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상생화용(相生話用)’은 서로를 살리는 언어사용을 말한다. ‘서로’라는 말에는 화자와 청자만이 아니라, 소통과 관련되는 모든 상대가 다 포함된다. 이제까지의 언어관과 언어교육은 언어의 기능적·도구적 관점에 기초하였으며 설득적 언어사용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언어를 재개념화해야 한다. 일방적 언어소통이 아니라 쌍방향적, 다방향적 언어소통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언어의 표면적 기능만을 강조하던 수준에서도 벗어나 언어의 본질적 가치에 눈을 돌려야 한다. 언어는 표현의 도구일 뿐 아니라, 사고의 도구요, 더 나아가서 마음 그 자체임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은 새로운 소통 환경에 맞는 언어 철학을 탐구함과 동시에 새로운 언어교육의 지평을 열어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시적으로는 한국사회 언어소통의 주요 사유들 즉 유교, 불교, 기독교적 관점을 검토하고, 공시적으로는 한국사회의 중요 집단인 가족과 학교, 텔레비전과 인터넷에 나타난 소통의 내용과 특징, 문제점을 밝혀,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서양 중심의 언어 교육관에서 벗어나 우리 고유의 언어관과 언어 교육 이론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동서양을 넘어 새 길을 여는 단초도 여기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새로운 소통 환경에 맞는 언어 철학을 탐구함으로써 우리 교육의 가능성 또한 발견할 수 있다.
200자평
새로운 의사소통 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 상생화용을 제시한 책. 한국사회의 언어관과 인간관을 살피고, 동서양의 사상들로부터 상생화용의 철학과 문제의식을 짚어본다. 또한 현대 소통 현상이 지니는 특징을 미디어 환경과 인간 발달의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일상에서 부딪히는 소통의 문제점을 파악해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지은이
최현섭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한국소설교육사연구』(1989), 『구성주의 작문 교수학습론』(2000, 공저), 『국어교육학개론』(2005, 공저), 『내 말에 상처받았니?』(2007), 『여보, 내 말에 상처받았어?』(2007), “상생화용론서설(相生話用論序說)”(2004)
박인기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삶과 글쓰기』(1998, 공저),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와 이론』(2001), 『문학을 통한 교육』(2005, 공저)
이창덕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화법학회 부회장
『삶과 화법』(2000, 공저), 『말꽝에서 말짱 되기』(2004, 공저), 『텍스트언어학의 이해』(2004, 공저), 『화법교육의 이해』(2004, 공저)
고대혁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도덕적 자율성의 교육적 의미-주자와 칸트』(1993), 『수업방법탐구』(1998, 공저), 『수업길라잡이』(2000, 공저), 『도덕과 수행중심평가』(2001, 공저), 『도덕과 교육론』(2002, 공저), 『한국사회에서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반성』(2002), 『관자』(2006, 공역)
박병기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
『윤리학과 도덕교육 (1), (2)』(1996-2000), 『우리 시대의 문화와 사회윤리』(2003)
최인자
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국어교육의 문화론적 지평』(2001), 『서사문화와 문학교육론』(2001)
서홍교
인천대학교 윤리학과 강사, 서울 광양고등학교 교사
『칸트와 성경』(2005)
정혜승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연구』(2002), 『창조적 지식기반사회와 국어과교육』(2003, 공저),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전략』(2006, 공저)
정현선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다매체 시대의 국어교육과 문화교육』(2004),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2004, 번역), 『학교로 간 미디어』(2005, 공저), 『하이퍼텍스트의 언어문화 이해교육』(2006, 공저), 『미디어 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2007)
차례
들어가며
I. 새로운 의사소통 교육 패러다임의 필요성
1 문명의 충돌, 공존, 융합
2 한국의 문명적 대안들
생극론
생태론
유교
기철학
화쟁사상
홍익인간 사상
생명학
3 새로운 의사소통 교육 패러다임의 지향 ‘상생화용’
진실한 언어 사용
상대 존중 및 배려
의미의 생성
II. 한국사회 소통에 대한 인식론적 기저
1 불교적 언어관: 해소의 논리, 화쟁의 언어
진리의 양태와 드러냄의 문제
공의 논리와 논리 자체의 해소
화쟁의 논리와 과정
상생 교육을 위한 화쟁의 지향
2 유학적 언어관: 마음의 소리와 사람됨
삶의 품격과 의사소통 방법
관계적 존재로서 인간
마음의 소리와 사람됨
유가의 화용
유학적 언어관의 교육적 함의
3 기독교적 언어관: 하나님 중심의 사유방식 표현
모든 언어를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 연관지음 : 믿음의 언어
모든 언어를 사랑의 사실 및 당위성과 연관지음 : 사랑의 언어
모든 언어를 미래의 보다 나은 것과 연관지음 : 소망의 언어
기독교적 언어가 한국사회 언어문화에 끼친 영향
Ⅲ. 소통 현상의 중층구조
1 소통의 상호교섭적 의미와 그 중층적 기제
소통의 스펙트럼
역동적 상호교섭으로서의 소통과 그 중층성
상호교섭의 중층적 기제
상생화용의 지향: 소통과 대화의 철학
2 소통 현상에 대한 발달론적 접근
소통·소통현상에 대한 교육적 인식의 중요성
소통능력을 발달의 개념으로 이해하기
소통기술 기능 중심의 발달 계열성
인지 기능 중심의 발달 계열성
자아 중심의 발달 계열성: ‘자아’ 중심의 대상/방향 확충하기
소통 요소 중심의 발달 계열성
소통 발달성 위기와 교육적 대응
Ⅳ. 한국사회 문제적 소통 현상 탐구
1 문제적 소통 현상의 비판적 이해
사회 의사소통의 중요성
한국사회 의사소통의 문제
한국사회 소통 문제 연구 대상과 방법
2 가족 소통 현상 탐구
한국 가족 소통의 성격
한국 가족 의사소통의 문제
한국 가족 의사소통의 문제 개선 방안
문제의 개선
3 한국 학교 소통의 양상과 문제
학교 소통의 거시적 접근
학교 소통의 특성
한국 학교 소통의 양상과 문제
문제의 개선
4 대중매체의 소통 현상 탐구: 텔레비전 소통을 중심으로
텔레비전 소통의 특징
텔레비전 사회적 소통의 문제적 양상
문제의 개선
5 디지털 매체의 소통 현상 탐구
인터넷 공론장의 소통 현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필요성
디지털 매체 시대 ‘매개된’ 소통의 특성
공론장으로서 인터넷 소통의 가능성
인터넷 소통의 ‘매개’와 ‘재매개’에 의한 여론 형성
인터넷 공론장의 언어문화와 소통윤리의 재인식
Ⅴ. 연구의 전체적 조망
1 현대사회의 생태와 교육적 요구로서의 상생화용
2 한국사회의 주요 사유방식들에 나타난 언어관과 언어적 인간관
불교적 언어관의 교육적 함의
유학적 언어관의 교육적 함의
기독교적 언어관의 교육적 함의
3 한국사회의 중층성과 언어적 소통의 양상
소통의 상호교섭적 의미와 그 중층적 기제
소통 현상에 대한 발달론적 접근
4 한국사회의 문제적 소통 현상
사회적 소통의 문제
가족 소통의 양상과 문제
학교 소통의 양상과 문제
대중매체(텔레비전)의 소통 양상과 문제
인터넷 소통의 양상과 문제
5 노력의 방향과 기대 효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