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지구촌고전 / 속일본기 4
속일본기4

속일본기 4

읽기   인티  

            
원서명 續日本紀 4
엮은이 스가노노 마미치 외 (菅野眞道)
옮긴이 이근우
책소개

우리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
≪속일본기≫는 697년에서 791년까지 95년간의 역사를 40권의 분량으로 다루고 있다. 2년간의 역사를 1권 가까운 분량으로 서술한 셈이다. 이 사서는 797년에 완성된 동시대의 사료다. 그래서 비교적 상세하게 8세기의 일본사를 복원할 수 있다. ≪속일본기≫에는 신라에서 일본에 파견한 사신이나 발해가 일본에 파견한 사신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일본과의 외교 관계에 대한 기술이 적고, ≪속일본기≫의 신라 사신에 대한 기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 점에서 ≪속일본기≫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한국 고대사 사료를 보충할 수 있는 사서다.
≪삼국사기≫를 통해 신라사라는 숲을 볼 수 있는 정도라면, ≪속일본기≫를 통해서 일본 고대사라는 숲 속의 나무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이라는 지역적인 차이는 존재하지만, 이웃 나라의 역사를 읽으면서 거꾸로 한국 고대사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속일본기≫는 한국 고대사 연구에 적잖은 도움이 되는 문헌이다.

속일본기의 마지막 기록
제31권부터 40권까지는 보귀(寶龜) 원년(770년) 10월부터 연력(延曆) 10년(791년) 12월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다. 백벽왕(白壁王, 709∼782), 즉 광인천황(光仁天皇)의 즉위로부터 시작한다. 연력 원년에는 ≪속일본기≫의 최종 편찬을 명령한 환무천황의 시대가 열린다. 관찬 사서에서 재위 중인 군주의 치세를 다루는 경우는 극히 예외적이다. 천조대신(天照大神)의 후손으로 자처해 왔던 일본 천황가의 혈통을 상대화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일본 고대사 전공자에 의한 전문적 번역
≪속일본기≫를 번역한 역자 이근우는 일본 고대 사료를 연구하고 번역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는 학자다.
우리 학계는 ≪일본서기≫나 ≪속일본기≫와 같은 일본 고대 사료에 대한 학술적인 번역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일본서기≫의 한국 고대사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역시 일본 고대사 전공자에 의한 본격적인 번역은 없는 상태다. ≪속일본기≫의 출간으로 우리 학계의 학술적 진전이 이루어졌다.


 
200자평

문무천황(文武天皇)의 즉위부터 시작하여 환무천황(桓武天皇)의 연력(延曆) 10년까지 9대, 95년간(697∼791)에 대하여 기록한 40권 분량의 관찬(官撰) 사서(史書)다. 그 속에는 내량시대(奈良時代, 710∼784) 전 기간이 포함되어 있다. 동시대에 기록한 사료로서 상세하게 일본사를 복원할 수 있다.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자료들도 들어 있어 우리의 고대사 연구에 적잖은 도움이 된다.


 
엮은이

스가노노 마미치(菅野眞道, 741∼814) 외
스가노노 마미치는 헤이안시대(平安時代) 초기의 문인 관료다. 선조는 백제 근구수왕의 후손이라고 하며 원래의 성은 쓰노무라지(津連)였다. 790년에 스가노노아손(菅野朝臣)으로 개성(改姓)했다. 간무천황(桓武天皇)의 신임이 두터웠으며 조궁량(造宮亮)으로서 헤이안경[平安京, 현재의 교토(京都)]으로 천도하는 과정에 깊이 개입했다. 805년 간무 천황 앞에서 후지와라노 오츠쿠(藤原緖嗣)와 이른바 덕정논쟁(德政論爭)을 벌였다. 오츠쿠는 북방의 이민족인 에미시(蝦夷)와 전쟁의 중지와 토목 공사의 중단을 건의했고, 마미치는 이에 반대했다. 최종 관위는 종3위, 관직은 참의(參議)였다. 간무 천황의 명령으로 797년에 ≪속일본기≫ 40권을 완성했고, 격식(格式) 등의 법령집 편찬에도 간여했다.


 
옮긴이

이근우
이근우는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거쳐 한국학대학원 사학과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으며, 다시 일본 교토대학 일본사 교실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부경대학교 사학과에 재직 중이며, 부경대학교 박물관장·인문사회과학연구소장을 거쳐, 대마도연구센터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관심 분야는 고대 한일 관계사, 한국 고대사, 일본 고대사다. ≪고대왕국의 풍경≫(인물과 사상사, 2006), ≪전근대 한일 관계사≫(방송대 출판부, 2007), ≪전통사회의 이해≫(방송대 출판부, 2008), ≪부산과 대마도의 2000년≫(국학자료원, 2010) 등의 저서를 집필했고, ≪일본사상사≫, ≪주자학과 양명학≫, ≪일본서기 입문≫, ≪침묵의 종교 유교≫, ≪지의 윤리≫, ≪지의 현장≫, ≪고구려의 역사와 유적≫, ≪역주 일본서기≫, ≪영의해 역주≫ 등 다수의 번역서를 출간했다. 대표 논문으로는 <桓武天皇의 母系는 武寧王의 後孫인가>(2002), <王仁의 千字文·論語 일본 전수설 재검토>(2004), <日本書紀에 보이는 五經博士와 吳音>(2010) 등이 있다.


 
차례

권 제31 보귀(寶龜) 원년 10월부터 2년 12월까지
권 제32 보귀(寶龜) 3년 정월부터 4년 12월까지
권 제33 보귀(寶龜) 5년 정월부터 6년 12월까지
권 제34 보귀(寶龜) 7년 정월에서 8년 12월까지
권 제35 보귀(寶龜) 9년 정월부터 10년 12월까지
권 제36 보귀(寶龜) 11년 정월부터 천응(天應) 원년 12월까지
권 제37 연력(延曆) 원년 정월부터 2년 12월까지
권 제38 연력(延曆) 3년 정월부터 4년 12월까지
권 제39 연력(延曆) 5년 정월부터 7년 12월까지
권 제40 연력(延曆) 8년 정월부터 10년 12월까지

원문

해설
옮긴이 후기
엮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천황의 휘(諱)는 백벽왕(白壁王)이며, 근강대진궁(近江大津宮)에서 천하를 다스린 천명개별천황(天命開別天皇)의 손자이자, 전원천황(田原天皇)의 여섯째 황자다. 어머니는 기조신상희(紀朝臣橡姬)이며, 증태정대신(贈太政大臣) 정1위 제인(諸人)의 딸이다.
-3쪽

신해, 칙하기를, “지난번 여러 경(卿)들이 아뢴 대로 천하에 상복을 입는 기한을 6개월로 정했다. 그러나 짐의 효성이 부족해 아버님 은혜[慈蔭]에서 영원히 멀어졌다. 서리에 맞아 색이 변한 나뭇잎[霜葉]을 사모하나 아버님 얼굴을 뵙던 날로 돌아갈 수 없다. 아득히 풍지(風枝)를 품어 보았지만 끝내 아버님 곁에서 시중들던[侍謁] 때가 사라졌다. 아버님이 돌아가신 고통이 매번 심하고, 망극한 마음은 더욱 절절하다. 마땅히 이전에 정한 상복 착용 기간[服期]을 고쳐서 1년으로 정해야 할 것이다. 나머지 시행한 일은 오로지 이전의 칙에 따르라”고 했다.
-414쪽



서지정보

발행일 2016년 3월 28일
쪽수 904 쪽
판형 128*188mm ,  210*297mm
ISBN(종이책) 9791130473789   93910   35000원
ISBN(PDF) 9791130473802   95910   28000원
ISBN(EPUB) 9791130473819   95910   28000원
ISBN(큰글씨책) 9791130473796   93910   47000원
분류 역사, 지구촌고전, 지만지
동양사
Facebookgoogle_plus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세계 환상문학 걸작선
      •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 한국동화 문학선집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지만지 한국희곡 선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