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양수 사선
2556호 | 2015년 4월 24일 발행
당황스럽고 민망한 구양수의 민낯
홍병혜가 옮긴 구양수(歐陽修)의 ≪구양수 사선(歐陽修 詞選)≫
구양수의 진짜 얼굴
정치가이자 문학가,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
시와 산문으로 만난 구양수다.
그러나 사로 만나는 구양수의 민낯은 그렇지 않다.
개인, 해이, 유흥의 모습이 나타난다.
당황스럽고 민망한 인간의 본연.
인생에는 본래 미련한 감정이 있는 것이니
玉樓春 其四
尊前擬把歸期說, 술잔 앞에서 돌아갈 날을 말하려고 하는데
未語春容先慘咽. 말하기도 전에 아름다운 그녀는 목이 메어 있네.
人生自是有情癡, 인생에는 본래 미련한 감정이 있는 것이니
此恨不關風與月. 이러한 원망은 바람과 달과는 무관한 것이라네.
離歌且莫翻新闋. 이별 노래를 신곡으로 바꾸지 않아도
一曲能敎腸寸結. 한 곡으로 이미 마디마디 애간장이 끊어졌네.
直須看盡洛城花, 진실로 모란꽃을 다 보아야지만
始共春風容易別. 비로소 봄바람과 쉽게 이별할 수 있을 것이라네.
≪구양수 사선≫, 구양수 지음, 홍병혜 옮김, 83쪽
본래 미련한 감정이란?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면 만나게 되는 감정과 회한을 말한다.
지금 누구와 헤어지는 것인가?
이름을 알 수 없는 기녀다. 구양수가 살았던 북송 때는 도시가 발달했고 문화의 분위기가 기녀와의 여흥을 자연스럽게 인정하고 유도했다.
스쳐 지나가는 사랑인가?
비록 기녀였지만 일회의 만남은 아니었다. 구양수는 결혼 생활이 불행했다. 하여 기녀와의 사랑에 진심을 다했다.
기녀와의 사랑을 담은 노래를 세상이 용인했는가?
당시 사는 국민 문학의 형식이었다. 작가의 마음을 표현하는 데 가장 유리한 수단이었다. 구양수는 반듯한 시문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많은 감정을 사를 이용해 신랄하게 드러냈다. 당시 그것이 결격이나 비난의 사유가 되지는 않았다.
당시 세태의 반영인가?
그렇다. 구양수는 사를 이용해 당황스럽고 민망한 내용과 표현을 적잖게 보였다. 하지만 인간으로서 자연스러운 모습이었고 호소력이 있다.
당황스럽고 민망한 표현이란?
예컨대 기녀와 동침한 이후의 모습을 다소 선정적으로 묘사한 사가 있다. 그녀의 신체에 대해 묘사하는가 하면 애절한 감정과 애틋한 그리움도 거침없이 토로한다.
구양수의 사는 그의 문학에서 어떤 의미가 있나?
그의 문학 세계의 전체 면모를 파악할 수 있다. 그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사를 반드시 읽어야 한다.
우리에게 알려진 구양수는 어떤 모습인가?
정치가이자 문학가로,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이다. 그의 문학 작품을 언급할 때 시와 산문은 익숙하지만 사에 대해서는 생소하다. 사람들은 구양수를 유학과 밀접하다고 생각했다.
유학과 가까운 구양수는 어떤 모습인가?
개인보다는 사회에, 해이한 것보다는 경직되고 긴장된 것에, 유흥적인 것보다는 건설적인 것에 가깝다. 하지만 이것은 그의 전모가 아니다. 그의 사는 구양수 문학에 대한 이런 오해를 일소하고 환기할 수 있는 결정적인 관건이다.
그의 전모는 무엇인가?
뛰어난 문인이었지만 때로는 자유롭게 유흥할 줄도 아는, 풍부한 감정을 지닌 사람이었다.
구양수의 사는 처음 소개되는 건가?
그렇다. 번역서가 없는 현실에서 그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 처음으로 번역 작업을 단행했다.
작품은 어떻게 엮었나?
≪전송사(全宋詞)≫에 실린 266수 중 그동안 미세하게라도 연구되었거나 간헐적으로나마 언급되었던 작품을 중심으로 93수를 선정했다.
사에는 제목이 없는데 위 제목은 어디서 얻은 것인가?
사의 원문에서 각 작품의 제목처럼 제시되는 사조(詞調)는 단지 음악성을 제시하는 역할이며 사의 내용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사의 제목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래서 번역서에서는 작품마다 내용을 대변하는 몇 구절을 본문에서 도입해 제목처럼 사용했다.
당신은 누구인가?
홍병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대학에서 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