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20세기 세계문학이 얻은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손꼽힌다. 그렇지만 11권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 때문에 접근하기가 힘들다. ≪스완의 사랑≫은 그중 제1권에 삽입된 일화다. 해당 텍스트만으로도 석·박사과정에서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고 대학진학자격고사(바칼로레아)의 프로그램에 포함되기도 함으로써 오래전부터 그 독립성을 인정받고 있다. 프랑스에서도 일반 판본뿐만 아니라 주석본, 가죽 장정에 삽화를 넣은 초호화 장서본 등으로 판을 거듭해 출판된다.
이 책은 스완이라는 인물의 한 여자에 대한 사랑을 이야기한다. 사랑은 두 사람이 의지에 의해 만들어서 키워 갈 수 있는 감정이 아니라 에너지로서 존재하는 어떤 것이다. 자체적 발생과 발육과 쇠퇴의 곡선을 가진 무형의 생명체다. 사람의 외부에 독자적인 힘으로 존재하다가 예고 없이 우리의 마음속에 자리를 잡는, 사람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존재하는 힘이다. 이 힘에 휩쓸리게 되면 사랑이 실어 온 최초의 행복은 곧 아픔과 고통이라는 불길한 이름의 것에 자리를 내어 주고 사랑은 수술로도 제거할 수 없는 암적인 것이 된다. 이러한 특이한 사랑의 관념, 이러한 사랑의 특성을 프루스트는 스완의 ‘한’ 사랑, 즉 오데트에 대한 사랑을 통해 함축적으로 보여 준다.
흔히 스완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화자, ‘나’의 정신적 아버지라고 일컬어진다. 그것은 화자 자신이 스완에게 진 빚을 자주 고백하기 때문이다. 오데트에 대한 스완의 사랑을 이야기하는 것도 자신 역시 스완과 동일한 감정적 체험을 했기 때문이고, 지적인 면에서 스완의 가르침들은 화자 자신이 삶의 크고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인생관을 정립하는 데 큰 지침이 되었다고 증언한다. 가장 큰 차이는 스완은 그의 재능과 체험을 어떤 작품으로도 구체화하지 못한 채 사라졌지만 그를 많은 점에서 계승한 화자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다채로운 부분들을 치밀한 구조로 조화시킨 거대한 축조물, 아름다운 대성당과 같은 작품을 완성했다는 점이다. ≪스완의 사랑≫으로 이 거대한 세계를 잠시 엿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이 될 것이다.
200자평
≪스완의 사랑≫은 20세기 세계문학이 얻은 가장 중요한 작품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제1권에 삽입된 일화다. 주인공 스완은 그렇게도 싫어하는 스타일의 오데트를 어느 순간 사랑하게 된다. 사랑은 인간이 스스로 만들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건 사람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존재하는 힘이다.
지은이
마르셀 프루스트는 1871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1880년에 최초로 겪은 천식 발작이 그를 평생 구속한다. 파리의 리세 콩도르세에서 중등교육을 받고 1890년 파리의 법과대학에 등록한다. 1895년 대학을 마치고 자서전적 소설을 쓰기 시작해 1899년까지 계속하다가 중단한다. 이 미완의 초고는 후일 마르셀의 사후에 ≪장 상퇴유≫란 제목으로 출간된다. 1896년 ≪즐거움과 나날≫을 출간하는데 대부분 ≪르 방케≫와 ≪라 르뷔 블랑슈≫에 실었던 글을 엮은 것으로 아나톨 프랑스가 서문을 붙인다. 1913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편 ≪스완네 쪽으로≫가 그라세 출판사에서 출판된다. 1919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제2권인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를 NRF에서 출판하는데, 이 책은 12월에 공쿠르상을 수상한다. 1922년 11월에 폐렴으로 사망한다.
옮긴이
남수인은 프랑스 보르도III 대학에서 프랑스 문학(현대소설 전공)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 교수로 후학을 양성했다.
마르셀 프루스트와 마르그리트 뒤라스 같은 프랑스의 20세기 작가들과 프랑스어문학의 교수법에 대해 연구했다.
번역서로 가에탕 피콩의 ≪프루스트 읽기≫,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의 ≪하드리아누스의 회상록≫과 ≪알렉시≫, ≪세 사람≫, 나탈리 사로트의 ≪황금열매≫, 롤랑 바르트의 ≪라신에 관하여≫, 자크 데리다의 ≪글쓰기와 차이≫, ≪환대에 대하여≫,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미셸 옹프레의 ≪계몽주의 시대의 급진철학자들≫와 ≪사회적 행복주의≫, 앙리 퀴에코의 ≪몽당연필 모으는 남자≫ 등이 있다.
차례
스완의 사랑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그를 매혹한 낯선 여인의 눈에 스완이란 이름 자체에는 내재되지 못한 귀족성을 과시하고 싶은 욕구를 일으켰기 때문이었다. 미지의 여인이 가난한 계층에 속했을 때 특히 그의 과시욕은 발동했다. 명석한 남자가 다른 명석한 남자의 눈에 바보로 보일까 봐 두려워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멋쟁이 남자가 자신의 멋이 무시당할까 봐 걱정하는 것은 대귀족 앞에서가 아니고 촌뜨기 앞에서인 것이다.
-9~10쪽
스완의 사랑은 이제 가히 병이었다. 이 병은 하도 전이를 거듭했기에, 이 사랑은 스완의 모든 습관에, 모든 행위에, 사념에, 건강에, 잠 속에, 삶에, 그의 죽음 후에 대해 그가 원하는 것에조차 하도 밀접히 뒤섞여 있었기에, 그 사랑은 그 자신과 하도 일체가 되어 있었기에, 그를 거의 전면적으로 파괴하지 않고선 그 사랑은 그에게서 뽑힐 수가 없을 지경이었다. 외과에서 말하는 식으로 하자면, 그의 사랑은 이젠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227쪽
우리 삶의 우여곡절이란 것이 오묘해서, 동일한 상황에서 아직 존재하지 않는 행복의 토대는 우리를 아프게 하는 깊은 시름의 바로 옆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3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