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정보 강국’ 한국의 미디어 교육 발전을 위한 첫걸음!
미디어 교육의 공교육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의 제도적 틀을 빌릴 수밖에 없다. 그러기에 미디어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설계도인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위한 그 어떤 다른 연구에 앞서 요구되는 중요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미디어 교육과 교과과정에 대한 이론 및 실천 사례, 미래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시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국내외 초·중등학교의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국어, 사회 등 세부적인 교과에서의 교과과정 운영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언론학 관련 학문 분과에서 미디어 교육에 관해 관심을 지닌 학자와 미디어 교육을 주제로 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들에게 미디어 교육 정책의 지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은 미디어 교육을 실천하시는 일선 학교 교사 분들과 교육 정책을 담당하시는 연구사 분들께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방향성을 일러주게 될 것이다.
미디어 교육의 싱크 탱크! 미디어교육위원회의 2005년 연구 성과물
‘미디어 교육과 교과과정’은 미디어교육위원회와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 분과의 2005년 1년간 연구 결과물이다. 2003년 1월에 발족한 미디어교육위원회는 그간 한국언론학회의 차기 회장을 위원장으로, 학회 내의 미디어 교육 전공 학자들을 특별위원회로 운영했다. 그만큼 미디어교육위원회는 언론학회 내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학회의 숙원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미디어 교육의 공교육화를 추진하는 데 학술적 기반을 제공하는 싱크 탱크 역할을 하고 있다.
200자평
NIE(신문활용교육), AIE(광고활용교육) 등 초·중·고를 대상으로 한 미디어 교육과 교과과정에 대한 이론 및 실천 사례, 미래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시안 등을 논의한다. 미디어교육위원회와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 분과의 2005년 1년간 연구 결과물로,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국어, 사회 등 세부적인 교과에서의 교과과정 운영을 다루어 미디어 교육 정책과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지은이
김기태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호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방송개발원 정책연구실장, 서강대학교-KBS방송아카데미 교수부장, 한국방송비평회 총무 등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특별위원회 부위원장, 한국미디어 교육학회 총무이사, MBC 진행(MC)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텔레비전, 어떻게 볼 것인가?』, 『시청자 주권과 시청자 운동』, 『인터넷 바르게 즐기기』 등이 있다.
정회경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학·석사학위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영국 런던대학 골드스미스 컬리지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다. 『중앙일보』 기자를 역임하고 1999년 이후 한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어린이, 청소년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환경과 미디어 교육의 역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한·중·일 국제포럼에서 ‘미디어 교육과 체험 학습’을 주제로 발표한 바 있으며, 한국미디어 교육학회 전국대회의 자문교수로 활동했다.
강진숙
중앙대학교와 독일 라이프치히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독일통신원과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저서로는 『모바일 공간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과 문화』(공저, 2005), 『담론분석방법론』(2005) 등이 있고, 논문은 “미디어 능력의 개념과 촉진 사례 연구”(2005), “미디어 능력의 구성 범주에 대한 연구”(2005) 외 다수가 있다.
임성호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사, 석사를 마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한국유네스코 과학 커뮤니케이션팀의 부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와 역서로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 속의 미디어 교육』, 『미디어 교육 기본법(시안) 및 그 실천 전략』, 『청소년 관련 지표 연구』, 『Finland의 청소년 정책』, 『청소년 지도자 연수 프로그램 연구 개발 보고서』, 『통일에 대한 청소년 및 청소년 지도자들의 의식 조사 연구』 등이 있다.
최웅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북대학교 중등 교육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현재 금오공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몸과 몸짓문화의 리얼리티』, 『문화, 미디어로 소통하기』, 『겨울연가 콘텐츠와 콘텍스트 사이』, 『미디어 교육과 사귐』 등이 있다.
김영순
베를린공과대학 커뮤니케이션학부에서 미디어학 석사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문화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조선대학교 연구교수, 교육인적자원부 학술교수를 거쳐, 현재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EBS무릎학교 사회 교실을 진행하였으며, 한국언론재단 미디어 교육 교재편찬위원장,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위원회 간사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미디어와 문화 교육』, 공저 『학교로 간 미디어』, 『미디어 교육과 사귐』, 『광고 텍스트 읽기의 즐거움』 등이 있으며, 미디어 교육 교재
시리즈 『미디어와 우리』, 『미디어와 인간』, 『미디어와 사회』가 있다.
김양은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사이버문화연구소에 재직하고 있고, 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관한 고찰’, ‘리터러시관점에서의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정보 사회에서의 미디어 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게임리터러시에 관한 시안적 연구’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학교로 간 미디어 교육』, 『미디어 교육과 사귐』 등이 있다.
최상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을 거쳐,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교육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종합평가 평가위원(2004)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한국신문협회 NIE한국위원회 위원, 한국NIE기자협회 사무국장, 미디어 교육 인정교과서 및 지도서 집필위원(한국언론재단 刊)을 맡고 있다. 경향신문사에서 전문기자(NIE)로 재직하며, 『NIE의 이해와 활용』, 『NIE 가이드북』(공저) 등 NIE 관련 연구 및 저술활동을 하고 있다.
이희복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대학원 광고홍보 전공을 거쳐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광고회사 오리콤, MBC애드컴, FCB코리아에서 12년간 카피라이터로 근무하였으며, 대한민국 광고대상과 공익광고 대상을 수상하였다. 경희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세대학교에서 강의하였고 저서로 『행복한 광고 읽기』, 『현대 사회와 광고』(공저), 『조직커뮤니케이션』(공역)이 있다. 경주대학교 방송언론광고학부 교수를 역임했으며, 지금은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로 있다.
차례
머리말
1 초·중등학교 미디어 교육의 목표와 방향 /김기태
1. 서론
2.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그리고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
3. ‘미디어 교육’의 정의 및 종류
4. 미디어 교육의 영역 및 범주
5. 학교 미디어 교육 유형 및 범주에 관한 논의
6. 한국의 교육 환경과 학교 미디어 교육의 기본 방향
2 영국의 초·중등학교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정회경
1. 들어가는 말
2. 영국의 미디어 교육
3. 영국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4. 결론
3 독일의 초·중등학교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강진숙
1. 머리말
2. 독일의 교육 정책과 학교의 네트워크화
3. 미디어 교육의 목표와 과제
4.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의 개발 모델과 실험 사례
5. 맺음말
4 초·중·고 미디어 교육 표준 교과과정 모형 /임성호
1. 표준 교과과정의 필요성
2. 초·중·고 미디어 교육 표준 교과과정의 모형
5 국어 교육과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최웅환
1. 들어가는 말
2. 국어과 교육으로서의 매체언어 교육
3. 국어과 미디어 교육 수용을 위한 몇 가지 전제
4. 국어과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을 위한 몇 가지 시안
5. 마무리
6 사회과 교육을 위한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김영순
1. 머리말
2. 사회과 교육과 미디어 교육
3. 제7차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미디어 교육
4. ‘사회·문화’ 교과에서의 미디어 교육 현황
5. ‘사회·문화’ 교과의 미디어 교과과정 운영 가능성
7 범교과 및 독립교과 미디어 교육의 교과과정 /김양은
1. 머리말
2.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의 접점
3.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의 목표 및 방향성
4.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의 설계
5. 결론 및 제언
8 신문 활용 교육과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최상희
1. 서론
2. NIE의 현주소
3. NIE 지도의 방향과 지도자 연수 영역
4. NIE의 교과 적용 실제 및 수업 방법
5. 결론 및 제언
9 광고 활용 교육과 미디어 교육 /이희복
1. 미디어 환경의 변화
2. NIE와 미디어 교육 다시 보기
3. 광고로 만나는 미디어 교육
4. 광고로 미디어 리터러시 만들기
5. 광고로 만나는 미디어 교육(AIE)의 제안
참고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