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디드로 사상의 발전 과정의 중요한 출발점
당시 많은 철학자들은 맹인 심리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인식에 관한 이론과, 감각에서 판단으로의 이행 과정에 중심이 되는 추상적인 문제가 시력을 회복한 맹인의 반응을 연구함으로써 밝혀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디드로가 맹인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은 대단히 실증적이며 실험심리학적이다.
이 책에서 신의 존재를 증명해 주는 ‘자연의 경이로움’은 허물어지고 신은 존립의 여지가 사라졌다. 인식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물이 우리의 뇌리에 반영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볼 수 있는 사람과 맹인이 동일하게 사물을 인식한다. 진리는 객관적인 것이고 그것이 진리인지 아닌지는 경험에 의해 확인되는 것이다. 디드로는 결국 ≪맹인에 관한 서한≫에서 완전히 유물론적인 인식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맹인에 관한 서한≫은 ≪자연의 해석≫(1754)에서 ≪달랑베르의 꿈≫, ≪생리학 요강≫(1774∼1781)으로 이어지는 디드로 사상의 발전 과정의 진정한 출발점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맹인 연구의 선구자 디드로
디드로가 맹인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은 대단히 실증적이며 실험심리학적이다. 물론 오늘날의 실험심리학 방법론에 비하면 지극히 초보적이지만, 디드로의 방법론은 훗날 실험심리학이 발전하게 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맹인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사람과는 다른 심리를 지녔다. 볼 수 있는 사람의 눈으로 맹인을 접해서는 그 심리, 사고방식을 포착할 수 없다. 디드로는 뛰어난 심리 분석가로서 맹인을 접하고 여러 가지 경험담을 듣는다. 캉(Caen)대학의 맹인 문학 교수인 피에르 빌레(Pierre Villey)는 맹인의 정신과 인격, 윤리관이 볼 수 있는 사람과 다르다는 디드로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면서도, 디드로가 헬렌 켈러(Helen Keller, 1880∼1968)에게 적합한 대처 방법을 예견한, 맹인 심리 연구의 진정한 선구자였다며 심리 관찰자로서 그의 명민함을 인정했다.
본문의 구성
1749년에 출간된 ≪맹인에 관한 서한≫과 그로부터 33년이 지난 1782년에 발표한 <맹인에 관한 서한의 보충>이 실려 있다. 제목이 말해 주는 것처럼 이 작품의 서술 형식은 편지다. 이 편지의 수신자로 설정된 부인은 그의 애인이었던 퓌지외 부인으로 추측된다.
1782년, 노년에 이른 디드로는 <맹인에 관한 서한의 보충>을 발표한다. 여기서는 다른 맹인인 멜라니 드 살리냐크 양의 경험을 언급한다. 이 글을 통해 ≪맹인에 관한 서한≫에 서술된 주장의 근거를 밝히거나 앞에서의 주장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있다.
200자평
맹인의 심리와 반응을 관찰하고 연구했다. 철학, 극작, 미술 비평, 소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쌓은 드니 디드로의 독창적인 글이다. 진리는 객관적인 것이고 경험에 의해 판단되는 것임을 밝혀 무신론, 유물론 견해를 보이기 시작한다. 이 책을 계기로 디드로는 계몽사상가로 나아간다. ≪백과전서≫에 평생을 바치기로 한다. 이 책은 사상사의 커다란 전환점이다.
지은이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 1713~1784)는 1713년 10월 5일 부유한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나 예수회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3세 때 가족의 뜻을 따라 성직자가 되려고 삭발까지 감행했던 열렬한 신앙인이었다. 그러나 1745년 영국의 철학자 섀프츠베리의 저서를 번역한 ≪공적과 미덕에 관한 시론≫에서 종교와 미덕이 분리된 비종교적인 도덕을 추구한다.
1746년에 발표한 ≪철학사상≫에서 ≪공적과 미덕에 관한 시론≫의 주석에 암시한 사상들을 본격적으로 전개한다. 1747년 ≪회의론자의 산책≫에서 기독교에 대해 한층 더 공격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와 같이 점차적으로 기독교에서 멀어지면서 ≪맹인에 관한 서한≫에서는 유물론자의 모습을 드러낸다. 이 작품으로 인해 뱅센 감옥에 투옥되었던 그는 석방되자 1747년에 달랑베르와 함께 책임 편집을 맡은 ≪백과전서≫ 편찬을 준비하며 1750년 11월부터 간행의 목적과 계획을 소개하는 ≪백과전서의 개요≫를 유포한다. 1765년 본문 17권 도판 11권, 총 28권의 ≪백과전서≫를 완간함으로써 약 20년에 걸친 대작업을 마무리했다.
1760년경부터는 ≪백과전서≫에만 매달리지 않고 문학작품 집필에도 힘을 기울였다. ≪사생아≫(1757), ≪가장≫(1758)을 통해 연극을 쇄신하고자 했으나 공연은 실패로 끝났고 이후에는 극작에서 손을 뗐다. 또한 1759년부터 1781년까지는 친구인 그림이 편집장으로 있는 ≪문학통신≫에 ≪살롱≫을 게재해 예술 비평을 창시했다. 새로운 서술 기법을 다각적으로 모색하는 소설 탐구의 소설이 바로 ≪운명론자 자크≫(1773년 집필, 1830년 간행)다. 최초의 비평 작품으로는 ≪리처드슨 예찬≫(1762)이 있다. 대표적인 소설 작품으로는 ≪리처드슨 예찬≫에서 표방하는 감동적인 사실주의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수녀≫(1760년경 집필, 1796년 간행)와 ≪라모의 조카≫(1762년경 초고가 집필된 것으로 추정)를 들 수 있다.
옮긴이
이은주는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과를 졸업하고 파리4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수원대학교 인문대 프랑스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프랑스 문학과 문화에 대한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저서로는 ≪디드로, 사상과 문학≫, ≪디드로 소설과 아이러니≫, ≪프랑스 문학과 미술≫, 역서로는 ≪백과전서≫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다수의 논문들이 있다.
차례
맹인에 관한 서한
부록−맹인에 관한 서한의 보충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맹인 철학자는 목사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 아름다운 광경 이야기는 그만하십시오. 그것은 결코 나를 위해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나는 어둠 속에서 생애를 보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당신은 내가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초자연적 경이를 언급하십니다. 하지만 그건 당신과 당신처럼 볼 수 있는 사람들에게만 증거가 됩니다. 내가 신을 믿기를 원하신다면 당신은 내가 신을 만지도록 해 주셔야 합니다.”
-62쪽
그녀는 핀으로 글을 썼습니다. 줄과 줄 사이의 간격만큼만 공간이 있는 두 개의 얇은 판을 나란히 움직일 수 있도록 걸쳐 놓은 틀 위에 종이를 붙여 핀으로 찌르는 것입니다. 아래 판에도 똑같이 글이 씌었습니다. 그녀는 종이 뒷면에 핀이나 바늘이 만들어놓은 작은 기복에 손가락 끝을 갖다 대면서 그것을 읽었습니다.
-1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