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스마트 쇠퇴, 축소 도시는 인구 감소, 빈집 증가 등 도시 쇠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은 인구 성장에 근거한 성과주의 도시계획에 대한 반성인 셈이다. 성장 위주의 도시 정책에서 벗어나 인구 감소 시대의 새로운 도시 정책과 계획적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이 바로 축소 도시를 통한 스마트 쇠퇴다. 이 책은 축소 도시와 스마트 쇠퇴의 개념 그리고 지방소멸과 인구 감소 문제를 다뤘다. 또한 러스트 벨트와 브라운필드, 스마트 쇠퇴와 리질리언스, 스마트 축소 맞춤형 국토 및 도시계획과 부동산 투자로서의 부동산 자산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과 4차 산업혁명의 연관성을 살펴봤다. 현재 진행 중인 우리나라 도시 쇠퇴의 현안을 검토하고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지은이
서정렬
영산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다.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 도시계획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안전처 보행환경개선사업 심의위원, 행정복합중심도시건설청 총괄자문위원, 부산시 경관위원회와 주택정책 심의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연구원과 주택산업연구원, 부동산114의 자회사인 부동산투자자문회사 등에서 도시와 주택 문제를 연구했다. ‘걷고 싶은 도시와 살고 싶은 주택’에 관심이 많다. ‘시골교수 서정렬의 궁리연구소’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KBS <명견만리ᐨ700만 베이비부머, 기로에 서다>(2015.6.18) 등 방송과 칼럼에 참여했다. 저서로는 『저렴주택』(공저, 2017), 『부동산인간, 호모 프라이디오룸』(2016), 『젠트리피케이션』(공저, 2016), 『도시 공공 디자인』(2016), 『도시재생 실천하라: 부산의 경험과 교훈』(공저, 2014), 『리셋(Reset), 주택의 오늘 내일의 도시』(공저, 2012), 『주거 3.0: 100세 주거, 전세는 없다』(공저, 2012), 『도시는 브랜드다: 랜드마크에서 퓨처마크로』(공저, 2008)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도보관광을 통한 원도심 문화경쟁력 강화 방안”(2015), “워커블 어버니즘을 통한 도시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2014), “인문학적 접근사례를 통한 도시 공간의 정체성과 도시 경쟁력 확보 방안”(2010) 등이 있다.
차례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을 통한 창조적 쇠퇴
01 스마트 디클라인, 축소 도시
02 스마트 쇠퇴
03 지방소멸
04 인구 감소
05 러스트 벨트와 도시 쇠퇴
06 브라운필드와 도시 문화 콘텐츠
07 스마트 쇠퇴와 리질리언스 도시계획
08 스마트 축소 맞춤형 국토 및 도시계획
09 축소 도시와 부동산 자산 젠트리피케이션
10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과 4차 산업혁명
책속으로
창조적인 것과 쇠퇴는 상반된 개념이다. 죽어 간다는 의미의 소멸이나 쇠퇴가 창조적일 수 없으며, 창조적인 것이 죽어 간다는 의미인 소멸이나 쇠퇴일 수 없기 때문이다. 축소 도시라는 표현이 오랫동안 거부되거나 금기시되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축소라는 단어 자체가 부정적인데 거기에 도시를 붙인 축소 도시가 긍정의 의미라거나 긍정의 개념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성장하는 도시가 있으면 축소되는 도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또한 이것이 동시적으로 동시대의 도시에서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축소 도시에 대한 이해가 바뀌었다.
_“01 스마트 디클라인, 축소 도시” 중에서
일본 자치단체 등 특정 지역에서의 인구 감소가 ‘자연적 감소’보다는 자발적 이동 등의 ‘사회적 감소’에 기인하는 측면이 큰 것도 한정된 지역에 사람들이 밀집하는 극점사회로의 변화를 가속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극점사회로 언급되는 대도시인 도쿄도 23구 지역은 인구의 ‘사회적 증감’ 비율이 약 30%, 오사카시와 나고야시는 약 10%, 후쿠오카시는 약 20%의 ‘사회적 증가’를 보였지만 그 밖의 지역인 지방 시·정·촌에서는 최대 80% 이상의 ‘사회적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_“03 지방소멸” 중에서
도시 차원에서 리질리언스가 주목 받고 있는 것은 현재 도시 또는 지역이 처한 다양한 문제 해결에 리질리언스로서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바로 도시 리질리언스다. 자연재해로는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 9월 12일 발생했던 역대 최대 5.8 규모의 경주 지진이 대표적인 사례다. 도시 및 지역 차원에서 회복력으로서의 리질리언스가 요구되는 상황들로는 지진, 홍수 등 도시 재난 및 도시 안전, 글로벌 경제위기나 질병 확산, 기후변화 등 도시 체계의 복잡성에 기인하며 그 문제들 또한 국가와 도시에 따라 다양하다.
_“07 스마트 쇠퇴와 리질리언스 도시계획”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