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애니메이션의 원리는 무엇이고 그 미학은 어떠한가. 문화 변동과 애니메이션 제작 양식의 변화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으로의 변화 과정에서 어떤 미학적 이슈들이 제기되었는가. 이 글은 이러한 질문들의 답을 찾기 위한 과정이다.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이슈들과 관련한 열 개의 개념을 추출하여 그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그들이 효과적으로 재현되고 있는 대표 작품을 분석해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의 주요 이슈들을 정리해 본다.
지은이
류재형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서강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현대자동차(주)에 잠시 재직했다.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부설 KBS방송아카데미 연출과정을 거쳐,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뉴욕시립대학교 영화학과에서 석사, 조지아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40대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했다. 주 연구 분야는 영화·애니메이션 이론 및 비평이며 영상 시각효과 미학에 관심을 두고 있다. 2012년 한림대학교 교육부문 최우수교수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명화를 만든 10가지 시각효과』(2015, 세종도서 예술부문 선정)와 『언론학 교육의 혁신 모델』(공저, 2014)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응답하라 1994> 삽입곡의 서사적 전진: 배경에서 전경으로”(2015, 한국방송학회 학술상 수상), “한국형 분단 블록버스터 영화의 장르적 진화”(2014,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학술상 수상), “3D 입체영상의 현실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2013), “<아바타>, 정보 네트워크 사회의 재현”(2010),“영상 특수효과 미학과 생산 양식의 변화: 디지털 시각효과의 포스트모더니티”(2009) 등이 있다.
차례
01 잔상 효과와 애니메이션
02 ‘매혹의 영화’와 애니메이션
03 미키마우징 효과의 서사적 기능
04 슈퍼 히어로와 가면의 힘
05 모더니즘과 애니메이션
06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 합성
07 기교성과 현실 효과,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08 사이보그와 모션 캡처, 디지털 캐릭터 애니메이션
09 디지털 캐릭터의 ‘두려운 낯섦’
10 디지털 리얼리즘의 조건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애니메이션의 초창기 이미지를 재현한 영상 기구들은 잔상 효과의 원리를 응용, 확장하면서 발전했다. 1824년 영국의 의사 피터 로제(Peter Roget, 1779∼1869)가 잔상 효과를 설명한 기록을 남긴 이후, 그 이듬해인 1825년 또 다른 영국인 의사 존 패리스(John Paris, 1785∼1856)는 로제의 잔상 효과 개념을 이용해 소마트로프(thaumatrope)라 불리는 최초의 요지경 장난감을 고안한다. 소마트로프는 원판(disk)의 양면에 상호 보완적인 내용의 그림을 그린 후 좌우 양 끝에 끈을 연결해 두 손으로 잡고 비틀어 두 그림이 서로 겹쳐 보이게끔 만드는 놀이 기구다.
‘잔상 효과와 애니메이션’ 중에서
애니메이션의 미키마우징 효과는 영화의 배경음악과 매우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배경음악은 시각 정보의 불완전성을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새로이 창작된 곡이거나 기존의 곡이 삽입된 것을 말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미키마우징 효과는 초기 유성 애니메이션이 필연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는, 특히나 대사보다는 시각 이미지에 더 익숙한 유아 내지는 아동기의 관객을 대상으로 제작됨으로써 감내할 수밖에 없는 대사 정보의 불완전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미키마우징 효과의 서사적 기능’ 중에서
가면을 착용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주어지는 새로운 정체성은 착용자가 가면을 벗자마자 사라지고 가면을 착용하기 전의 정체성으로 다시 돌아간다. 그러나 착용자가 가면을 착용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즉 가면을 착용해 익명성을 획득한 후 행위를 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가면에게는 새로운 정체성이 부여되는 동시에 가면을 썼을 때에만 등장하는 전형적 특성이 생성된다. 이것이 바로 가면이 창조하는 익명적 전형성인데, 일단 가면이 부여되면 착용자가 누구든 그 익명적 전형성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착용자가 가면의 전형성을 따르지 않으며 그 가면의 정체성은 사라지고 새로운 정체성이 부여될 때까지 일정 기간이 다시 소요된다.
‘슈퍼 히어로와 가면의 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