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AI 시대, 나만의 커리어 나침반
인공지능은 산업 구조와 직업 지형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향후 5년 내 일자리의 23%가 변화하거나 소멸할 것으로 전망했고, 매킨지는 2030년까지 업무 시간의 30%가 자동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단순 노동은 물론 전문직까지 AI의 영향권에 들어섰다. 그러나 동시에 AI 엔지니어, 데이터 큐레이터, AI 윤리 관리자 등 새로운 직업 대륙이 열리고 있다. 변화의 충격과 기회가 교차하는 지금, 필요한 것은 막연한 두려움이 아니라 나만의 커리어 지도를 그려 가는 일이다.
이 책은 사라지는 일자리와 새롭게 떠오르는 직업, 그리고 인간과 AI의 협업 기술을 종합적으로 살핀다. AI 윤리, 스킬 이코노미, 질문력과 실력 중심 경쟁력 같은 주제는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구체적 실행 전략과 연결된다. 학생에게는 맞춤형 진로 탐색과 학습법을, 직장인에게는 리스킬링·업스킬링과 포트폴리오 전략을 제시하며, 누구나 AI 시대의 커리어 항해사가 될 수 있는 나침반을 제공한다. 기술은 길을 바꾸지만, 방향은 우리가 정해야 한다.
200자평
AI는 일자리를 파괴하는 동시에 새로운 기회를 창출한다. 사라지는 직업과 떠오르는 능력을 짚고, 학생, 직장인 모두가 AI 시대를 살아갈 자기만의 커리어 나침반을 세우도록 안내한다. 인공지능총서. aiseries.oopy.io에서 필요한 인공지능 지식을 찾을 수 있다.
지은이
신승인
AI융합교육연구회 회장이자 인공지능 교육 실천가다. 서울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장, 산업정보학교 및 경기기계공업고 교장을 역임하며 교육 현장에서 AI 기반 진로 교육과 커리큘럼 혁신을 선도해 왔다. 일본 도쿄한국교육원장을 지내며 재외교육기관의 AI 교육 인프라를 구축했고, 국무총리소속 국가산학협력위원회 민간위원, 교육부 교육과정 중앙컨설턴트,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교육 정책과 AI 전략의 연결점을 설계했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컴퓨터교육학 석사, 숭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를 취득했고 인공지능 및 정보문화 유공으로 홍조근정훈장(2024)을 수상했다. 현재 전국 교원 및 전문가와 함께 AI 융합 교육 세미나, AI 창의 경진대회, AI 리터러시, 진로 설계 프로젝트 등을 기획하며 인공지능 시대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기술의 본질을 통찰하고, 데이터를 전략으로 연결하며,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교육 생태계를 만드는 데 힘쓰고 있다.
차례
AI 시대의 길을 찾는 지도와 칼, 생존 전략
01 AI 빅뱅 시대
02 AI와 직업 지형의 충돌 지도
03 직업의 미래 경계선
04 공존의 루트맵
05 윤리의 경계 지도
06 스킬 이코노미의 시대
07 AI 시대 핵심 역량
08 청소년과 대학생을 위한 AI 활용법
09 커리어 리셋 로드맵
10 나만의 커리어 나침반 만들기
책속으로
인류는 앞으로 낙관론자들이 말하는 ‘초생산성, 초협업의 사회’로 나아갈 수도 있고, 비관론자들이 경고하는 ‘신뢰 위기, 일자리 붕괴, 디지털 통제의 사회’로 갈 수도 있다. 이는 단순히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어떤 윤리적, 사회적 나침반을 가지고 미래 기술을 다루느냐의 문제다. 지금 우리에게는 ‘AI 시대의 미래 지도’를 새롭게 그릴 책임이 있다. 그 지도에는 기술 혁신의 방향과 함께 인간의 존엄과 공존, 지속 가능성의 경로가 함께 표시되어야 한다.
-01_“AI 빅뱅 시대” 중에서
인공지능 시대 생존 전략은 직무보다 역량 중심으로 설계하여 직무가 자동화될 수 있음을 전제로 역량과 사고방식 중심으로 커리어를 설계해야 한다. 모듈형 커리어를 구성하여 하나의 직업이 아닌 다양한 프로젝트, 직무, 역할을 연결하여 유연한 커리어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에서 직업의 미래 경계선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나의 기술 수준, 가치관, 선호하는 일의 방식 등을 객관적으로 진단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03_“직업의 미래 경계선” 중에서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이 주도하는 스킬 이코노미 시대에는 ‘직업’이라는 개념이 고정된 것이 아니며, 개인의 경력 역시 하나의 길이 아니라 끊임없이 분기하고 회귀하는 ‘항로’로 인식된다. 진로는 더 이상 학교, 자격, 학위만으로 직선처럼 이어지는 것이 아니고, 자기 주도적으로 재설계하고 탐험해야 할 다층적 경로가 되었다.
-06_“스킬 이코노미의 시대” 중에서
인공지능이 모든 직장인의 일상이 된 지금, 성공하는 사람과 뒤처지는 사람의 차이는 단 하나다. 바로 인공지능 도구를 얼마나 능숙하게 활용하느냐다. 이론적 지식보다 실무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도구 활용법을 익히는 것이 리스킬링과 업스킬링의 가장 빠른 지름길이다.
-09_“커리어 리셋 로드맵”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