초판본 한국소설문학선집
      •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
      • 초판본 한국문학평론선집
      • 한국동화문학선집
      • 한국동시문학선집
      • 한국수필선집
      • 육필시집
      • 지역 고전학 총서
      • 한국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
      •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 학이시습 소개
    • 학이시습 도서
    • 주제로 찾기
      • 인적 자원 개발
      • 새 시대의 공교육
      • 교사를 위한 수업 매뉴얼
      • 학습 이론&역사
      • 진로설계학습
      • 일상에서배우기
      • 자서전·전기
      • 문해 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지식공작소 소개
    • 지식공작소 도서
    • 주제로 찾기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오디오북스 소개
    • 오디오북스 도서
    • 시리즈로 찾기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세계환상문학걸작선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큰글자책 소개
    • 큰글자책 파트너사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