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속도가 아닌 깊이, 편집은 이제 설계다
단순히 컷을 자르고 붙이는 기술서를 넘어, 생성형 AI 시대에 ‘편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새롭게 정의한다. 이제 영상 편집자는 기계의 기능을 조작하는 기술자가 아니라, AI가 만든 수많은 장면과 데이터를 지휘해 감정과 의미의 흐름을 설계하는 창작 설계자다. 촬영 없이 장면을 만들고, 음성·효과음을 자동 생성하며, 리듬과 감정의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동시에 AI가 제시하는 무한한 가능성 속에서 인간 편집자만이 구현할 수 있는 감정의 결, 윤리적 판단, 스토리텔링의 통찰을 중심에 둔다. 자동화된 도구를 넘어 ‘의도를 편집하는 두뇌’가 되는 길, 바로 그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프롬프트를 통해 콘셉트를 시각화하고, 자동 편집·자막·사운드 정리를 효율화하는 실전 전략부터, 장르별 컷 구성·감정 리듬 설계·몰입도를 높이는 서사 구조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나아가 저작권과 딥페이크, 투명성과 신뢰의 문제를 다루며, AI 시대의 편집 윤리와 인간의 역할을 다시 묻는다. 기술의 속도를 좇는 대신, 왜 이 컷이 이 자리에 있어야 하는가를 묻는 사유의 편집자, 즉 ‘AI 영상 마스터’로 성장하는 여정을 담았다.
200자평
AI가 장면을 만들고 편집을 자동화하는 시대, 진짜 편집자는 기술을 지휘하며 감정과 의도를 설계하는 사람이다. 이 책은 프롬프트·리듬·윤리·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속도보다 깊이를 추구하는 AI 협업 편집자의 새로운 감각과 철학을 제시한다. 인공지능총서. aiseries.oopy.io에서 필요한 인공지능 지식을 찾을 수 있다.
지은이
박인수
한국영상대학교 영상 편집제작학과 부교수다. 미시건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 전공으로 디지털 미디어 아트 & 테크놀로지(Digital Media Arts & Technology)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24년부터 본교 마이스터대학 영상 편집전공 석사과정 전공주임을 맡고 있다. 아세안 TVET 프로그램 인도네시아 교환학생 영상 편집 및 색 보정 수업 영어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2024∼2029년). 영상 편집 이론 및 실습 서적 《편집의 신(Scene)》(2023), 《AI와 넥스트 미디어》(2025)의 저자다. 2019년부터 전 세계 100여 개 대학교 영화영상대학이 소속된 국제학회 CILECT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9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정보통신대학교(TUIT) 파견 교수로 현지 영상 전공 학부 수업을 담당했으며, 2014년에는 애플 파이널 컷 프로 10.1 공인 교재 번역을 수행했다.
차례
손끝에서 두뇌로, 그리고 미래로
01 영상 편집, 왜 누구나 할 수 있나?
02 손끝의 예술가에서 두뇌의 설계자로
03 생성형 AI와 영상 편집의 원리
04 AI 영상 편집 도구 총정리
05 자동화: 반복은 기계에게, 창의는 내게
06 텍스트로 영상을 만드는 시대
07 콘텐츠 목적에 따른 편집 전략
08 AI 편집 도구의 조합과 워크플로 설계
09 편집 윤리와 진실, 그리고 인간의 감각
10 AI 영상 마스터란?
책속으로
앞으로의 편집자는 단순히 주어진 영상을 잘 자르고 붙이는 사람이 아니다. 프롬프트를 통해 원하는 미장센, 미술, 구성, 카메라 앵글, 색감까지 세밀하게 수정·실험하는 과정이 편집의 핵심이 된다. 이 능력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많은 시간, 경험, 실패를 거쳐야만 AI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영상 촬영 없이도 손쉽게 소스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은 매력적이지만, 내가 원하는 장면과 질감의 결과물을 만드는 일은 오히려 더 어려워질 수도 있다.
-01_“영상 편집, 왜 누구나 할 수 있나?” 중에서
템플릿 자동 편집은 ‘기성복’처럼 무난하지만 개성이 부족하다. 반면, 정교한 프롬프트는 맞춤 재단된 편집 결과를 만든다. 예를 들어 “10대 여성 타깃, 유쾌한 톤, 감정 고조는 15초 전후”라는 조건은 AI가 감정 곡선에 맞춘 편집 흐름을 제안하도록 한다. 음악, 색감, 자막 타이밍까지 하나의 리듬으로 묶여 설계된다. 결국 프롬프트 작성 능력이 곧 편집자의 전략적 사고 역량이 된다.
-03_“생성형 AI와 영상 편집의 원리” 중에서
텍스트 기반 영상 생성은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니라, 창작자의 정체성을 재정의하는 사건이다. 기존에는 카메라가 현실을 포착했다면, 이제 언어가 ‘가능한 현실’을 생성한다. 이는 마치 영화가 연극을 넘어섰을 때와 유사한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하지만 기술이 아무리 정교해져도, 질문은 인간이 던져야 한다. 프롬프트는 단순한 입력값이 아니다. 그것은 세계를 보는 당신의 방식, 철학, 그리고 당신이 전달하고 싶은 감정의 언어다. 언어를 어떻게 다루느냐가 곧 영상의 정서를 결정한다.
-06_“텍스트로 영상을 만드는 시대” 중에서
윤리는 거창한 선언에서 시작되지 않는다. 그것은 편집자의 손끝에서 선택되는 사소한 컷 하나에서 시작된다. 인터뷰의 한숨을 남길 것인가, 지울 것인가. 침묵의 여운을 살릴 것인가, 덮어 버릴 것인가. 그 작은 선택들이 모여 작품의 진실성을 결정한다. AI가 지금보다 훨씬 발전해도, 당신이 느끼는 그 감정의 떨림은 당분간은 기술로 만들어 낼 수 없다. 그리고 바로 그 떨림이 이 시대 편집자의 진짜 무기다.
-09_“편집 윤리와 진실, 그리고 인간의 감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