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미디어 생활 1. 삐라
2635호 | 2015년 6월 15일 발행
한국전잰과 미디어 생활 1/10
삐라
2,500,000,000장, 한반도를 덮었다
하늘에서 25억 장을 뿌렸다.
삐라는 인민군의 품속에 간직되었다.
단순하고 유치한 커뮤니케이션이지만 전쟁은 불안하고 목숨은 단순하다.
소리 없는 총성이 전쟁의 주인을 바꾸었다.
| 한국전쟁기 삐라는 ‘들리지 않는 총성’이고 ‘종이 폭탄’이며, ‘심리전의 보병’이 었다. 미 육군부 장관 페이스(Pace)가 ‘적을 삐라에 파묻어 버릴 것’을 명령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전쟁수단이었다. 전쟁이 일어난 지 3일째 되던 6월 28 일, 미 극동군 심리전과에서 무려 1176만 장이나 되는 삐라를 처음 제작, 살포했다. 그해 10월 말에 1억 장, 1951년 1월 26일에 2억 장을 돌파했으며, 11월 말까지 8억 장을 넘어섰다. 전쟁 발발에서 휴전까지 25억 장 이상의 삐라 가 살포되었다. 이렇게 살포된 삐라는 소구 대상자들에게 상당한 효과를 발휘했다. 특히 안 전보장증명서 형식의 삐라는 포로로 잡힌 대부분의 적병사가 소지하고 있었 고, 공산당의 하급 간부들까지 만일을 위해 소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북한군이 점령한 서울에서 피난가지 못한 남한주민들은 유엔군의 삐라를 받 아보고 미군이 남한을 돕고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면서 위안을 얻 었다. 뉴스를 접하기 어려웠던 농촌 지역에서 삐라는 전황을 전하고 아군을 격려하는 중요 수단이었다. |
삐라에 담긴 정보는 대부분 매우 한정적이고 반복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전쟁 당사자들이 전쟁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전쟁의 성격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좋은 자료다. 삐라는 한국전쟁기 가장 중요한 심리전 매체였다고 할 수 있다.
김영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지은이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