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AI는 이미지를 만들고, 디자이너는 맥락을 만든다
2022년 등장한 미드저니와 달리2는 이미지 제작의 판을 바꾸었다. 몇 줄의 문장만으로 생성되는 고품질 이미지에 디자이너들은 놀라고 흔들렸다. 생성형 AI가 가져온 디자인 환경의 변화와 그 속에서 디자이너가 새롭게 수행해야 할 역할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유튜브 섬네일, SNS 비주얼, 웹콘텐츠 이미지처럼 반복적이고 다량의 작업에 AI는 강력한 도구다. 그러나 AI가 만드는 이미지를 ‘의미 있는 결과물’로 완성하는 일은 여전히 사람의 몫이다.
이 책은 프롬프트 설계, 이미지 선별, 브랜드 부합도 판단, 타깃 소구 감각 등 전략적 디자인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와 협업해 자신만의 스타일을 유지하는 방법과 실전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까지 단계적으로 안내한다. 이미지가 넘쳐나는 시대, 무엇을 만들까보다 어떻게 해석할지가 디자이너의 본질임을 다시 일깨운다.
200자평
생성형 AI의 도입으로 바뀐 디자인 환경에서 디자이너가 어떤 역량을 갖춰야 하는지를 짚는다. 효율보다 중요한 것은 선택과 의미화다. 이제 디자이너는 맥락의 전문가다. 인공지능총서. aiseries.oopy.io에서 필요한 인공지능 지식을 찾을 수 있다.
지은이
선정훈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박사 과정생이며, 동의대학교 광고홍보학과, 동명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경남정보대학교미디어 영상학과에서 겸임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디자인앤테크놀로지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크리에이터 및 콘텐츠 관련 제작 강의를 부산 지역 여러 센터(부산콘텐츠코리아랩, 부산디자인진흥원, 상상플러스부산,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동구여성인력센터 등)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영상 콘텐츠와 이미지 제작 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2023, 2024) 심사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여러 유튜브 채널(부산시, 기장군, 박기량TV, 다다채널 등)을 운영·기획·제작해 오며 콘텐츠 제작 컨설팅·멘토링을 진행하고 있다.
차례
디자인과 AI의 만남
01 AI의 발전과 디자이너 대체 가능성
02 AI 디자인 도구의 현재와 미래
03 AI 기반 콘텐츠 이미지 디자인 프로세스
04 AI 창의성 증폭 방법
05 AI 콘텐츠 이미지 디자인 툴 소개
06 AI 콘텐츠 이미지 제작 사례 분석
07 AI 기반 디자인 스타일 구축
08 AI 활용 포트폴리오 전략
09 AI와 디자인 직군 변화
10 AI 시대 디자이너의 핵심 역량
책속으로
반복적이고 수작업이 필요한 작업을 AI가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디자이너는 더 높은 수준의 창의적 판단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는 ‘생산’ 중심에서 ‘선택과 조율’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이미지 제작에서 디자이너는 미드저니나 달리와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다수의 시안을 생성하고, 그 결과물 중 브랜드 정체성과 맞는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재편집한다. AI는 효율성과 다양성을 제공하고, 디자이너는 콘텐츠의 의도·맥락·감정·일관성을 판단해 최종 이미지를 완성한다. 이처럼 AI와 디자이너는 보완적인 협업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핵심은 디자이너가 창의적 통제력을 놓치지 않고 주도권을 유지하는 것이다.
-01_“AI의 발전과 디자이너 대체 가능성” 중에서
생성형 AI가 제공하는 이미지는 출발점으로서 매우 유용하지만, 그것이 곧바로 콘텐츠 이미지로 완성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AI 결과물은 미적인 완성도는 뛰어나지만, 콘텐츠의 목적, 브랜드의 정체성, 전달하려는 메시지의 맥락과는 다소 어긋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때 디자이너의 역할은 단순한 선택자가 아니라, AI 결과물을 분석하고 편집하며 전략적으로 조율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기획자이자 큐레이터로 확장된다. 예를 들어, AI가 생성한 섬네일 이미지가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색상이 브랜드의 톤 앤드 매너와 맞지 않거나, 전달하려는 감정과 반대의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을 경우, 디자이너는 그 이미지의 구도, 색상, 인물 배치 등을 다시 조정하거나 아예 재생성을 요구해야 한다.
-03_“AI 기반 콘텐츠 이미지 디자인 프로세스” 중에서
내 인기 게임인 배틀그라운드(PUBG) 관련 유튜브 콘텐츠의 섬네일 제작 프로젝트에서는 동일한 장면(예: ‘벽 뒤에 숨어 적을 조준하는 긴장감 넘치는 순간’)을 주제로 여러 AI 툴을 활용해 섬네일을 제작하고, 실제 게임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진행한 사례가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 미드저니는 사실성과 감성적 분위기를 강조한 이미지로, 달리는 구체적 구성과 명확한 구조를 가진 섬네일로 각각 제작되었다. 플레이그라운드 AI는 여러 프롬프트 실험을 통해 다양한 스타일의 시안을 빠르게 시각화할 수 있었으며, 크리에이터들은 시안 중에서도 “AI 이미지가 전통 이미지보다 더 흥미를 유발하며, 클릭 유도에 효과적이었다”라는 의견을 다수 표했다.
-06_“AI 콘텐츠 이미지 제작 사례 분석” 중에서
이 모든 변화 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자이너가 자신의 정체성을 단순 기능 수행자가 아닌 ‘의미 설계자’로 재정립하는 것이다. AI가 할 수 없는 일은 ‘기술을 넘은 감각’, ‘문제의 맥락을 읽는 통찰’, ‘문화와 사회를 해석하는 창의성’이다. 디자이너는 이러한 인간 고유의 인식 능력을 바탕으로, AI가 생성한 결과물들을 전략적으로 정리하고, 브랜드와 사용자 경험 사이의 스토리텔링을 설계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앞으로 디자이너는 단지 결과물을 만드는 사람이 아니라, AI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사고’를 제안할 수 있는 설계자가 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자신만의 미적 철학과 기술 전략을 균형 있게 개발해야 한다.
-09_“AI와 디자인 직군 변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