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디지털 뉴스룸에 대한 개념 못지않게, 구체적인 운영과 관련된 논의들 역시 많은 혼선을 빚어왔는데, 이는 해당 매체나 국가의 특성을 무시한 채 일반론적인 논의전개를 한 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제작 시스템과 통합적 운영, 크게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디지털 뉴스룸을 기술하고, 각 차원에 해당하는 국내외 사례들을 집중 분석했다. 또한 업계와 학계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실제 운영상의 애로점과 여론 획일화 문제 등을 짚는다.
지은이
윤호진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 『텔레비전 선거 여론조사 보도: 쟁점과 대안』, 『갈등과 통합의 관점에서 본 대선 전후 방송과 신문의 논조 비교』 등이 있고, 이외 다수의 방송분야 논문이 있다.
차례
머리말
Ⅰ. 디지털 뉴스룸의 등장배경과 개념적 이해
1. 디지털 매체환경의 등장과 저널리즘 패러다임의 변화
2. 디지털 뉴스룸의 개념적 이해
3. 디지털 시대 뉴스매체 이용방식 변화의 현상과 본질
4. 책의 구성과 전개방향
Ⅱ. 제작 시스템 차원에서 본 디지털 뉴스룸
1. 디지털 뉴스룸의 시스템 구축 필요성과 파급효과
2. 디지털 뉴스룸의 구성영역과 추진방향
3. 국내 사례 분석: 지상파 방송 3사의 디지털 뉴스룸 추진 현황
4. 영국 사례 분석: BBC와 ITN을 중심으로
5. 스페인 사례 분석: Tele 5와 Antena 3를 중심으로
6. 일본 사례 분석: NHK와 주요 민방을 중심으로
Ⅲ. 통합적 운영 차원에서 본 디지털 뉴스룸
1.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통합 뉴스룸 개념의 등장
2. 국내 사례 분석: 매경 미디어그룹의 뉴스룸 통합 프로젝트
3. 미국 사례 분석: 뉴스룸 통합 모델에 대한 다각적 이해
4. 싱가포르 사례분석: 의 뉴스룸 통합 운영
Ⅳ. 디지털 뉴스룸의 저널리즘적 현안과 가치
1. 뉴스 편집권과 게이트키핑 기능의 재검토
2. 비용절감과 새로운 수익창출 가능성
3. 기자 재교육과 원맨 멀티태스킹 제작방식
4. 디지털 시대 뉴스 콘텐츠의 지향과 반영
Ⅴ. 결론
1. 논의결과 요약
2. 디지털 뉴스룸의 도입 조건과 지향점
부록 : 디지털 뉴스룸 관련 핵심 개념 및 용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