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촬영 분야 최고의 교재 2025년 개정판
촬영과 관련된 감독, 작가, 조명 등 다른 분야 실무자에게도 꼭 필요한 책
기본 단계부터 고급 단계까지 디지털 영화 촬영의 기술적 프로세스 명확히 설명
다양한 스타일과 미학을 탐구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 테크닉 수록
촬영은 단순한 움직임의 기록을 넘어, 생각과 말, 행동, 그리고 감정적 서브텍스트와 분위기 등 모든 비언어적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예술이다. 그래서 영상 문법을 통해 다양한 의미와 서브텍스트를 전달하는 방법을 심도 있게 탐구해야 한다. 즉 촬영은 시각적 언어를 사용해 단순히 피사체를 담아내는 것을 넘어, 풍부한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구현해야 한다. 영화 영상을 제작할 때 촬영에 대한 이해가 깊을수록 영상 문법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그러려면 훌륭한 촬영 감독의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영상 언어의 미학적 기반 위에 촬영에 관한 광범위한 기술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통합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론적 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제작 현장의 다양한 사례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제시했다는 것이다. 저자의 풍부한 현장 경험과 깊이 있는 학술적 연구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독자들에게 종합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그리고 촬영 기법에 국한되지 않고 조명, 연출, 편집 등 영상 제작의 전 영역을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영화뿐만 아니라 방송, 광고,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아우르는 유연한 접근 방식을 채택해, 현대의 다변화된 영상 제작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실제 영화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일러스트레이션은 촬영 감독의 아이디어와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다.
이 책은 영화 영상 제작에 필요한 카메라 운용 지식과 촬영 감독이 알아야 할 전문적인 요소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러한 이해는 제작진 간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공통된 언어로 모든 창작 과정을 아우를 수 있게 한다. 최신 조명과 카메라 장비를 다룬 2025년 개정판 은 필름부터 최신 디지털 기술을 아우르는 전문적인 촬영·제작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이 책의 정보는 영화뿐만 아니라 방송, 광고, 뮤직비디오, 기업 홍보물,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게임 등 폭넓은 영상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촬영의 예술과 기술을 모두 알고 싶어 하는 현장 전문가는 물론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최첨단 촬영 기술을 배우려는 교수와 학생에게도 꼭 필요한 책이다.
최신 조명과 카메라 장비를 다룬 2025년 개정판의 주요 내용
– 시각적 스토리텔링
– 연속성과 커버리지
– 카메라와 디지털 센서
– 영화 조명의 기본과 장비
– 장면 촬영 방법
– 노출 기법
– 색상 과학
– 디지털 이미지의 이해
– 선형, 감마, 로그 비디오 사용법
– 이미지 제어와 현장 그레이딩
– 데이터 관리와 DIT
– 광학과 초점
– 카메라 움직임
– 촬영 현장
– 그린 스크린, 고속 촬영 등
200자평
촬영에 관한 최고의 교재로 최신판을 번역했다. 시각적 언어의 예술적 배경뿐만 아니라, 연속성을 위한 촬영 기법, 조명 방법과 장비, 디지털·필름 촬영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심도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기본 단계부터 고급 단계까지 디지털 영화 촬영의 기술적 프로세스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영화 제작을 공부하는 학생, 현장에 막 진출한 신입, 현장에서 더 나은 기술을 습득하려는 스태프, 최신 장비와 테크닉에 대한 지식을 탐구하는 경험 많은 제작자를 위한 책으로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제작 현장의 다양한 사례까지 배울 수 있다
지은이
블레인 브라운 Blain Brown
30년 넘게 영화 업계에 종사하며 촬영 감독, 감독, 시나리오 작가, 프로듀서, 편집자로 일했다. 촬영 감독이자 영화감독이 되기 전에는 조명 부원, 개퍼, 그립으로 경험을 쌓았다. 브라운은 장편 영화, 광고, 뮤직비디오, 기업 비디오를 촬영했고, 연출, 감독 등을 역임했다. 컬럼비아 칼리지, UCLA, 로스앤젤레스 영화학교, AFI 등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여러 영화 학교에서 강의했다. 그는 MIT와 하버드 디자인대학원에서 건축과 도시 계획을 공부했다. 저서로는 『영화 제작 기초: 시나리오 작성, 제작, 연출, 촬영, 오디오, 그리고 편집』, 『영화 조명 핸드북』(4판), 『디지털 영화를 위한 안내서』 등이 있다.
옮긴이
민경원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미학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등에서 강의했으며 UCLA 영화학과와 USC 영화학과, 그리고 북경대학교 예술대학 방문교수를 지냈다. (사)한국영화교육학회 회장, (사)한국영화학회 이사, (사)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뮤지컬 영화』(2013), 『영화의 이해』(2014)가 있고 역서로 『최신 HD 영화 제작 가이드』(2006), 『비주얼 스토리』(2010), 『마스터 숏』(2011), 『시각특수효과와 영상합성의 이해』(2011), 『위대한 영화의 편집 문법』(2013) 등이 있다. 제20회 서울독립영화제 대상을 받은 <나도 초콜릿이 먹고 싶다>를 비롯한 다양한 작품을 제작·연출했다.
김진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강사다.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작품 편집과 기획에 참여했다. 저서로 『영화 편집』(2014), 역서로 『영화 연출을 위한 무빙 카메라의 모든 것』(2016), 『커팅 리듬, 영화 편집의 비밀』(2014), 『보이지 않는 컷』(2014)이 있다. 2026년 출간 예정인 『고다르와 책(Reading with Jean-luc Godard)』을 번역하고 있다.
감수자
박기웅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화제작전공 교수다. 대학 졸업 후 잡지사에서 삼년쯤 기자로 일하다가 뒤늦게 영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1993년에 러시아로 유학을 떠났다. 모스크바 소재 러시아국립영화학교(VGIK) 촬영학과 학사 및 제작석사 과정을 마치고 돌아와 <버스, 정류장>(2001년), <욕망>(2002년),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2003년) 등 다수의 장편 극영화와, <거류>(2001년), <아버지 없는 삶>(2013년), <물속의 도시>(2014년) 등 다양한 다큐멘터리 영화에 촬영 감독으로 참여했다.
차례
역자서문
서문
01 움직임의 기록
움직임의 기록
등장인물의 세계
시네마토그래피의 시각적 언어
조명의 스토리텔링
프레임 결정
렌즈와 공간
원근감
조명과 색
움직임
카메라 앵글
정보
시점 숏
시각적 질감
시각적 은유
자연주의 대 표현주의
촬영 감독의 역할
02 프레임
한 장의 사진, 그 이상
프레임 구성의 원리
통일성
균형
리듬
비율
대비
질감
방향성
3차원 공간
깊이감
상대적 크기
선 원근법
대기 원근법
시각적 체계의 힘
선
차례
삼각 구도
수평선, 수직선, 대각선
프레임 경계
프레임 속 프레임
포지티브 스페이스, 네거티브 스페이스
관객의 시선 이동
3등분 법칙
인물 촬영의 규칙
헤드룸
노즈룸
그 밖의 지침
렌즈의 높이
더치 틸트
종횡비
03 렌즈 언어
렌즈의 스토리텔링
전경/중경/후경
렌즈의 원근감
렌즈와 공간
공간의 압축
선택적 포커스
플레어
04 연속성
연속성
편집을 위한 촬영
연속성 고려
연속성의 종류
내용의 연속성
움직임의 연속성
위치의 연속성
시간의 연속성
방향성
가상선
스크린 방향
가상선의 중요성
스크린 방향
가상선 설정의 기준
스크린 방향 유지의 목적
스크린 방향 유지의 기본적인 예
예외
방향 전환
몰아 찍기
커버리지 계획
편집의 중요성
20% 법칙과 30도 법칙
무빙 숏
추격 장면
문을 통과하는 장면
등장과 퇴장 프레임
중립적인 축을 이용한 퇴장 프레임
커버리지 내 소품의 연속성
시선의 이동
단체 숏
컷어웨이의 시선
오버 더 숄더 숏의 시선
앉아 있는 등장인물의 시선
05 촬영 기법
영화적 기법
관객의 인식
프레임
고정 프레임
카메라 앵글
숏: 장면의 구축
와이드 숏
설정 숏
등장인물 숏
풀 숏
투 숏
미디엄 숏
클로즈업
오버 더 숄더 숏
컷어웨이
반응 숏
인서트
연결 숏
드러내기
보충 숏
전환 숏
보이지 않는 기법
관객의 참여: POV
제4의 벽과 POV
촬영 기법
마스터 신 방식
일체/확장 마스터 숏
자유로운 방식
중복 촬영 방식
걸어가며 대화하는 장면
몽타주
장소 설정
소개
시간
등장인물
그 외의 편집 개념
점프 컷
편집의 유형
액션 컷
POV 연결
매치 컷
보이지 않는 연결
06 카메라
디지털 신호 경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HD 레코딩
UHD
RAW 파일과 베이크드 파일의 차이
RAW 카메라의 신호 경로
모니터용 비디오 신호
RAW의 정의
디지털 네거티브
크로마 서브샘플링
픽셀
해상도
포토사이트
픽셀과 포토사이트의 차이
디지털화
OLPF
디지털 센서
CCD
CMOS
3CCD 방식
색의 구분
베이어 필터
디모자이크/디베이어
디지털 센서와 색
픽셀 수
촬영 해상도
셔터
회전식 셔터
롤링 셔터와 글로벌 셔터
센서 크기와 피사계 심도
디지털카메라의 ISO
노이즈
IR 필터/핫 미러 필터
비트 전송 속도
비트 심도
프레임 레이트
필름 룩과 비디오 룩
07 디지털 측정
웨이브폼 모니터
외부 동기 신호
웨이브폼 보기
컬러 바의 구성
플러지를 이용한 모니터 조정
모니터 탐색
방송 신호의 기준
벡터스코프
색상/위상
촬영 현장의 벡터스코프 활용
벡터스코프에서 본 컬러 바
화이트 밸런스/블랙 밸런스
색 영역
비디오 테스트 카드
중성 그레이 카드의 한계
중간 회색
캘리브레이션 테스트 차트
DSC 랩스의 테스트 차트
원숏 차트
X-라이트의 컬러체커
크로마매치와 스크린얼라인
피부 톤
이미지 해상도 측정
08 노출
노출 이론
적정 노출
노출 조절
ISO
노출의 요소
빛
F스톱
셔터 스피드/프레임 레이트/셔터 앵글
특성 곡선
노출 부족
노출 과다
적정 노출
휘도 범위를 벗어나는 밝기
노출의 두 가지 측면
필름과 비디오의 차이
후반작업의 한계
핵심
RAW 비디오 촬영의 노출
디지털 노출
노출계
입사식 노출계
반사식 노출계
노출의 또 다른 세계
웨이브폼 모니터로 노출 설정
웨이브폼의 F스톱
반사율 18%
카메라의 노출 지표
제브러
히스토그램
트래픽 표시등과 골포스트
폴스 컬러
아리 알렉사의 폴스 컬러
노출 전략
클리핑과 노이즈 피하기
질감과 세부
딜레마
노출계 사용
키 라이트 측정
웨이브폼 모니터 이용하기
중간 회색 맞추기
노출의 기준점
ETTR
제브러
모니터
개인의 성향
블랙매직 디자인 카메라의 노출
09 선형, 감마, 로그
다이내믹 레인지
선형 응답
이상과 현실
장면 참조로서의 선형
대표적인 S-곡선
필름 감마와 비디오 감마
비디오 감마
우연의 일치
REC.709와 REC.2020
Rec.709의 전달 함수
Rec.2020
스튜디오 스윙, 풀 레인지, 리걸 비디오
코드 100의 문제
하이퍼감마/시네감마/필름 Rec
소니의 하이퍼감마 용어
RAW 비디오의 감마
선형의 비효율성
로그 인코딩
로그의 역사
슈퍼화이트
보이는 것과의 차이
로그와 RAW
회사별 로그 곡선
소니 S-로그
아리 로그 C
캐논-로그
파나로그
레드코드
레드로그
로그와 18% 회색
로그 곡선들의 차이
10 색
색 용어
색온도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
화이트 밸런스, 블랙 밸런스, 블랙 셰이딩
마젠타와 그린
CIE 색도도
색 영역
비디오의 색 공간
Rec.709와 Rec.2020
DCI-P3
AMPAS의 ACES 색 공간
행렬
젤과 필터를 이용한 색 균형
변환 젤
보정 젤
교정 젤
색이 좋지 않은 조명의 보정
HMI
산업용 조명
색, 스토리텔링 도구
컬러 팔레트 사례
11 이미지 조절
이미지를 조절하는 방법
DIT 카트
DIT 카트의 기능
색 교정과 색 보정
리프트/섀도
감마/미드톤
게인/하이라이트
커브
로그 모드
오프셋 조절
데일리 보정의 출력과 재사용
LUT과 룩
1D LUT
3D LUT
LUT과 룩의 차이
렌즈 앞에서 이미지 조절하기
확산 필터와 효과 필터
색 교정을 위한 카메라 렌즈 필터
따뜻한 색 필터와 차가운 색 필터
흑백 이미지의 대비 조절
편광 필터
IR 필터
12 광원
조명의 도구
색의 균형
연색지수
주광/텅스텐 조명
LED 조명
리모트포스퍼 LED
HMI 조명
제논
텅스텐 조명
프레넬 조명기
오픈 페이스
파
소프트 라이트
바거 백라이트
촬영용 형광등
기타 유형의 조명기
소프트선
사이크, 스트립, 누크, 브로드
초롱 조명기와 공간 조명기
크레인 장착형 조명 장비
엘립소이덜 리플렉터 스폿 조명기
풍선 조명
휴대용 조명기
야외 주간용 장비
임시 조명
박스 조명기
크리스마스트리 조명
프로젝터 전구
조명에 대한 기타 정보
13 조명
조명의 기본
(개념적인) 조명 도구
빛의 속성
강함과 부드러움
좋은 조명의 목표는 무엇인가?
모든 범위의 톤
색 조절과 색 균형
모양
분리
깊이
질감
분위기와 톤
그림자
드러내기와 숨기기
노출과 조명
조명 용어
하드 라이트와 소프트 라이트의 작업
하드 라이트
소프트 라이트
조명의 방향
평면적인 정면 조명 피하기
업스테이지 조명
백라이트와 키커
조명의 강도
조명의 질감
색
조명 기술
앰비언트 조명
고전적 조명
창문으로 들어오는 조명
실용 조명과 설정 조명
조명의 기본 원리
업스테이지 조명: 리버스 키
백 크로스 키
앰비언트 악센트 조명
실용 조명
창문을 통한 조명
가용광
사용 가능한 빛: 창문
설정 조명
램프 빛 보강
주간 야외 촬영
필 라이트
실크와 디퓨전
오픈 셰이드와 차고 문 조명
태양광을 역광으로 활용하기
매직 아워
같은 장면의 일곱 가지 다른 조명
14 조명 세팅
하드 라이트와 소프트 라이트
주간 야외 촬영에서의 필 라이트 활용
스크림과 반 도어
플래그, 솔리드, 네트
키메라와 스누트
소프트박스
에그크레이트
창문 문제
쿠키, 셀로, 고보
디머
LED 디머
핸드 스퀴저
15 그립
용어 정의
반사판
플래그와 커터
네트
큐컬로리스(쿠키)
그리드와 에그크레이트
오픈 프레임
디퓨전
버터플라이와 오버헤드
설치 장비
그립 헤드와 C-스탠드
하이보이 스탠드
클램프
월 플레이트, 베이비 플레이트, 피전
2K 리시버와 터틀
사이드 암과 오프셋 암
기타 그립 기어
모래주머니
애플박스
웨지
캔들 스틱
스터드 체인 바이스 그립
16 카메라 움직임
카메라 움직임
카메라 오퍼레이팅
카메라 움직임에 대한 동기 부여
카메라 움직임의 기본
움직임의 종류
팬
틸트
돌리인/돌리아웃
줌
펀치-인
무빙 숏
트래킹
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
카메라 이동을 활용한 드러내기
원형 이동
크레인 이동
롤링 숏
움직임을 위한 카메라 장비
드론
핸드헬드
스태빌라이저 리그
카메라 헤드
트라이포드
하이해트
로커 플레이트
틸트 플레이트
크랩 돌리
돌리 용어
자동차 장면 촬영
차량 간 촬영
항공 촬영
기타 카메라 마운트 장비
스태디캠
케이블 캠
스플래시 박스
수중 촬영 하우징
모션 컨트롤 카메라
17 광학과 포커스
광학의 물리적 기초
굴절
초점 거리와 화각
F스톱
초점
정신적 초점
착란원
피사계 심도
얕은 피사계 심도
최단 거리
노덜 포인트
후면 노덜 포인트와 특수효과 촬영
줌 렌즈와 피사계 심도
접사 촬영
접사 촬영에서의 노출 보정
클로즈업에서의 피사계 심도
익스트림 클로즈업에서의 피사계 심도 계산
클로즈업용 특수 렌즈
디옵터
연장 튜브와 주름상자
접사 렌즈
스노클 렌즈과 이노비전 렌즈
프레이저 렌즈와 레볼루션 시스템
렌즈 익스텐더와 필터 계수
렌즈 관리
백 포커스
18 촬영 현장
실행에 옮기기
촬영 감독
촬영 감독의 도구들
개퍼 글래스
레이저 포인터
디렉터 뷰파인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숏 리스트
함께 주문하기
대본 읽기
감독과 상의하기
로케이션 섭외와 현장 점검
다른 부서와의 조율
팀과 주문
제작 회의
테스트
촬영 팀
촬영 기사
제1 촬영 조수
제2 촬영 조수
로더
DIT
촬영 스크립트, 장비와 도구
촬영 스크립트
촬영 조수의 도구과 소모품
촬영 조수의 사전 준비
카메라 체크리스트
팀워크
조명 팀
그립 팀
그 외의 제작 팀
촬영 절차와 규칙
장면 촬영의 순서: 블로킹, 조명, 리허설, 촬영
촬영 진행 순서
룸톤 녹음
촬영장 에티켓
촬영장 안전 사항
조명, 전기, 그립 장비
크레인 안전 사항
슬레이트 사용 방법
슬레이트 읽는 방법
엔드 슬레이트
MOS 슬레이트
멀티 카메라 슬레이트
타임코드 슬레이트
슬레이트 동기화
슬레이트에 기입할 내용
슬레이트에 문자 정보를 변경할 때
유럽 슬레이트 시스템
보충 숏 촬영, 시리즈 촬영, 재촬영
시각 효과 촬영
인서트 슬레이트
태양 찾기
19 DIT와 워크플로
데이터 관리
기본 원칙
실수로부터의 보호
표준 절차
로그 기록 관리
절차의 모범 사례
안전하게 저장하고 포맷하기
명확한 의사소통
항상 스크러빙하기
사본 3개 확보하기
드래그앤드드롭 금지
로그
파일 관리
파일명
다운로드·수집 소프트웨어
숏풋 프로
실버스택
카메라 제조사의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외장 하드드라이브
ASC 색 결정 리스트
후반작업에서의 이미지 조정
원색의 색 교정
슬로프·오프셋·파워, 그리고 채도
아카데미 컬러 인코딩 시스템
AMPAS와 ACES
작업 단계
ACES 용어
20 전력과 배전
전기 측정
전위
안전을 위한 암페어 계산법
전기 공급 시스템
단상
3상
전원
스튜디오 전력
발전기
대형 발전기 가동 지침
소형 발전기 가동 지침
병렬식 소형 발전기
타이인
타이인 안전 수칙
전압과 전류를 통한 KVA 결정
벽 전원
부하 계산과 페이퍼 암페어
전류 용량
전선의 색상 코드
중성선
배전 장비
타이인 클램프
버스바 러그
커넥터
불스위치
피더 케이블
배전함
런치 박스, 스네이크 바이트, 갱박스
연장선(스팅어)
집 연장선
배전 시스템 계획
부하 분산
전압 강하 계산
전기 안전
습한 장소의 작업
HMI 안전
안전 접지
지락 회로 차단기
21 시각 효과와 기타 기술적 내용
그린스크린·블루스크린 촬영
그린스크린·블루스크린을 위한 조명
디머
LED 디밍
디머 보드
스트로브 조명
고속 촬영
익스트림 클로즈업을 위한 조명
특수효과
연기
불
TV·영사기 효과
데이 포 나이트 촬영
달빛 효과
물 반사 효과
비
번개
총격 장면과 폭발
타임랩스 촬영
타임 슬라이스 촬영 기법
필름을 비디오로 전환하기
플리커
가상현실 촬영
오디오 작업
더블 시스템 사운드 vs 싱글 시스템 사운드
소음 차단
마이크
마이크를 카메라에 직접 연결하지 마라
지향성 마이크
샷건 마이크
마이크 마운트
무선 마이크
팬텀 파워
마이크 vs 라인 입력
사운드 기초
규칙 #1
규칙 #2
스크래치 트랙
와일드 트랙
폴리
룸톤
ADR은 고비용이다
촬영을 위한 음악 재생
타임코드 슬레이트
참고 문헌
참고 영화·영상 작품 목록
그림 속 작품 목록
찾아보기
책속으로
위에서 설명한 기본적인 요소를 어떻게 조합하고 배치하는지에 따라, 프레임에서 무엇부터 인식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이러한 시각적 체계는 프레임의 구성을 논리적으로 만들어서 눈과 뇌가 정보를 종합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관객이 프레임 전체를 ‘한 번에 보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숏을 ‘읽으려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관객의 시선을 잘 안내해야 한다. 눈과 뇌의 장면 해석을 돕는 시각적 요소를 살펴보도록 하자.
02_“프레임” 중에서
영화는 한 장면씩 만들어지고, 장면은 한 숏씩 만들어진다. 제작 규모가 아무리 크고 복잡한 작품이라 할지라도 항상 한 번에 한 숏을 촬영한다. 숏의 궁극적인 목표는 다른 숏들과 잘 어우러져 최종적인 장면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매 숏을 찍을 때마다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연속성은 영화를 만들 때 항상 의식하고 있어야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실수로 연속성을 놓치면, 몇 시간 동안 작업한 촬영본이 쓸모없게 되거나 편집할 때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렇다면 연속성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는 영화가 현실감 있게 보이는 데에 필요한 이야기, 대사, 이미지의 논리적 일관성을 말한다.
04_“연속성” 중에서
컷어웨이는 촬영 중인 주요 등장인물은 아니면서 장면과 연관되는 사물이나 사람을 담은 숏이다(그림 5.13). 컷어웨이는 그때까지 장면에서, 심지어 마스터 숏이나 와이드 숏에서도 관객이 보지 않았던 내용이다. 창밖의 풍경이나 마루에서 잠든 고양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컷어웨이가 어떤 행위를 강조하거나 장면의 정보를 더할 수도 있고, 등장인물이 바라보거나 가리키는 대상일 수도 있다. 전혀 다른 공간이나 장면과 무관한 내용을 담았다면 컷어웨이가 아니라 다른 장면이다. 컷어웨이는 편집 감독의 안전장치가 된다. 편집 과정에서 난관에 부딪혔을 때 컷어웨이로 연결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경험상 모든 장면에서 컷어웨이를 촬영해 두는 것이 좋다. 시나리오에 나오지 않고 장면에서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라도 괜찮다. 편집 과정에서 컷어웨이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05_“촬영 기법” 중에서
원본 네거티브를 복원해 출시한 영화들에 대해서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1939), <아라비아의로렌스> 등 여러 고전 영화가 훌륭하게 복원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긴다. 새로운 세대인 컬러리스트가 새로운 프린트를 만들때, 그 영화를 촬영한 촬영 감독의 예술적 의도를 제대로 살려 작업했을까? 그 촬영 감독은 (감독, 미술 감독과 협업하며) 이미지를 만드는 업무를 맡도록 고용되었던 전문가가 아닌가! 사실 그 점을 확인할 수 없지만, 이러한 복원 작업을 진행하는 사람들은 원래 제작진들의 예술적 의도를 보전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한다.
06_“카메라” 중에서
ARIB/SMPTE HD/UHD 컬러 바도 모양은 비슷하지만 순수 블랙이 0 바로 위와 아래에 추가된다. HD/UHD 컬러 바에서는 수치가 퍼센트를 뜻한다. 플러지는 모니터의 블랙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데에 필수다. ‘블랙’ 부분만 맞춰서 모니터 조정을 해 블랙을 재현했다고 하자. 이때 블랙에 정확히 맞췄는지, 과해서 순수한 블랙보다 더 어두운지 어떻게 알수 있을까? 모니터에서도 블랙은 블랙일 뿐이다. 플러지는 아주 약간 밝은 블랙을 보여 줘서 사용자가 ‘과한 블랙’을 설정하지 않게 한다. 블랙을 과하게 설정하면 어두운 영역뿐만 아니라 이미지의 나머지 부분인 미드톤과 하이라이트에도 영향을 미친다.
07_“디지털 측정” 중에서
영화 제작에서 사용하는 모든 LED 조명 장치는 여러 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제조 공정의 변화 때문에 LED의 색상과 출력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LED 제조사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비닝binꠓning을 사용해 왔다. LED는 테스트를 거쳐, 발생하는 빛의 특성에 따라 여러 그룹, 다시 말해 여러 빈bin 중 하나로 분류된다. LED 조명의 단가가 높은 이유 중 하나가 이때 탈락되는 불량품이 많기 때문이다. 비닝이 필요 없도록 일부 제조업체는 리모트포스퍼 기술을 고안했다. 기존의 백색 LED는 백색광 출력의 통합 장치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밝은 점광원 여러 개가 동작하기 때문에 넒은 발광 표면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앞서 언급한 빛의 균일성에 문제가 있다.
12_“광원” 중에서
조명의 절대적인 규칙 중 하나는 모든 실용 조명은 반드시 디머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은 일반적인 벽 디머로 만들어진 소형 휴대용 디머인 핸드 스퀴저일 것이다. 대부분의 조명에서는 스크림, 그립 네
트, ND 젤, 조명 자체 조절 기능 등을 통해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용램프에서는 이러한 조절 방법이 없으므로, 밝기를 조절하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은 디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램프들이 프레임에 보인다는 점에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핸드 스퀴저가 필수적이다.
13_“조명” 중에서
창문(과 유리문)은 딜레마를 일으키는데, 외부는 거의 내부보다 훨씬 더 강렬하다. 배우가 창문에 기대어 포즈를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실내조명을 야외에 맞추려고 높일 수 있지만, 이러한 시도는 결코 실용적이지 않다. 그림 14.14, 14.15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데, 감독을 잘 설득해 배우 디렉션을 바꾸고 창문 조명이 배우를 비추도록 하면 된다.
14_“조명 세팅” 중에서
모래주머니는 영화 제작에 반드시 필요하다. 조명 스탠드, C-스탠드, 그리고 하이보이 스탠드 등을 안전하게 고정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고, 열린 문을 잡아 두는 것에서부터 배우가 의자에 더 높이 앉을 수 있게 하는 것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모래주머니는 그냥 모래가 아닌 고양이 모래로 채워져 있다. 모래주머니는 다양한 크기로 구성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25파운드(11.3kg)고 15파운드(6.8kg) 와 5파운드(2.3kg) 모래주머니도 사용된다. 숏백shotbag은 더 작지만 납으로 채워져 있어 무게가 25파운드다. 숏백은 25파운드 모래주머니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 쓸모가 있다.
15_“그립” 중에서
초점은 영화 제작에서 많이 오해받고 있다. ‘초점’이란 무엇일까? 이론적으로는 초점이 맞는다는 것은 영화 영상에서 실제 물체가 ‘실생활에서처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의 눈은 모든 것을 초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은 눈과 뇌의 상호 작용의 결과다. 사람의 눈이 볼 수 있는 화각은 상당히 넓지만 광학적으로 눈은 f/2에 해당한다. 우리 눈은 ‘광각’ 렌즈로 간주되기 때문에 실제로 세상의 많은 부분이 초점이 맞는다. 하지만 초점은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계속 변한다. 다만 인식하지 못할 뿐이다. 눈의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이 수정체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초점이 바뀐다.
17_“광학과 포커스” 중에서
일반적으로 촬영 감독은 입사식 노출계와 스폿 노출계, 이렇게 두 개의 노출계를 지니고 있다. 세코닉Sekonic 노출계(그림 18.2)는 이 두 가지 기능을 결합한 제품이지만, 촬영 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노출계가 사용된다. 색온도계도 유용하지만 일반적으로 항상 휴대하지는 않는다. 애덤윌트가 개발한 앱인 시네 미터 IICine Meter II(8장 “노출”의 그림 8.37, 8.38)는 실제로 세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입사 노출 측정을 위한 럭시돔Luxi dome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18_“촬영 현장” 중에서
촬영 현장의 데이터 관리에 적합하도록 비디오/오디오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백업하는 데에 특화된 여러 소프트웨어가 있다. 때로는 파일을 변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순환중복검사CRC와 같은 안전 기능을 제공한다. CRC는 RAW 데이터의 우발적인 변경을 식별하는 오류감지 코드다. 이러한 검사를 위한 다양한 선택 사항도 제공한다. 대개 롤명을 기입할 수 있고, 다운로드를 할 때마다 뒤에 자동으로 오름차순 숫자를 생성한다.
19_“DIT와 워크플로” 중에서
추천글
많은 촬영 감독에게 필름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은 고통스러운 과정이었다. 브라운은 이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며, 기술적 측면을 자연스럽게 풀어냈다. 결국, 이 모든 것은 촬영 예술에 관한 것이다!
주디 이롤라(Judy Irola), ASC, USC 영화예술학교 촬영전공 학과장
촬영 감독이자 교육자로서 『시네마토그래피, 촬영의 모든 것』을 학생들에게 늘 필독서로 추천한다. 블레인 브라운은 가장 기본적인 단계부터 고급 단계까지 디지털 영화 촬영의 기술적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제작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고려할 때, 이 책은 현장 전문가에게 꼭 필요한 가이드다. 나도 그중 한 사람이다.
앤서니 자넬리(Anthony Jannelli), 뉴욕대학교 티시예술학교 대학원 촬영전공 학과장
교재가 더 나아질 수 없다고 생각했던 순간, 브라운은 또다시 자신을 능가했다. 실제 영화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일러스트레이션은 촬영 감독의 아이디어와 방법론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제공한다. 브라운은 시네마토그래피와 테크닉의 광범위한 개념부터 기술적 세부 사항까지 모든 측면을 꼼꼼하게 제시한다.
제임스 헨더슨(James Henderson), 영화감독·사진작가·교육자
개정판은 LUT 섹션을 포함하여 카메라·이미지 제어와 같은 기술 발전에 대한 장을 추가하면서도 전통적인 촬영 테크닉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뛰어나다. 빠르게 변화하는 최첨단 촬영 기술에 적응하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데에 꼭 필요한 책이다.
제레미 버브(Jeremy Bubb), NAHEMI 의장, 영화감독·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