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993년 여름 창간된 계간 ≪언론과 사회≫는 사회 속의 언론현상, 즉 사회라는 콘텍스트 속에서 언론이라는 텍스트가 갖는 다양한 관계와 그 의미에 관심을 갖는 전문연구자들에게 거침없이 열려 있는 새로운 연구와 논쟁의 장이고자 한다.
≪언론과 사회≫는 ‘사회 속의 언론’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시각이나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기반, 그리고 그에 대한 접근방법이 어떠하든 간에 학문적 엄격성과 충실성에 의거하는 한 모든 연구자에게 열려 있는 또 하나의 지적 공간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학술적 포럼을 지향하고 있다.
지은이
김선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동대학원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세대연구를 다시 생각한다: 세대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어떻게 ‘문화연구자’가 되는가?: 문화연구 전공 대학원생들의 정체화 과정에 대한 탐구≫(공저) 등이 있다.
김평호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문화방송 PD로 근무했으며 이후 영국 King Alfred’s College에서 석사, 미국 Indiana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디어·정보통신 기술의 역사, 뉴미디어 정책/산업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이동성, 그리고 사인주의: 이동전화의 사회적 함의≫, ≪뉴미디어: 정보화 정책과 개발주의 패러다임의 문제≫, ≪Is Korea a strong Internet nation?≫, ≪The Apple iPhone shock in Korea≫ 등이 있다.
박선희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언론정보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인간 및 세계와 디지털미디어의 관계’ ‘미디어와 민주주의’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탈육화 담론의 비판으로서 육화 이론>, <인터페이스 감각양식이 사회적 현존감 및 온라인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등과 공저로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가 있다.
박소정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 2008년 이후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가 재현하는 연애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다양한 미디어문화 및 영상문화와 재현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홍석경
서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신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그르노블3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디어문화, 영상방법론, 문화연구, 영상문화, 디지털문화, 한류 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폭넓게 연구해왔다. 최근 논문으로 ≪프랑스의 한국 아이돌 문화 여성팬덤과 성 담론에 대한 연구≫, ≪프랑스에는 왜 문화주의 연구가 없었나?≫, ≪서울의 풍경들: 블로거들의 서울 사진과 공간 경험에 대한 영상방법론적 접근≫ 등이 있고, 저서로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가 있다.
황주성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에서 학·석·박사를 취득하였으며,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정보사회연구실/미래융합연구실 등에서 연구위원으로 근무하였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디지털 컨버전스, 인터넷과 사회변화, 전자정부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 공공데이터 개방의 국가별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지상파TV의 시청방식에 따른 집단 간 특성 비교≫, ≪빅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사회적 가치의 조화방안≫ 등이 있다.
차례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김선기
미디어 서비스 실패사례 연구가 희소한 원인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김평호·황주성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
홍석경 · 박소정
햅틱커뮤니케이션
: 인터페이스 상호감각성, 촉지적 육화, 그 함의
박선희
저자 소개 (가나다순)
원고 작성 요령
원고 투고 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