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지구촌고전 / 원각경 강해
9791143005779

원각경 강해

지은이 작자미상
옮긴이 지안
책소개

번뇌의 어둠을 걷어 내는 깨달음의 빛
《원각경(圓覺經)》은 단박에 깨치는 돈교(頓敎)의 법문을 담은 경전으로, 예로부터 보조 국사 지눌, 함허 득통 등 수많은 선지식들이 궁극의 가르침을 담은 ‘요의경(了義經)’으로 신봉하며 수행의 지침으로 삼아왔다. 전통 강원 교과목으로 채택될 만큼 불교 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 심오한 경전을 오랫동안 연구, 강의해 온 지안 스님이 명쾌하게 풀어낸다.
이 경전의 핵심은 ‘무명을 끊고 불성을 드러낸다(斷無明 顯佛性)’는 가르침에 있다. 경은 12명의 보살이 차례로 부처님께 법을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먼저 문수보살의 질문을 통해, 우리가 겪는 모든 번뇌와 고통의 근원인 무명(無明)의 정체를 ‘허공에 핀 헛꽃(空華)’에 비유한다. 눈병 난 이가 허공에서 헛꽃을 보듯, 중생이 자신의 몸과 마음을 ‘나’라고 착각하는 것이 무명의 실체이며, 이는 본래 생긴 곳도 실체도 없는 꿈과 같은 것임을 명확히 밝힌다.
그렇다면 이 실체 없는 무명은 어떻게 끊어 낼 수 있는가? 이어지는 보현보살의 물음에 여래는 ‘허깨비로써 허깨비를 닦는다’는 역설적인 수행법을 제시한다. 허깨비 같은 마음으로 허깨비 같은 경계를 멀리 여의려는 노력 또한 허깨비임을 깨달을 때, 모든 허깨비가 사라져 본래의 청정한 깨달음이 드러난다고 설한다. 이는 나무를 비벼 불을 일으키면 불이 나무를 모두 태우는 것과 같다. 《원각경》은 특별한 방편이나 점진적 차례 없이도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돈교의 진수를 보여 준다.
《원각경 강해》는 이처럼 깊고 오묘한 원각의 세계를 한 걸음씩 차근차근 안내한다. 경전의 구조를 따라 각 장의 핵심 요지를 명확히 짚어 주고, 난해한 비유와 가르침을 현대적 언어로 친절하게 해설한다. 이 책은 번뇌의 실체를 알고자 하는 이들, 그리고 진정한 마음의 평화를 찾고자 하는 오늘날의 모든 구도자에게 자신의 본래 면목을 비추는 밝은 지혜의 등불이 되어 줄 것이다.


 
200자평

단박에 깨치는 돈교(頓敎)의 정수를 담은 《원각경》을 수십 년간 연구 강의해 온 전문가이자, 조계종 승가대학원장, 반야불교문화연구원 원장인 지안 스님이 현대적 언어의 풀이와 정확한 원문, 친절한 해설로 알기 쉽게 소개한다. 번뇌의 근원인 무명(無明)은 실체 없는 ‘허공의 헛꽃’과 같으며, ‘허깨비로써 허깨비를 닦는다’는 역설적 가르침을 통해 특별한 방편 없이도 본래의 청정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번뇌를 소멸하고 마음의 평화를 찾으려는 이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지은이

작자미상
미상


 
옮긴이

지안
지안은 1947년생으로 1970년 통도사로 출가한 이후 승가 교육 기관인 전통강원에서 불교 경전을 공부했다. 오랫동안 교학을 연구하며 강원의 강주(講主)를 지내고 강사 양성 교육 기관인 조계종 종립 승가대학원장으로 재임했다. 승가 고시위원장을 지냈으며 역경에도 종사했다. 현재는 통도사 반야암에 머물고 있으며 반야불교문화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금강경 이야기》, 《대승기신론 신강》, 《선가귀감 강의》, 《선시산책》 등이 있고, 역서로는 《왕오천축국전》, 《금강경 강해》가 있으며, 산문집으로 《마음의 정원을 거닐다》, 《산사는 깊다》, 《학의 다리는 길고 오리 다리는 짧다》 등 다수가 있다.


 
차례

제1장 문수장(文殊章)
1. 경의 서막
2. 문수보살이 인지법행(因地法行)을 묻다
3. 원각이란 다라니 문이 있다
4. 무명이 무엇인가?

제2장 보현장(普賢章)
1. 보현보살이 수행의 방법을 묻다
2. 일체 허깨비가 여래의 원각묘심(圓覺妙心)에서 나온다
3. 헛것으로써 헛것을 닦는다(以幻修幻)

제3장 보안장(普眼章)
1. 보안보살이 마음 쓰는 방편을 묻다
2. 이 몸의 실체는 없다
3. 헛것이 없어져도 헛것 아닌 것은 없어지지 않는다
4. 깨달음의 성품은 세계를 감싼다

제4장 금강장장(金剛藏章)
1. 금강장보살이 미혹의 근본이 무엇인가 묻다
2. 윤회 속에서는 원각을 보지 못한다

제5장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1. 미륵보살이 윤회의 근본이 무엇인가 묻다
2. 미혹의 근본은 은애와 탐욕이다
3. 다섯 가지 성질의 차별과 두 가지 장애

제6장 청정혜장(淸淨慧章)
1. 청정혜보살이 수행의 점차와 차별을 묻다
2. 원각의 자체 성품은 차별이 없으나 근기에 따라 오성(五性)의 차별이 있다
3. 일체 장애가 구경각이다

제7장 위덕자재장(威德自在章)
1. 위덕자재보살이 관행(觀行)을 묻다
2. 부처님이 답하시다

제8장 변음장(辯音章)
1. 변음보살이 삼관을 닦는 방법을 묻다
2. 이십오륜(二十五輪)

제9장 정제업장장(淨諸業障章)
1. 정제업장보살이 네 가지 상(相)을 제거하는 방법을 묻다
2. 사상(四相)이 있게 된 이유
3. 사상(四相)을 알지 못하면 성과(聖果)를 이루지 못한다
4. 상(相)은 공(空)한 것이다

제10장 보각장(普覺章)
1. 보각보살이 병(病)을 여의는 방법을 묻다
2. 네 가지 병

제11장 원각장(圓覺章)
1. 원각보살이 안거(安居)와 참회(懺悔)하는 법을 묻다
2. 삼관(三觀)을 닦을 때

제12장 현선수장(賢善首章)
1. 현선수보살이 후세의 일을 묻다
2. 돈교 대승임을 천명하다

해설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1. 금강장보살이 미혹의 근본이 무엇인가 묻다
그때 금강장보살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얼른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의 발 앞에 절을 하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 두 무릎을 세워 꿇고, 두 손을 포갠 자세로 부처님께 사뢰었다.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일체 보살들을 위해 여래의 청정한 원각의 대다라니와 부처 되기 전 법의 수행과 점차와 방편을 잘 말씀해 주시어 중생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시니, 모여 있는 대중은 부처님의 자비로운 가르침을 받자와 헛것의 가림이 환해져서 지혜의 눈이 밝아졌나이다. 세존이시여, 중생이 본래부터 부처였다면 무슨 까닭에 다시 온갖 무명이 있게 되었습니까? 만일 무명이 본래부터 있는 것이라면 무슨 까닭에 여래께서는 본래부터 부처를 이루었다 하십니까? 만일 시방의 중생이 본래 불도를 이루었다가 나중에 무명을 일으킨다면 일체 여래는 언제 다시 일체 번뇌를 일으키겠습니까? 바라옵건대 끝없는 대자비를 버리지 마시와 보살들을 위해 몰래 숨겨 두셨던 가르침[秘密藏]을 열어 주시고, 겸해서 말세의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이와 같은 수다라[sutra : 경전의 범어(梵語)]의 이치를 끝까지 다 설하신 법문을 듣고 길이 의심을 끊게 하옵소서.”
이렇게 말하고는 다섯 활개를 땅에 던져 절을 하고, 세 번을 거듭 청하면서 같은 동작을 되풀이했다.
於是 金剛藏菩薩 在大衆中 卽從座起 頂禮佛足 右繞三匝 長跪叉手 而白佛言 大悲世尊 善爲一切諸菩薩衆 宣揚如來 圓覺淸淨 大陀羅尼 因地法行 漸次方便 與諸衆生 開發蒙昧 在會法衆 承佛慈誨 幻翳朗然 慧目淸淨 世尊 若諸衆生 本來成佛 何故 復有一切無明 若諸無明 衆生本有 何因緣故 如來 復說本來成佛 十方異生 本成佛道 後起無明 一切如來 何時 復生一切煩惱 惟願不捨無遮大慈 爲諸菩薩 開秘密藏 及爲末世一切衆生 得聞如是修多羅敎 了義法門 永斷疑悔 作是語已 五體投地 如是三請 終而復始

그때 세존께서 금강장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다. 참으로 훌륭하다. 선남자여, 그대가 지금 보살들과 말세의 중생을 위해 여래에게 매우 깊고 비밀스러운, 더 이상 말할 것이 없는 마지막 방편을 물으니, 이는 보살들의 가장 높은 가르침인 이치를 끝까지 다 말한 대승 법문으로서 시방의 닦고 배우는 보살들과 말세의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결정된 믿음을 얻어 영원히 의심을 끊게 하는 일이라 하겠다. 그대들은 지금 자세히 들어라. 그대들에게 말해 주리라.”
그때 금강장보살이 분부를 받잡고 기뻐하면서 대중과 함께 조용히 귀를 기울이고 기다렸다.
爾時 世尊 告金剛藏菩薩言 善哉善哉 善男子 汝等 乃能爲諸菩薩 及末世衆生 問於如來 甚深秘密 究竟方便 是諸菩薩 最上敎誨 了義大乘 能使十方修學菩薩 及諸末世一切衆生 得決定信 永斷疑悔 汝今諦聽 當爲汝說 時 金剛藏菩薩 奉敎歡喜 及諸大衆 黙然而聽

해설
금강장보살이 부처님께 물은 말은 누구나 묻고 싶은 말이다. 중생이 본래 부처였다면 왜 다시 온갖 무명이 있게 되어 중생이 되어 버렸냐는 것이다. 만약 무명도 본래 있던 것이라면 왜 본래 부처였다고 하느냐는 질문이다. 이것은 미혹의 근본을 물은 말이다. 당연한 질문 같지만 여기서 생각해야 할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법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바로 불변(不變)과 수연(隨緣)인데 이를 체(體)와 용(用)이라고도 한다. 불변은 근본 성품 자리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말하면 물의 근본 성품이 산소와 수소의 결합 H2O라면 이것은 변할 수가 없다. 그러나 기온의 조건에 따라 액체에서 기체 또는 고체로 변해 수증기가 되기도 하고 얼음이 되기도 하는 것은 수연이다. 현상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 연을 따르는 수연(隨緣)인 것이다. 금강장보살의 질문은 이 불변과 수연의 두 뜻 중 한쪽에 치우쳐서 물은 결과가 된다. 중생이 부처였다면 왜 중생이 되었느냐 하는 것은 불변의 체만 생각하고 수연의 용을 모르는 데서 생긴 의심이고, 무명(無明)이 본래 있었던 것이라면 왜 본래 부처라고 말하느냐 하는 것은 수연의 용만 알고 불변의 체를 모르는 데서 나온 의심이다. 본래 부처였던 중생이 나중에 무명을 일으켜 중생이 되었다면 지금 부처는 언제 무명을 일으켜 중생이 될 것이냐 하는 것은 성인과 범부의 경계를 혼동해 일으키는 의문이다. “중생의 사유(思惟)하는 마음으로 여래의 원각 경계를 헤아리는 것은 반딧불을 가지고 수미산을 태우려는 것과 같다”는 경문의 구절이 《원각경》 안에 있다.



서지정보

발행일 2025년 6월 30일
쪽수 209 쪽
판형 128*188mm ,  210*290mm
ISBN(종이책) 9791143005779   03220   22800원
ISBN(큰글씨책) 9791143005786   03220   37000원
분류 인문, 지구촌고전, 지만지
12보살경전해설규봉종밀단무명현불성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대승불교돈오불교경전 및 숭배의 글불타다라요의경주석지눌평론
Facebook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성북동1가 35-38)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 소개
    • 컴북스 도서
    • 주제로 찾기
      •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
      • 저널리즘
      • 광고·홍보·마케팅
      • 경제경영
      • 문화
      • 영화
      • 정기간행물
      • 한국어
    • 시리즈로 찾기
      • 한국시나리오걸작선
      • 한국의 저널리스트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컴북스이론총서
      • 만화웹툰이론총서
      • 만화웹툰작가평론선
      • 저널리즘총서
      • 리얼미디어
      • 컴북스팸플릿
      • 아트코리아랩총서
      • 인공지능총서
    • 자료실
    • 지만지 소개
    • 지만지 도서
    • 주제로 찾기
      • 문학
      • 사회
      • 인문
      • 역사
      • 예술
      • 자연
    • 지만지드라마 소개
    • 지만지드라마 도서
    • 장르로 찾기
      • 희곡
      • 연극이론
    • 지만지드라마닷컴
    • 지만지한국문학 소개
    • 지만지한국문학 도서
    • 장르로 찾기
      • 시
      • 소설
      • 수필
      • 평론
      • 문집
      • 동화
      • 동시
    • 시리즈로 찾기
      • 초판본 한국소설문학선집
      •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
      • 초판본 한국문학평론선집
      • 한국동화문학선집
      • 한국동시문학선집
      • 한국수필선집
      • 육필시집
      • 지역 고전학 총서
      • 한국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
      •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 학이시습 소개
    • 학이시습 도서
    • 주제로 찾기
      • 인적 자원 개발
      • 새 시대의 공교육
      • 교사를 위한 수업 매뉴얼
      • 학습 이론&역사
      • 진로설계학습
      • 일상에서배우기
      • 자서전·전기
      • 문해 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지식공작소 소개
    • 지식공작소 도서
    • 주제로 찾기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오디오북스 소개
    • 오디오북스 도서
    • 시리즈로 찾기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세계환상문학걸작선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큰글자책 소개
    • 큰글자책 파트너사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