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한국인이 가장 보편적으로 즐기는 여가 활동이 드라마 시청이고, 드라마와 음악에서 시작된 한류는 세계에 한국을 알리는 데 큰 공헌을 했다. 하지만 드라마의 제작과 유통 과정을 살펴보면 그리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빤한 스토리와 낡은 연출로 한국 드라마에 대한 수요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드라마의 산업적 연구가 많지 않은 현실에서 이 책은 제작과 유통을 경제적으로 바라봤다. 드라마를 제작하는 주체, 요소, 제작 결정 과정 등을 살폈고, 드라마 거래, 제작비용, 수익 모델, 드라마 수출 등에서 유통 부문을 알아봤다. 드라마 제작사의 경영 현황과 대표적인 제작사의 강점과 약점을 정리했다. 드라마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유용하다.
지은이
권호영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위원이다. 미디어와 문화 콘텐츠 산업과 정책을 경제학을 이용해 분석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국제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990년부터 5년 간 KT에서 통신 산업과 정책을 연구했다. 1995년 한국방송개발원(현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 이직해 방송 산업과 방송 정책을 연구했다. 저서로 『스마트 미디어의 이해』(공저, 2014), 『공영방송의 이해』(공저, 2012), 『방송의 미래와 전략, 2017』(공저, 2008), 『한국의 지상파방송사 경영전략』(공저, 2006), 『세계의 지상파방송사 경영전략』(공저, 2006) 등이 있다. “광고 수요의 매체 간 대체성에 관한 분석”(≪한국언론학보≫, 2006), “PP의 집단별 성과의 분석”(≪방송연구≫, 2005) 등과 『방송콘텐츠 해외유통 지원방안 연구: 국제견본시를 중심으로』(2014), 『드라마 편성, 제작 그리고 내용분석』(2014), 『문화융성시대에 지역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2014), 『애니메이션 제작 센터 구축 방안 연구』(2013), 『방송영상산업 진흥 5개년 계획 연구』(2012) 등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차례
01 국민 오락, 드라마
02 드라마의 제작 방식·주체·요소
03 드라마 제작 결정과 시청률 요인
04 드라마 거래와 제작 비용
05 드라마 제작 비용의 증가와 조달
06 드라마 제작사의 수익 모델
07 드라마별 수익 사례
08 한류를 선도한 드라마
09 드라마 제작사의 경영
10 드라마 제작사별 강점과 약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