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AI 시대, 문학 번역의 의미를 다시 묻다
AI 기술의 진보는 번역의 풍경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인공신경망 번역의 등장은 번역을 전문가의 영역에서 누구나 접근 가능한 자동화 기능으로 확장시켰지만, 그만큼 번역가의 존재 이유와 문학 번역의 본질을 다시 묻게 만들었다. 특히 일본 문학은 한자와 가나의 혼용, 주어 생략, 정서적 뉘앙스 등 언어적 복합성이 높아 기계 번역의 한계를 선명히 드러낸다. 이 책은 이러한 복잡한 언어 구조 속에서 인간 번역가의 감각과 AI 기술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를 면밀히 탐구한다. 규칙 기반에서 신경망 기반으로 발전해 온 기계 번역의 역사, 딥엘과 챗지피티 등 최신 도구의 적용 사례, 그리고 일본 문학의 수용사와 고문헌 번역까지 폭넓게 다루며, 기술적 정교함과 인간적 해석의 균형점을 모색한다. AI가 언어를 빠르게 처리할수록 인간의 감정, 문화, 맥락을 옮기는 ‘문학적 번역’의 가치가 더욱 선명해진다. 이 책은 “AI가 번역할 수 없는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에 두고, 일본 문학 번역을 통해 인공지능 번역의 철학적 미래를 사유한다.
200자평
AI는 문학을 번역할 수 있을까? 속도와 효율을 넘어 감정과 맥락을 옮길 수 있을까? 이 책은 일본 문학 번역을 통해 기술과 인간 해석의 접점을 탐구하며, AI 시대 문학 번역의 새로운 의미를 제시한다. 인공지능총서. aiseries.oopy.io에서 필요한 인공지능 지식을 찾을 수 있다.
지은이
노윤지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에서 일본문학・일본문화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동대학 일어일문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2003년 문부과학성 초청 연수 유학생으로 도쿄가쿠게이대학교(東京学芸大学校)에서 수학했다. 2014년 일본 종합 문예지 《구자쿠센(孔雀船)》에 한국 시와 수필을 번역했고 2015년 대산문화재단의 외국 문학 번역 지원 사업으로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의 《시골선생(田舍敎師)》을 번역했다. 2021년 《미키 로후 시선(三木露風詩選)》, 2023년《무로 사이세이 시선(室生犀星詩選)》, 2025년 《사토 하루오 시선(佐藤春夫詩選)》을 번역 출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미키 로후(三木露風) 시 연구 : 상징주의 시를 중심으로”, “《관광조선(観光朝鮮)》을 통해 본 조선 관광과 문화의 이동 양상 : 특집 기사와 투고문을 중심으로”, “기행문집 《신일본구경(新日本見物)》(1918)을 통해 본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식민지 인식” 등이 있다.
차례
인공지능 번역의 미래를 사유하다
01 기계 번역의 발전
02 일본의 온라인 AI 번역
03 일본 문학과 AI의 활용
04 일본 문학 번역의 흐름
05 일본 문학 번역의 특성
06 AI와 고어 번역
07 AI 번역의 예시
08 AI 시대 번역가의 역량
09 AI 시대 번역 윤리와 저작권 문제
10 AI 번역의 미래와 일본 문학 연구의 전망
책속으로
《도쿄도동정탑(東京都同情塔)》(2024)으로 제170회 아쿠타가와상(芥川龍之介賞)을 수상한 소설가 구단 리에(九段理江)는 소설의 5%를 생성형 AI로 썼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그는 이어서 2025년 3월 한 잡지사의 주관으로 AI 활용 창작 실험에 참여해 95%를 생성형 AI에 의존한 단편 소설 〈그림자 비(影の雨)〉를 발표했는데 소설의 시작과 끝부분은 직접 집필해 방향성을 설정했고 나머지 95%는 챗지피티를 통해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 4천 자 분량의 소설을 위해 20만 자에 달하는 프롬프트를 입력했으며 작품과 함께 프롬프트 전체를 공개해 AI와 작가 간의 창작 대화와 아이디어의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보여 주었다.
-03_“일본 문학과 AI의 활용” 중에서
2017년 2월 국제통역번역협회와 세종대학교·세종사이버대학교의 공동 주최로 열린 AI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대결에서 번역 속도는 AI가 인간을 압도했으나 정확성과 언어 표현력, 논리 타당성 등 3개 항목에서는 월등한 점수 차이로 인간이 압승했다. 이에 대해 ‘번역기는 단어의 다의적 성격과 맥락을 파악하지 않은 단순 번역을 해 아직 인간을 따라올 수 없었다’고 평가받았으며, 이를 통해 문학 번역과 같은 창조적 재해석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아직까지도 인간 번역가의 역할을 대체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05_“일본 문학 번역의 특성” 중에서
이러한 번역 방식은 번역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번역가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번역의 질을 향상시킬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AI 기술의 발달은 번역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도구로 활용되며 번역가는 더욱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번역가의 노동 강도를 완화하고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결국 기계 번역 포스트 에디팅은 번역 품질을 높이고 AI와 인간의 협업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 내는 중요한 과정이다.
-08_“AI 시대 번역가의 역량”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