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1세기 영상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특히 주변에 머물렀던 아시아 시장이 괄목할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언어와 인종, 종교의 배경을 지닌 아시아 각국은 경제적 성장과 개방화에 따라 영상산업의 발전에 촉각을 세우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주요 투자자들의 아시아 영상산업 시장에 대한 투자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신규 매체의 등장과 기존 미디어와 통신의 융합은 영상물 콘텐츠 시장의 확대를 가져왔다.
기술적인 발전과 경제적인 성장에 따른 시장 확대는 이제 어떠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해야 하는가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1990년대까지 서구 영상물 수입 의존도가 높던 아시아 각국은 90년대 말부터 자국의 영상 콘텐츠 제작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고, 나아가 아시아 내 영상물 유통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몇 년간 아시아 각국에서 열풍처럼 퍼져나간 ‘한류’ 역시 이러한 배경을 공유한다. 이제 아시아 각국은 미국 중심의 서구 의존도였던 기존 영상물 수입 패턴에서 벗어나 동일 문화권이라고 일컬어지는 아시아 시장으로 그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이다.
이 연구서는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아시아 내에서의 영상물 유통 흐름을 분석해 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시작되었다. 먼저 세계 영상산업 시장에서 아시아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파악하고, 나아가 아시아 영상산업의 규모 및 현황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아시아 10개국의 방송영상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아시아 각국의 한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아시아 지역 내에서 국내 여상물 유통 마케팅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일환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국가는 중국과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과 베트남으로 주로 동아시아 지역이며 향후 서아시아 지역과 중동 지역까지로의 확대 연구를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200자평
상이한 역사와 문화적 뿌리를 지니고 있지만 무한한 잠재시장으로 빠르게 탈바꿈하고 있는 아시아를 방송영상물 유통 마케팅 측면에서 바라본 연구서. 세계 영상산업 시장에서 아시아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파악하고, 나아가 아시아 영상산업의 규모 및 현황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광주대학교, 부상경성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2006년 현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논문으로 「디지털화에 따른 콘텐츠 활성화 방안」, 「방송영상산업 진흥정책의 이해」, 「방송 시장 개방에 따른 win-win 전략」 등이 있다.
차례
I. 서론
II.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국제적 유통
1. 국가 간 프로그램 유통에 관한 이론
1) 영상물 국제적 유통에 관한 이론
2) 영상물의 국제적 유통에 있어서 문화적 할인
2. 아시아 시장의 부상
III. 아시아 시장의 영상문화산업
1. 아시아 영상산업 시장 현황
2. 아시아 영상산업 시장에 대한 전략 필요성
3. 아시아 영상산업 시장의 특징
IV. 아시아 각 국가별 현황 및 시사점
1. 각 국가별 일반 현황 및 방송산업 개괄
1) 중국
2) 일본
3) 홍콩
4) 대만
5) 싱가포르
6) 필리핀
7) 말레이시아
8) 인도네시아
9) 태국
10) 베트남
2. 국가별 시사점 및 시장 선별
V. 문화, 산업, 경제적 효과를 위한 전략
1. 핵심 시장에 따른 전략 포인트
1) 한류 확산 지역:중국, 베트남, 일본
2) 한류 중 확산 지역:대만, 홍콩
3) 한류의 저확산 지역:싱가포르, 말레이시아
4) 미확산 지역
2. 방송 기술 및 포맷 변화에 따른 전략
3. 국내 환경의 현황과 개선점
VI.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