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평론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평론을 대표하는 주요 평론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권영민의 문학 연구의 원점에는 항상 언어가 놓여 있다. 그의 비평적 좌표는 언어에서 출발하여 통시적으로는 역사로, 공시적으로는 구조로 확장된다. 혹은 역사와 본질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하나의 텍스트 속에 통합된다. 그가 문학사를 연구하면서, 혹은 비평 활동을 전개하면서 항상 가장 중요하게 언급했던 것은 언제나 언어였다. 그런 점에서 끊임없이 역사를 이야기하고 시대정신을 말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텍스트를 벗어난 적이 없다. 그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문학주의 내지는 텍스트주의의 길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권영민이 보여 준 텍스트주의자로서의 면모는 이 선집에 수록된 여러 글들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한국 현대문학의 출발점에 놓여 있는 개화 계몽 시대를 말하면서 그가 가장 중요하게 언급하고 있는 것은 바로 ‘국어 국문 운동’이었다. 개화 계몽기의 국어 국문 운동은 “단일하고 일원적인 언어체였던 한문의 지배로부터 모든 담론을 근본적으로 해방”했으며, 이를 통해 “일상의 언어에 담겨 있는 사건, 의미, 이념, 감정 등을 구체적인 담론의 형태로 산출”할 수 있게 되었고, 더 나아가 “사물에 대한 사고와 인식의 체계를 전환시켜 놓은 일종의 문체 혁명”을 가능하게 했다고 평가한다. 국어 국문 운동이라는 초석 위에서 문학은 비로소 민족의 현실을 노래하고 형상화할 수 있었고, 현대적인 성격을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비단 문학사 서술에서의 선언적인 명제로 머물지 않는다. <<진달래꽃>의 언어와 해석 문제>, <정지용의 ‘유선애상’에 대하여>를 살펴보면 이러한 언어에 대한 섬세한 감각이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에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보여 주고 있다.
권영민에게 텍스트는 일종의 암호다. 텍스트를 읽는다는 것은 작가가 숨겨 놓은 암호를 해독하는 일이다. 그런데 텍스트라는 암호가 해독될 수 있다는 것은 일관된 규칙을 지니고 있다는 가정을 필요로 한다. 규칙이 없다면 암호는 결코 해독될 수 없다. 규칙만 발견할 수 있다면, 텍스트의 곳곳에 산포되어 있는 암호들의 의미를 온전히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소설 ‘동해(童骸)’의 서사적 중층성> 또한 이러한 암호 해독의 과정이다. 앞서 언급한 시 분석과 다른 점이 있다면, 암호 해독의 과정이 평면적인 차원에 머물지 않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져 있는 중층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뿐이다.
때때로 권영민은 텍스트 바깥의 역사와 현실로 시야를 확장하곤 한다. <조정래의 ‘태백산맥’과 분단 현실>이라든가 <박완서의 ‘미망’과 가족사적 소설 구조>에서 보이는 것처럼 텍스트에 내재한 단서를 바탕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로 인도하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 경우에도 출발은 항상 텍스트였다. 그는 텍스트에서 출발하여 텍스트로 돌아온다. 역사와 현실로 넓어지더라도 그 끝에서는 반드시 텍스트로 귀환한다. 이러한 확장과 수축의 과정 속에서 해석은 풍부해지고 깊어질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200자평
비평가 권영민은 문학사 연구와 문학비평 사이의 균형을 가장 잘 보여 준다. 그는 문학은 텍스트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는 단순하면서도 근원적인 지점에서 출발해 그 길을 매진했다. 그가 오랫동안 학문적·비평적 자기 갱신을 이루는 과정을 보면 경이와 존경의 마음을 품게 된다.
지은이
권영민(權寧珉)은 1948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4년 동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덕성여자대학, 단국대학교 교수를 거쳐 1981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과 교수로 부임했다. 재직 당시 인문대학장과 한국현대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미국의 하버드대학과 버클리대학, 일본의 도쿄대학 등에서 한국문학 초빙 교수를 지냈다. 미국 콜럼비아대학 출판부에서 간행한 ‘한국문학 시리즈’의 책임자로서 한국문학의 본격적인 해외 소개를 주도해 왔다.
순문예지 ≪문학사상≫의 편집 주간을 1987년부터 맡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단국대학교 석좌교수로 있다.
1971년 대학 재학 시절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평론 <오노마토포이아의 문학적 한계성>이 당선되어 본격적인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한국 현대문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개화 계몽 시대에는 전근대적 봉건주의의 청산, 일제 식민지 시대에는 식민지 극복과 민족국가의 회복, 그리고 광복 이후에는 분단 극복을 통한 통일 국가의 건설을 설정하고, 각 시기의 다양한 문학 활동이 이념적이고 미적인 측면에서 이 과제를 인식하고 극복하는 데 어떤 역할을 담당했는가를 문제 삼는다.
이러한 문학 연구와 비평 태도는 <한국 근대문학론의 쟁점>(1983), <해방 40년의 문학>(1985), <카프의 조직과 해체>(1988), <정지용 시의 해석 문제>(2003), <이상을 다시 묻다>(2008) 등의 기획 평론을 통해 잘 드러난다.
그의 연구 활동은 통합주의적 해석 태도를 근거로 하여 개화 계몽 시대의 신소설 연구를 비롯하여 일제 식민지 시대에는 계급문학 운동과 모더니즘 운동을 그리고 광복 이후에는 북한 문학 전반을 포괄해 내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총체적인 한국 현대문학사 서술의 길을 개척했다.
한국 근대문학의 사적 체계화를 위해 발간한 저서로는 ≪한국 근대문학과 시대정신≫(1983), ≪해방 직후의 민족문학 운동 연구≫(1987), ≪한국 민족문학론 연구≫(1988), ≪한국 계급문학 운동사≫(1998), ≪서사 양식과 담론의 근대성≫(1999) ≪국문 글쓰기의 재탄생≫(2006) 등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와 비평 활동을 집대성한 ≪한국현대문학사 1·2≫(2003)를 발간했다.
이와 함께 문학사의 기술을 위한 실증적인 자료 정리를 위해 ≪한국 현대 문학비평사≫(전 6권, 1981), ≪한국 현대문학사 연표≫(1985), ≪한국 근‧현대 문인 대사전≫(1991) ≪한국 현대문학 대사전≫(2004) 등을 발간했으며, 한국 현대문학의 작품사적인 체계화를 위해 ≪해방 40년의 문학≫(전 4권, 1985)과 ≪한국 현대문학 대계≫(전 9권, 1994) 등의 앤솔러지를 편집했고, ≪염상섭 전집≫(전 13권, 1987), ≪김동인 전집≫(전 17권, 1987)을 책임편집한 후 ≪김소월 시전집≫(2007), ≪이상 전집≫(전 4권, 2009)과 ≪한용운 문학전집≫(전 6권, 2011) 등을 펴냈다.
저서로는 텍스트의 미시적 분석과 통합적 해석을 목표로 하는 실천 작업으로 ≪정지용 시 126편 다시 읽기≫(2004), ≪이상 텍스트 연구≫(2009), ≪이상 문학의 비밀 13≫(2012) 등이 있으며, 평론집 ≪소설의 시대를 위하여≫(1983), ≪소설과 운명의 언어≫(1992), ≪문학사와 문학비평≫(2009), ≪문학, 시대를 말하다≫(2012) 등이 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제7회 두계학술상(진단학회, 1988), 제5회 서울문화예술평론상(서울신문사, 1988), 제35회 현대문학평론상(현대문학사, 1990), 제4회 김환태평론문학상(문학사상사, 1992), 불교문학평론상(조계종, 2004), 보령문화예술상(보령시, 2005), 만해대상 학술부문상(조계종, 2006), 시와시학 평론상(시와시학사, 2009),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서울대, 2009), 우호 인문학 저술상(우호문화재단, 2013) 등을 수상했다.
해설자
김종욱은 1967년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1930년대 한국 장편소설의 시간-공간 구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에는 ≪중앙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되었다. 세종대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소설의 시간과 공간≫, ≪한국 현대소설의 서사 형식과 미학≫, ≪한국 현대문학과 경계의 상상력≫ 등의 연구서와, ≪소설 그 기억의 풍경≫, ≪텍스트의 매혹≫ 등의 평론집이 있다.
차례
한국 근대문학사의 연구 방법
근대소설의 기원으로서의 신소설
<진달래꽃>의 언어와 해석 문제
정지용의 <유선애상(流線哀傷)>에 대하여
이상 소설 <동해(童骸)>의 서사적 중층성
조정래의 ≪태백산맥≫과 분단 현실
박완서의 ≪미망≫과 가족사적 소설 구조
해설
권영민은
해설자 김종욱은
책속으로
한국 근대문학사는 문학의 역사이기 때문에, 한국의 근대사라는 말이 지시하는 시대적 범주를 벗어날 수 없다. 한국 근대문학은 한국 사회의 근대적 변혁 과정에서 형성된 공동체의 산물이다. 이러한 규범적 의미는 한국 근대문학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하나의 전제 조건이 된다.
-<한국 근대문학사의 연구 방법>
<유선애상>에서 그리고 있는 시적 대상은 무엇일까? 어떤 연구자의 주장대로 ‘택시’일까? 아니면 다른 어떤 해석이 가능한가? 이쯤에서 나 자신이 이제껏 숨겨 둔 답을 먼저 공개하기로 하자. 나의 카드에는 ‘자전거’라고 적었다. 이 시에서 그려 내고 있는 시적 대상은 자전거다.
-<정지용의 <유선애상(流線哀傷)>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