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미국의 일부 언론들이 위기 극복의 한 대안으로 찾아낸 공공저널리즘을 현직 중견 언론인이 언론인의 시각에서 소개, 우리나라 지역 언론이 직면한 환경 변화에 대응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선택 가능한 틀을 탐구했다.
지은이
안병길
1960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법학과,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한 뒤, 동아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지방자치와 지방 언론)을 수료했다. 미국 클리블랜드주립대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부산일보 제2사회부 국제부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백산의 동지들』(공저) 등 다수가 있다.
차례
제1부. 공공저널리즘의 이해
제1장. 공공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1. 공공저널리즘의 개념
2. 공공저널리즘의 저널리즘적 특징
3. 공공저널리즘과 구별되는 것들
제2장. 공공저널리즘의 역사
1. 언론의 이중 위기와 공공저널리즘의 태동
2. 미국 공공저널리즘의 현황
제3장. 공공저널리즘의 이론 배경과 논쟁
1. ‘공중’에 관한 리프만과 듀우이의 논쟁
2. ‘공론 영역’ 논의의 부활
3. 여론 연구의 활성화
4. ‘인간주의’ 언론관
5. 공공저널리즘에 대한 비판
제4장. 공공저널리즘에 대한 평가와 미래
1. 공공저널리즘의 효과 평가
2. 인터넷과 공공저널리즘
3. 새로운 정보 공공 영역 실험
제2부. 공공저널리즘의 선택
제5장. 공공저널리즘의 한국 적용 가능성
1. 한국 언론에 공공저널리즘이 왜 필요한가
2. 한국 적용에 있어서 유념할 점
3. 한국 적용의 선결 과제
4. 한국 적용 가능 분야
제6장. 공공저널리즘 프로젝트 구성 방법론
1. 사전 준비 작업
2. 이슈 조사 및 선정하기
3. 문제 해결을 위한 이슈 토론 전략
4. 다매체 시너지 효과
제7장. 공공저널리즘에서의 취재 보도론
1. 취재원의 변화
2. 공공저널리즘에서의 취재 요령
3. 공공저널리즘에서의 글쓰기
4. 공공저널리즘에서의 편집
5. 취재 및 제작 시스템의 혁신
제8장. 공공저널리즘 프로젝트 실무 사례
1. 신문 주도 프로젝트
2. 방송과 공공저널리즘
3. 시민 기반 선거 보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