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 1889~1962)는 시인, 소설가, 수필가, 평론가로서 여러 방면에서 문학적 역량을 발휘했던 일본의 대표적인 문학자이다. 그의 시는 단카(短歌)나 하이쿠(俳句)와 같은 전통적인 시가(詩歌)의 고전적인 정취와 구어 자유시의 형식적 활달함이 서정적 내용과 결합된 독창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다. 생활자의 삶을 중요한 가치로 여겼으며 관념적이고 이상적인 것을 취하더라도 매 순간 다양하게 변주되는 감정을 자연스럽고 솔직하게 표현했다. 대체로 시형이 짧으며 응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난삽하거나 난해하지 않다. 사이세이의 14개 대표 시집에서 104편의 시를 뽑아 국내에 처음 소개한다.
고향은 멀리서 그리워하는 것
《서정소곡집(抒情小曲集)》(1918), 《푸른 물고기를 낚는 사람(靑き魚を釣る人)》(1923), 《참새집(鳥雀集)》(1930)은 사이세이 특유의 서정이 흘러넘치는 시집이다. 사생아로 불우하게 자란 유년 시대의 비극과 애환, 문학을 향한 꿈을 안고 상경한 이후 겪게 되는 도시에서의 고단한 삶과, 망향을 노래했다. 도쿄에서의 불안정한 생활 속에서 방탕하게 살아가던 사이세이가 육체는 타락했어도 정신만은 고결하기를 바라는 격절의 정서를 표출한 것이다. 이 시집들의 간행으로 사이세이는 ‘과거의 서정시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없는 진귀한 날카로움’이라는 상찬을 받으며 다이쇼(大正) 시단의 큰 주목을 받았다.
고향은 멀리서 그리워 하는 것
그리고 쓰리고 아프도록 노래하는 것
설령
초라해져 타향에서 빌어먹게 될지라도
돌아갈 곳이 아니네
혼자 도시의 노을을 보고
고향 생각에 눈물짓네
이 마음 품고서
머나먼 도시로 돌아가고 싶네
멀고 먼 도시로 돌아가고 싶네
– 〈소경이정(小景異情)〉 일부 , 《서정소곡집(抒情小曲集》
입말로 구축한 일상 속의 순간들
값싼 하숙방을 전전하며 곤궁한 생활을 이어가던 사이세이는 뜻이 맞는 문인들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거나 동인지를 간행하는 등 시인, 편집자, 발행인 등으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 갔다. 20대 중반부터는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 등과 친분을 이어가며 문단의 중심에 섰다. 이 시기 사이세이는 이전의 응축된 문어체에서 벗어나 호흡이 긴 구어체로 접어들었다. 주로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에 쓴 시편을 모은 것으로 《사랑의 시집》, 《쓸쓸한 도시(寂しき都会)》(1920), 《별에서 온 사람(星より來れる者)》(1922), 《시골의 꽃(田舎の花)》(1922), 《망춘시집(忘春詩集)》(1922), 《고려의 꽃(高麗の花)》(1924) 등을 꼽을 수 있다. 사이세이 자신이 “사람과 자연과의 관계 속에 촉발되는 감정의 복잡한 동요를 응시하고 침잠하는 방법”을 ‘시’라고 정의하고 있듯이 이 시집들의 시는 사실적인 경향을 띠지만, 상념의 깊이를 그대로 포착하며 일상 속의 순간들을 구축했다.
오고 가는 사람의 모습도 모두 물 위에 비치고
고요히 사라져 간다
연기는 여전히 피어 오른다
아이의 엄마인 듯한 여자가
푸른 파 한 다발을 씻고 있다
모든 것이 고요한 빗속에 다리의 그림자가 되어 있다
– 〈도시의 강(都會の川)〉 일부, 《별에서 온 사람(星より來れる者)》
사이세이 문학의 변혁기
관동대지진,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죽음, 친구 사쿠타로와 가족과의 사별 등의 체험이 녹아 있는 시집 《학(鶴)》(1928)의 서문에서 사이세이는 ‘자신에게 고착된 무엇인가를 격파하는 기분으로 부딪쳐 가고자 한다’고 선언한다. 시인으로서 과거의 시업과 구분 짓겠다는 이러한 의지는 장절한 자연의 발견과 경이로움에 대한 공감이 준열하게 드러나는 《철집》(1932)을 비롯해 조선과 만주를 여행하고 난 후 쓴 시를 모은《하얼빈시집》(1957), 그리고 생애 후반부의 시집이라고 할 수 있는《어제 와 주세요》(1959)까지 이어졌다. 이 시기의 시집에는 가루이자와(軽井沢)에 별장을 짓고 도쿄의 거처를 옮기며 변화를 추구했던 사이세이의 모습, 1930년대 중반 이후 급박하게 돌아가는 전황, 패전 이후의 시대적 전경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나 있다.
검을 이고 서 있는 험한 산들,
높은 산은 검을 지키며 줄지어 서 있다.
검은 아주 오랜 시간에도 녹슬지 않고
검은 독하게 거친 쇠를 달구어 두드려
말없이 우뚝 솟아 있다.
검게 갈라진 산 주름에,
희미한 먼지를 더해,
아주 검은빛으로 빈틈없이 누군가와 칼을 맞대고 있다.
그 소리 울려 퍼져 들려온다.
– 〈검을 가진 사람(剣をもつてゐる人)〉 전문, 《철집(鐵集)》
단행본 기준 150권 이상의 저서를 간행했으며, 그 가운데 80여 권의 소설집과 20여 권의 시집을 펴낸 문호 무로 사이세이. 이번 시선집으로 다이쇼, 쇼와 문단에 남긴 무로 사이세이의 족적을 살펴볼 수 있기를 바란다.
200자평
시, 소설, 하이쿠, 수필, 평론 등 다이쇼(大正), 쇼와(昭和) 문단을 누볐던 전방위 문학자 무로 사이세이. 약 60년간의 시력(詩歷) 가운데 1000편에 가까운 시를 남긴 일본의 대표적인 시인이다.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이번 시선집에는 첫 시집 《사랑의 시집(愛の詩集)》(1918)을 비롯해 무로 사이세이 시 세계를 대표하는 14개 시집에서 104편의 대표 시를 뽑아 번역했다. 사이세이 시 세계의 변화상을 조망할 수 있도록 작품을 연도순으로 배열하였으며, 초판본의 원문을 함께 수록했다.
지은이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 1899∼1962)
무로 사이세이는 다이쇼(大正) 시대부터 쇼와(昭和) 시대에 걸쳐 시·소설·하이쿠·수필·평론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겼다. 단행본 기준 150권 이상의 저서를 간행했으며 그 가운데 20여 권의 시집과 80여 권의 소설집을 펴낸 일본의 대표적 시인이자 소설가다.
하급 무사 출신인 아버지와 하녀였던 어린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생후 일주일 만에 인근 절의 주지승을 통해 양자로 입양된다. 주지승의 내연의 처에게 입양되어 자라면서 친부모와는 가깝게 교류하지 않았고 열 살 무렵 친부가 사망한 뒤 친모는 자취를 감추어 평생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 이러한 환경에서 비롯된 자격지심과 그로 인한 반항과 고독에서 사이세이는 일생 동안 자유롭지 못했다. 사이세이의 삶과 문학 세계를 관통하는 중요한 테제는 이러한 태생적 결함을 극복하고 그 속에서 어떻게 독립을 도모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사이세이 문학은 전통 시가인 하이쿠에서 시작한다. 양모의 권유로 14세 무렵 고등소학교를 중퇴하고 지방재판소에 급사로 취직을 한 그는 직장 상사에게 하이쿠의 기초적인 작법을 배운다. 이후 지역 신문이나 문예지에 시가나 산문을 발표하는 등 문학에 대한 열의를 쏟아붓는다. 초기에는 본명인 데루미치(照道)와 필명인 잔카(殘花)를 썼으며 17세 무렵부터는 사이세이(犀西)라는 필명을 쓰기 시작했다. 사이세이(犀西)라는 이름은 당시 가나자와 출신의 고쿠부 사이토(国府犀東)의 필명 속에 담긴 ‘사이강의 동쪽(犀東)’이라는 의미에 상응하여 붙인 것이다. 그는 강의 서쪽에서 나고 자랐다는 의미를 담아 필명을 ‘사이세이(犀西)’라고 지었으며 나중에 같은 음의 한자인 ‘사이세이(犀星)’로 바꾼다.
1907년 그의 나이 19세 때 《신성(新声)》에 발표한 시를 계기로 고다마 가가이(児玉花外)의 지원을 받으며 본격적으로 시에 몰두한다. 아울러 1910년 22세 때에는 포부를 품고 상경하지만 무명 시절에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경제적 궁핍과 불안정함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낸다. 도시 생활에 지친 그는 미련 없이 고향 가나자와로 돌아간다. 그러나 고향에서의 삶 역시 녹록하지는 않았으며 가슴속에 품은 문학을 향한 열망은 그를 몇 번이고 다시 도쿄로 돌아오게 만든다. 도쿄와 가나자와를 오가며 이상과 현실 속에서 좌절을 반복하는 동안 그의 시에는 고향에 대한 애착과 고된 삶의 모습이 현실적인 감각과 이상 세계로의 환영으로 발현된다.
값싼 하숙방을 전전하며 곤궁한 생활을 하는 생활 속에서도 사이세이는 뜻이 맞는 문인들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거나 동인지를 간행하는 등 시인·편집자·발행인 등으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 간다. 20대 중반부터는 기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를 비롯하여 우에다 빈(上田敏),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 다카무라 고타로(高村光太郞),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등과 친분을 이어 가며 문단의 중심에 선다.
시인으로 이름이 알려지던 시기 사이세이는 소설 창작에도 힘쓴다. 그가 소설로 영역을 확장하게 된 까닭은 불우한 성장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공명심과 경제적 자립에 우선하는 것이었다. 1919년 31세에 〈유년시대(幼年時代)〉를 《중앙공론(中央公論)》에 발표하여 높은 반응을 얻게 되고 그해에 〈성에 눈뜰 무렵(性に眼覚める頃)〉, 〈어느 소녀의 죽음까지(或る少女の死まで)〉를 발표하며 소설가로서 명성을 다진다. 초기 자전소설 3부작이라 할 수 있는 〈유년 시대〉, 〈성에 눈뜰 무렵〉, 〈어느 소녀의 죽음까지〉는 태생적 속박과 자신의 상흔을 정면으로 마주한다.
이와 더불어 사이세이는 한 해 30~40여 편의 소설을 발표하는 창작욕을 보인다. 그런 성과로 46세에 양모와 절에서 함께 자란 형제들을 소재로 소설 〈남매(あにいもうと)〉(1934)를 발표하며 1935년 제1회 문예간담회상(文芸懇話会賞)을 수상한다. 이 작품은 오랫동안 많은 사랑을 받아 오다 1953년에는 영화화가 되기도 하고 1972년에는 드라마로 방영되기도 한다.
소설이 많은 관심을 받은 것에 반해 사이세이는 점차 시를 쓰는 일에 소홀해 진다. 1932년 간행한 시집 《철집(鐵集)》에서 ‘더는 시집을 엮을 마음이 없다’는 것을 고백한 이래 1934년 8월에는 〈시여 그대와 헤어지노라(詩よ君とお別れする)〉(《문예(文藝)》)라는 글에서 마침내 시작 중단을 선언하기에 이른다. 이는 변화에 대한 의지와 시와 소설 두 분야에서 성공을 거둔 이후 침체기를 겪다가 〈남매〉의 성공으로 자신의 문학적 생명을 소설에 걸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이러한 문학적 변혁기를 보내며 사이세이의 문학은 더욱 깊이를 더한다.
그는 타고난 미적 감각으로 전통적 아름다움이 살아 있는 일본의 정원을 소재로 하는 글을 다수 남기고 있다. 수필집 《정원을 만드는 사람(庭を造る人》(1927), 《정원과 나무(庭と木)》(1930), 《일본의 정원(日本の庭)》(1943)이 그것이다. 그는 1931년 가루이자와에 별장을 짓고 매년 여름을 그곳에서 보내며 집과 정원을 직접 가꾸는 것을 취미로 삼는다. 이 별장은 자신과 친분이 깊은 호리 다쓰오(堀辰雄),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시가 나오야(志賀直哉) 등 많은 문인들이 드나드는 교류의 장소가 되었으며 사이세이 자신 역시 이 별장에서 〈성처녀(聖處女)〉(1935), 《살구 아이(杏っ子)》(1956) 등과 같은 작품을 저작한다.
전시기에 이르러 사이세이는 《천황의 군대(美以久佐)》(1943)와 《일본미론(日本美論)》(1943)에서 전쟁을 찬양하는 시를 발표하여 전후 논란의 중심에 선다. 이에 도미오카 다에코(富岡多恵子)는 ‘시인은 대중의 감수성을 풍부하게 해 주는 능력자로서 국가에게 이용당하는 시대도 있다. 전쟁 시대에 시인은 국책에 봉사하는 선전가·선동가로만 기대되었을 것이다’라며 사이세이를 옹호하기도 한다. 사이세이는 《무로 사이세이 전시집(室生犀星全詩集)》(1962)에서 ‘오늘 이들 시를 지우는 것은 마음속의 더러움을 보고 싶지 않기 때문’이라며 논란이 된 전쟁시를 삭제한다.
오랜 문학 활동을 통해 높은 문업을 이룬 사이세이는 제1회 문예간담회상(文芸懇話会賞)(1935), 제3회 기쿠치간상(菊池寬賞)(1941), 제9회 요미우리문학상(読売文学賞)(1958), 제13회 마이니치출판문화상(毎日出版文化賞)(1959), 제12회 노마문예상(野間文芸賞)(1959) 등을 수상한다.
1961년 10월 73세에 폐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던 중 쇠약 증세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다 1962년 3월 1일 도쿄 도라노몬(虎の門) 병원에 입원한 뒤 의식 불명에 이른 19일로부터 일주일 후 3월 26일 영면한다.
옮긴이
노윤지는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에서 일본근현대문학 박사를 수료했다.
2003년 문부과학성 초청 국비 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어‧일본문화연수유학생으로 동경학예대학교(東京学芸大学)에서 수학했다.
2014년 일본 종합 문예지 《구자쿠센(孔雀船)》에 한국 시와 수필을 번역했고, 2015년 대산문화재단의 외국문학 번역 지원사업으로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의 《시골선생(田舎教師)》을 번역하여 출간을 앞두고 있다. 2021년 《미키 로후 시선(三木露風詩選)》을 번역 출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 연구 -만선의 행락(満鮮の行楽)을 중심으로〉,〈미키 로후(三木露風) 시 연구−상징주의 시를 중심으로〉, 〈가네코 미쓰하루(金子光晴)의 남양 체험과 인식−《말레이난인기행(マレー蘭印紀行)》을 중심으로〉,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 연구−1930년대 만·선기행과 식민지 인식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차례
《사랑의 시집(愛の詩集)》
봄
만인의 고독
저녁 노래
고향에서 겨울을 보내다
늦가을 비
끝끝내 오지 않을 그대
비의 시
아름다운 밤에 쓴 시
문
이 길도 나는 지난다
《서정소곡집(抒情小曲集)》
소경이정
여행길
유랑
여행에 나서다
갈매기
바닷가에서 혼자 부르는 노래
모래 언덕에 내리는 비
때를 모르는 풀
영원의 날
모래 언덕 위
우에노역
무로 사이세이 씨
《제2 사랑의 시집(第二愛の詩集)》
작은 가정
아직 모르는 친구
어린잎이 빛난다
노트
처음으로 〈카라마조프 형제〉를 읽은 밤의 일
초원
봄눈
《쓸쓸한 도시(寂しき都会)》
제2의 고향
말
구원할 수 없는 사람들
봄부터 여름에 느끼는 것
새로운 밤
《별에서 온 사람(星より來れる者)》
세속의 먼지
은어의 그림자
도시의 강
사람을 찾아
시골
훔치는 마음
바다
《시골의 꽃(田舎の花)》
먼 피리
산 위의 불
이상한 얼굴
시나가와
해 뜨기 전
《망춘시집(忘春詩集)》
망춘
필름
코끼리
복숭아나무
머뭇거림
깊은 밤
양말
우리 집 꽃
체념하지 않는 마음
낙타
가을날
《푸른 물고기를 낚는 사람(靑き魚を釣る人)》
봄의 절
만나고 온 밤은
산줄기
고향에서
푸른 물고기를 낚는 사람
스사키 바다
눈 오기 전
밤 장수
고향에 머물며 보내는 다른 소식
벽 위에 비친 슬픈 노래
죽은 이를 그리는 노래
《고려의 꽃(高麗の花)》
돌 하나
옛날 옛날
살벤자리
저녁 식사 준비는 아직 멀었나
고려의 꽃
남포등
가족
《학(鶴)》
애타는 마음을 아네
먼지 속
인가의 바닷가
우정이라는 것
언제나 낚시하는 아이
《참새집(鳥雀集)》
겨울이 왔다
쓸쓸한 나무
침
급행열차
《철집(鐵集)》
검을 가진 사람
잿빛 산
지구 뒤편
붉은배지빠귀
말없이 서 있는 자
《일본미론(日本美論)》
평원
사람은
참새
우아한 여인
요즈음
《하얼빈시집(哈爾濱詩集)》
황해
사람을 그리워해도
거대한 형상
슬라브의 거문고
다오와이
조선
《어제 와 주세요(昨日いらつしつて下さい)》
어제 와 주세요
아침 정리
수염
코끼리와 파라솔
책속으로
우리 기차는 조선으로 들어가고
날은 어슴푸레 밝아 오고 있었네.
기와마다 비둘기가 서 있고
강이 있고 배는 안개가 깔려
키가 큰 사람들이 모여
목재를 나르고 있네,
이런 경치는 이미 지쳐
유화처럼 움직이지 않네.
– 〈조선(朝鮮)〉 전문, 《하얼빈시집(哈爾濱詩集)》
1
뱅어는 쓸쓸하네
검은 눈동자는 어떻게
어떻게 저토록 기특한가
밖에서 점심을 때우는
나의 어색함과
서글픔
듣기 느꺼운 참새는 몇 번이고 우네
2
고향은 멀리서 그리워 하는 것
그리고 쓰리고 아프도록 노래하는 것
설령
초라해져 타향에서 빌어먹게 될지라도
돌아갈 곳이 아니네
혼자 도시의 노을을 보고
고향 생각에 눈물짓네
이 마음 품고서
머나먼 도시로 돌아가고 싶네
멀고 먼 도시로 돌아가고 싶네
3
은시계를 잊어버리고
마음이 슬프네
졸졸 흐르는 시냇가 다리 위
난간에 기대어 눈물 흘리네
4
영혼 속에서
초록이 움트고
무엇을 하지도 않았는데
뉘우침의 눈물이 북받친다
말없이 땅을 파고 나와
뉘우침의 눈물이 북받친다
5
무엇을 그리워하여 쓰는 노래인가
한 번에 피는 매화 자두꽃
매화 자두꽃의 푸르름 몸에 흠뻑 담그고
시골 생활의 편안함
오늘도 어머니께 꾸중을 듣고는
자두나무 아래에 몸을 기대네
6
살구야
꽃을 피워라
땅은 어서 눈부시게 빛나라
살구야 꽃을 피워라
살구야 환히 빛나라
아아 살구야 꽃을 피워라
– 〈소경이정(小景異情)〉전문 , 《서정소곡집(抒情小曲集》
어느 날 밤
나는 시내 뒷길 카페에 앉아
조용히 술잔을 홀짝이고 있었는데
밖에서 손님 한 사람이 들어와
느닷없이 그 카페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종업원의 뺨을 때렸다
살이 오른 그 볼은
커다란 손에 맞아
철썩하고 떡을 찧는 듯한 소리를 냈다
고통스러운 순간 육감적이고 참혹한 감각이
내 몸에 계속 스며들었다
손님은 그녀가 건방지다는 것과
계산을 틀렸음을 말하고
한 번 더 철썩하고 때렸다
여자는 작게 신음하며 계산대로 도망쳤다
이윽고 주인이 나와
종업원을 때린 일에 대한 부당함을 따졌다
그러나 손님은 술기운을 빌려
그녀가 항상 오만하고 손님을 바보 취급한다며
마땅히 뺨을 때려야 한다고 말했다
2층에 있던 취객들이 내려와
모두 아름다운 종업원을 동정했다
약한 사람을 때리면 안 된다고
이번에는 그 손님을 후려쳤다
손님은 스스로도 약한 여자를 때린 후회를
마음에 느끼기 시작한 것 같았는데
그러면서도 여자의 오만함을 힐난했다
힐난하는 족족 얻어맞았다
점점 놀림거리가 되었다
그러나 손님은 저항하지 않았다
실컷 욕을 먹었다
아름다운 종업원의 볼은 빨갛게 물들고
조금 부어올랐기 때문인지 오히려 육감적인
관능미를 더했다
특히 눈물에 젖은 눈은 부어올라
보통 때보다 훨씬 예쁘게 보였다
그녀는 평소의 도도함을 꺾고
조금은 순진한 여자인 듯이 차분히 가라앉아
가끔 때린 남자를 바라보곤 했다
손님은 고독한 듯 혼자 술을 마시고 있었는데
후회에 시달리는 눈매는
말로 했으면 좋았을걸 하고
또 2층의 취객들에게 맞으면서
저항하지 못한 겁쟁이 같은 자신이
이제 와 절실히 부끄럽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다른 종업원들이 모두 다가오지 않았다
그는 나가려 해도 나가지 못하는 듯
맛도 없어 보이는 술을 혼자서 따르고
뭔가 홀로 생각에 잠겨 있었다
그는 장사꾼처럼도 보이고
노동자처럼도 보였다
그리고 계속 지켜본 나를
가끔 돌아보며
겸연쩍은 듯이 몰래 쳐다보았다
내가 너무 말없이 구석 자리에 있었기 때문인지
그는 조금 면목이 없는 듯했다
나는 혼자서 술을 마셨다
그렇게 떡을 찧는 듯
연분홍빛 볼을 때리는 소리가 철썩 하고
내게서 계속 떠나지 않고 있음을
꺼림칙하게 느끼면서
– 〈구원할 수 없는 사람들(救へない人人)〉 전문, 《쓸쓸한 도시(寂しき都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