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Korean Informal Reading Inventory, 이하 KIRI)는 읽기능력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진단하는 도구로, 수준별 어휘 목록과 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KIRI를 통해 교사는 개별 아동의 단어 인식 능력, 유창성, 어휘력, 이해력뿐만 아니라 읽기 태도, 흥미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KIRI는 기준에 따라 아동의 능력을 서열화하는 검사가 아니라 어휘력과 지문 이해력의 개인별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는 도구다. 진단 결과는 아동에게 적합한 수업이나 적절한 교육 지원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교사들은 읽기능력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수준에 맞는 텍스트를 선정하거나 아동의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는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다. 학교 교사, 독서 지도사, 홈스쿨 교사, 학원 강사 등 아동의 읽기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모든 사람은 KIRI 검사 결과로 얻는 여러 가지 정보를 근거로 아동에게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읽기능력 발달을 종단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특정한 읽기 행위의 과정과 결과를 구성하는 요인들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이가 정해진 단계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읽기능력을 발달시켜야 한다거나, 어떤 시점에 어느 측면에만 초점을 두고 읽기 지도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읽기능력은 목적이나 동기, 사회적 맥락 등과 함께 신념과 태도, 능력, 특정 영역에 관한 지식, 과정들이 어우러지면서 계속 성장하고 발달하는 총체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보아야 한다. 읽기능력 진단에서 발달적 차이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평균 수준의 독자들이 거쳐 가는 발달 과정에 비추어서 특정 독자가 보여 주는 발달적 특징을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읽기능력 진단은 발달 과정에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읽기능력의 강·약점을 잘 파악하여 읽기 지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모든 사람이 능숙한 독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200자평
읽기능력을 다면적으로 진단하는 검사 도구로, 읽기능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표준화된 검사가 아니라 교수자, 학부모가 피검사자 읽기능력의 질적 측면을 확인하게 해 주는 비형식적 검사 도구다. 읽기능력의 강·약점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읽기 지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모든 아동이 능숙한 독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지은이
정옥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 전공 교수
(사) 한국북앤리터러시연구소장
전 한국독서학회 회장
김효숙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 전공 겸임교수
한국독서교육연구소(협) 이사장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 박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 전공 석사
이명희
한국독서교육연구소(협) 수석연구원
청어람 국어논술 원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 전공 석사
양애린
한국독서교육연구소(협) 책임연구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 전공 석사
전 가톨릭대학 교수학습센터 선임연구원
김여정
한국독서교육연구소(협) 책임연구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 전공 석사
차례
서문
01 읽기능력의 발달
02 읽기능력의 구성 요인
단어 인식 능력
독해력
03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구성
수준별 어휘 목록
수준별 지문
04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활용
현재 아동의 읽기능력 수준 파악
읽기 과정에서 아동의 강점과 약점 분석
읽기 문제의 원인과 지도 방법 모색
05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시행 방법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시행 방법
검사 준비
검사 절차 및 소요 시간
06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 결과 분석 사례
읽기 부진의 초등 6학년 학생
기초 학력이 부족한 초등 중학년 학생
난독이 의심되는 초등 중학년 학생
외국어 영향을 받은 초등 저학년 학생
07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의 개발 과정
예비 검사
1차 검사
2차 검사
참고문헌
부록: 다면적 읽기능력 진단 검사지
책속으로
읽기 속도는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읽기 속도는 독자가 글을 읽는 목적과 선택한 읽기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을 위해 글을 읽는 독자는 자료의 내용이 어려우면 천천히 읽을 것이다. 텍스트의 구조와 내용의 친밀성, 저자가 선택한 어휘 수준에 의해 결정되는 텍스트 난도는 읽기 속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한편 읽기 속도는 읽기 방식(음독 혹은 묵독), 독자의 연령과 인지 처리 속도, 사용한 읽기 전략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읽기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다양하기 때문에 읽기 속도에 대해 엄격한 규준을 만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 4쪽
아동의 읽기능력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평가를 통해 수집되는 자료의 성격에 따라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로 구분한다. 양적 평가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사용해서 필요한 정보를 양적으로 수집하는 것을 말한다. 양적 평가는 과학성과 정밀성에도 불구하고 평가 대상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밝히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질적 평가는 관찰과 기록 등을 통한 언어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말한다. 질적 평가는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상당히 많이 의존한다. 따라서 평가 대상의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으나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소지가 있다. 또한 평가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는 상호 보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