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컴북스플랫폼에서 아티클 서비스 이용하기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지구촌고전 / 문학 / 장마 전후
장마전후_앞표지_1판1쇄__ok_180206

장마 전후

읽기   인티  

            
원서명 つゆのあとさき
지은이 나가이 가후 (永井荷風)
옮긴이 인현진
책소개

나가이 가후는 도쿄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고증적인 눈을 번뜩이며 무엇이든 기록하곤 했다. ≪장마 전후≫에 에도 도쿄의 긴자나 서민가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가 그려 낸 도쿄는 정감과 역사가 고스란히 녹아 있어, 가히 도쿄라는 도시를 그린 고전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그의 착실한 고증은 도시의 풍경 뒤에 도사리는 어두운 단면까지 포착한다.
당시는 간토 대지진과 금융 공황, 세계 공황이 겹쳐 사회적 불안, 사상적 혼란이 심화되고 찰나주의, 향락주의가 만연한 시기였다. 변모해 버린 도쿄에는 새로운 성 풍속인 카페가 급격하게 불어나고 매춘을 하는 여급이 대거 출현했다. 새로운 풍물에 민감했던 가후의 호기심을 끄는 데 충분한 소재였다. 가후는 카페 여급으로 일하며 매춘을 일삼지만 자유롭고 상냥한 주인공 기미에를 내세워, 당대 카페 여급의 음란한 행태를 꼬집는 동시에 진취적이지 못하고 남성에 의존적인 여성의 태도를 비판한다. 또한 여색에 빠진 카페의 남성 손님들을 뻔뻔하고 얄밉게 그려 내어, 여성을 금전으로 소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저 잠깐의 유희거리로 업신여기는 남성들을 향해 일침을 가한다.
1920년대 후반 도쿄의 비뚤어진 남녀들을 향한 나가이 가후의 싸늘한 시선은 과연 당대만을 향하고 있을까? 한 세기 가까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물질만능주의와 향락주의가 팽배하고 올바른 남녀관의 확립은 멀고도 험하다. ≪장마 전후≫는 아직도 버리지 못한 우리의 그릇된 가치관을 탈피하는 데 좋은 거울이 되어 줄 것이다.


 
200자평

간토 대지진 이후 변모한 1920년대 후반 도쿄의 모습을 담고 있다. 당시 도시 생활을 상징하는 카페와 여급의 생활을 통속적으로 그려 내며 외설적인 여급과 여색에 빠진 남자를 싸늘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나가이 가후의 뛰어난 관찰력과 고증을 엿볼 수 있다.


 
지은이

나가이 가후[본명 소키치(壮吉)]는 1879년 12월 3일 도쿄 고이시카와 구에서 태어났다. 1894년 병에 걸려 입원하는 바람에 학업을 잠시 중단한 가후는 병원과 요양지에서 에도 시대의 통속 소설인 희작(戯作) 문학을 탐독했다. 반년 후 복학했지만 학업에 흥미를 잃은 가후는 퉁소와 한시를 배우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한다. 1897년 엄격했던 아버지가 일본 우선(郵船)의 상해 지점장이 되어 집을 비우자 유곽에 출입하면서 한학자의 아들답게 에도 음악, 만담, 우키요에(浮世絵) 등에 빠져 지냈는데, 유흥비를 마련하기 위해 집에 있던 한문 서적을 내다 팔기도 했다. 1898년에 히로쓰 류로의 문하생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이와야 사자나미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에밀 졸라에 심취했다. 1902년부터 ≪야심(野心)≫, ≪지옥의 꽃(地獄の花)≫, ≪꿈의 여자(夢の女)≫를 발표했는데, 특히 ≪지옥의 꽃≫은 모리 오가이(森鴎外)의 극찬을 받아 인기를 끌었다. 1908년 가후는 8월에 ≪미국 모노가타리(アメリカ物語)≫를, 이듬해 3월에는 ≪프랑스 모노가타리(ふらんす物語)≫를 출간했지만 퇴폐적 내용과 일본에 대한 모욕적 표현 등이 문제가 되어 발매 금지를 당한다. 같은 해 12월부터는 아사히(朝日) 신문에 ≪냉소(冷笑)≫를 연재하면서 신인 작가로 주목을 받게 된다. 1910년 모리 오가이와 우에다 빈의 추천으로 게이오(慶應)대학 문학부 교수가 된다. 불어와 불문학을 가르치는 한편으로 대문호들과 친분을 쌓는다. 1916년 대학과 심각한 의견 대립을 겪은 가후는 교수직을 그만두고 신주쿠의 요초마치(余丁町)로 이사하는데, 자기 집을 단초테이라고 부르고 1917년 9월부터 여기에서 이름을 따 ≪단초테이 일기≫를 쓰기 시작한다. ≪단초테이 일기≫는 1959년까지 40년 이상 계속되어 가후의 개인사뿐만 아니라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사료로서 가치가 크다. 이후 가후는 ≪힘겨루기≫(1917)를 비롯해 ≪에도 예술론(江戸芸術論)≫(1920), ≪오카메자사≫(1920), ≪장마 전후≫(1931), ≪그늘의 꽃(ひかげの花)≫(1934), ≪묵동기담(濹東綺譚)≫ 등의 작품을 남긴다. 1952년 에도 문학 연구의 업적을 인정받아 문화 훈장을 받았으며, 이듬해에는 일본예술원 회원으로 뽑힌다. 말년에 두문불출하고 홀로 살다가 1959년 4월 30일 새벽 서재 겸 침실에서 피를 쏟고 쓰러져 숨을 거둔 채 발견되었다. 향년 80세였다.


 
옮긴이

인현진은 연세대학교를 거쳐, 경희대학교 동양어문학과에서 <요코미쓰 리이치(横光利一)의 유물론적 인식에 대한 고찰−≪상하이≫를 중심으로−>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쿄 오테마치(大手町)에 있는 주식회사 대한재보험 동경 사무소에서 통·번역 비서로 근무한 바 있으며, 영진전문대학과 영남이공대학, 한국IT교육원, 평생교육원 등에서 전임 강사로 일했다.
번역서로는 ≪구니키다 돗포 단편집≫, ≪요코미쓰 리이치 단편집≫, ≪바다에서 사는 사람들≫, ≪씨앗, 그리고 열매≫, ≪하루 5분으로 만나는 일본문학 괴담편 : 인간의자≫, ≪귤(하루 5분으로 만나는 일본문학 대표작가 단편선)≫, ≪하루 5분으로 만나는 일본문학 동화편 : 화재와 포치≫, ≪가이코 다케시 단편집≫, ≪오카모토 가노코 중단편집≫, ≪하루 5분으로 만나는 일본문학 환상소설 편 : 묘한 이야기≫가 있고, 저서로는 ≪시나공 JLPT 일본어능력시험 N1 문자어휘≫, ≪비즈니스 일본어회화 & 이메일 핵심패턴 233≫, ≪비즈니스 일본어회화 & 이메일 표현사전≫, ≪일본어회화 표현사전≫이 있다.
현재 기업체에서 일본어를 가르치며 번역에 힘쓰고 있다.


 
차례

장마 전후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하루요가 전화를 걸러 일어서자 마침 테이블 담당이었던 사다코가 흑맥주와 땅콩 접시를 들고 와서 기요오카에게 술을 따랐다.
“저 말이죠. 선생님이 쓰신 소설을 읽을 때마다 옛날 생각이 많이 나요. 딱히 배역을 받지는 못했지만 처음으로 가마타에 들어갔거든요.”
“사다코, 네가 가마타에 있었다고?”
기요오카는 한 손에 컵을 든 채 사다코의 얼굴을 삐딱하게 쳐다보며 물었다.
“왜 그만뒀나?”
“왜긴 왜겠어요. 싹수가 노랬거든요.”
“빈말이 아니라 사다코쯤 되는 얼굴이면 활동사진에 잘 맞을 텐데…. 감독이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니까 그렇지. 여자란 자고로 뭐가 됐든 남자가 밀어주지 않으면 말짱 헛것이야. 여류 작가도 다소나마 이름을 알리려면 영락없이 후원자가 필요한 법이거든.”
-32~33쪽



서지정보

발행일 2018년 3월 9일
쪽수 210 쪽
판형 128*188mm ,  210*297mm
ISBN(종이책) 9791128829093   03830   18000원
ISBN(PDF) 9791128829116   05830   14400원
ISBN(EPUB) 9791128829123   05830   14400원
ISBN(큰글씨책) 9791128829109   03830   28000원
분류 문학, 지만지
소설일본일본소설
Facebookgoogle_plus



위로가기

출판브랜드 가기
컴북스
지만지
학이시습
지식공작소
노마
오디오북

컴북스플랫폼에서
아티클 서비스 이용하기


기획시리즈 가기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컴북스이론총서
초판본 한국소설문학선집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
초판본 한국문학평론선집
한국동화문학선집
한국동시문학선집
지만지한국희곡선집
육필시집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표현력을 키우는 한국문학 읽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한국동화문학선집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지만지한국희곡선집
    •    100인의배우우리문학을읽다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