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작자
≪얼해화≫라는 작품을 기획하고 먼저 창작에 착수한 사람은 진쑹천이었다. 중국교육회가 출범할 때, 진쑹천은 차이위안페이 등과 더불어 이 단체의 창립 발기인이었는데, 중국교육회는 공화제 혁명 이념을 고취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였다. 그는 평생 동안 공화 혁명에 종사했는데, 장쑤동향회의 요청으로 ≪얼해화≫를 구상하게 되어, 도쿄에서 출판되고 있던 ≪장쑤≫ 제8기에 제1, 2회를 발표했으며, 그 얼마 후 창작을 쩡푸에게 위임했다. 쩡푸는 청나라가 망국의 위기에 직면한 격변기를 살면서 통치 계층의 부패 무능과 전제 체제를 비판하고,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항거했으며, 새로운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진보적 지식인이었다.
발표 과정과 영향
쩡푸는 진쑹천에게서 ≪얼해화≫의 창작을 위임받은 뒤 1904년 겨울 동안 제20회까지를 썼고, 제1회부터 제10회까지를 ‘초집’으로, 제11회부터 제20회까지를 ‘이집’으로 묶어 1905년에 소설림서사에서 출판했다. 제21회부터 제25회까지는 1907년과 1908년에 걸쳐 잡지 ≪소설림≫에 발표했는데, 이 다섯 회분은 수정된 원고를 1927년 11월부터 잡지 ≪진미선≫에 다시 발표했다. 나머지 제26회부터 제35회까지도 모두 ≪진미선≫에 발표했다. 마지막 회인 제35회를 1930년에 탈고했기 때문에 ≪얼해화≫는 장장 27년에 걸쳐 쓰인 셈이 되었다. 원래는 총 60회로 구성할 예정이었지만 완성하지 못했고, 단속적으로 쓰는 동안 최초의 구상을 바꾸거나 이미 발표한 부분을 수정하기도 하면서 지금의 35회본을 남기게 되었다.
창작 배경과 작품의 특징
‘얼해’는 ‘죄악의 세계’, ‘숱한 죄업’ 등으로 해석될 수 있는 단어인데, 작가는 작품의 제1회에서 ‘얼해’를 ‘노예들의 낙원’이 위치한 ‘바다’로 설정함으로써, 낙후한 중국의 현실을 반영하겠다는 창작 의도를 표명했다. 아편전쟁 이후, 중국은 갈수록 심해지는 제국주의 열강의 수탈에 시달리게 되었고, 그에 따라 국민들의 불만과 위기의식도 고조되었으며, 이러한 감정과 의식이 문학 작품에 표현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민간 문학 작품이든 지식인의 창작물이든지를 막론하고, 중국의 위기 상황을 반영하는 작품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소설도 예외는 아니어서, 각성한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으로써 변혁을 도모한다는 사명을 자임했는데, 소설이 계몽의 수단으로 의식되었기 때문에, 관료의 부패, 제국주의의 침략, 외국 자본의 횡포 등 부정적인 사회 현상들이 비판적 사실주의를 통해 작품에 담겼으며, 풍자가 주된 표현 기법으로 채용되었다. 이러한 청 대 말기의 사회 비판적 소설을 루쉰은 ‘꾸짖는 소설’이라는 의미의 ‘견책소설’로 칭했는데, 이는 그 어투가 유달리 신랄하고 직설적이었기 때문이었다. 이 책은 이러한 계열에 속하는 작품이며, ‘청 말 4대 견책소설’ 중의 하나로 꼽힌다.
200자평
청나라 말기 낙후한 중국의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는 소설이다. 루쉰은 사회 비판적인 이러한 소설을 가리켜 ‘꾸짖는 소설’이라는 의미의 ‘견책 소설’이라고 칭했다. 이 책은 청 말 4대 견책 소설 중의 하나로 꼽힌다. 1905년에서 1906년 사이에만 열다섯 차례의 재판을 거듭하면서 5만여 부가 판매될 정도로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지은이
쩡푸는 1904년 상하이에서 소설림서사를 열었고, 1907년 1월에 잡지 ≪소설림≫을 창간했는데, ≪소설림≫은 사상적으로 공화 혁명을 지지했다. 1908년에 소설림서사를 닫았고, 이때부터 20여 년 동안은 행정과 정치에 종사했는데, 장쑤성의 의원으로부터 시작해서 관산처장·재정청장·정무청장 등을 역임했으며, 1926년 9월에 정무청장 직을 사임한 이후 문단으로 복귀했다. 그리하여 1927년 11월에 잡지 ≪진미선≫을 창간했는데, 1931년 7월에 진미선서점을 닫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로는 더 이상 저술 활동을 하지 못했으며, 1935년 6월에 삶을 마쳤다. 쩡푸는 청나라가 망하고 중화민국이 건국되는 격변기를 살았던 인물이며, 새로운 사상과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진보적 지식인이었다. 그는 자신의 문학 활동과 정치 활동을 통해 중국이 처한 위기 해소에 공헌하고자 애썼던 사람으로서, 그의 작품들에는 이러한 우국충정이 표현되어 있다. ≪얼해화≫ 이외에도 소설 ≪노남자≫, 희극 ≪설담몽원본≫, 그리고 다수의 불문학 관련 논문과 번역서를 남겼다. 그 외에도 시사(詩詞)·일기·서한 등의 구문학 작품도 많이 남겼다.
옮긴이
위행복은 서울대학교 중문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공부했다. <얼해화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청 대 말기와 중화민국 초기의 중국 소설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전북대학교 중문과를 거쳐 현재는 한양대학교 중국학과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대만의 국립중흥대학 교환교수와 U. C. 버클리의 방문학자를 지낸 적이 있다. 현재는 교환교수의 신분으로 대만정치대학 한국어학과에서 강의 중이다.
차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제1회: 광풍노도가 삽시간에 노락도(奴樂島)를 덮치고, 30년의 덧없는 과거를 자유의 꽃으로 표현하다
제2회: 루 효렴(孝廉)이 미녀를 찾아 진창(金閶)에서 연회를 열고, 진 전찬(殿撰)이 고향으로 가는 길에 후두(滬凟)에 머물다
제8회: 물의를 피해 남장원이 몰래 여장원을 맞아들이고, 고봉(誥封)을 빌려 작은부인이 잠시 본처를 대신하다
제12회: 제국의 황후와 나란히 사진을 찍고 처음 샤를로텐부르크 궁에 오르며, 학문이 동서를 꿰뚫고 국경도를 새롭게 번각하다
제24회: 여론에 격분하여 학사가 글을 짓고, 번방(藩邦)을 구하려고 명사들이 전쟁을 주장하다
제25회: 꿈인지 현실인지 사농(司農)이 학의 종적을 수소문하고, 칠종칠금(七縱七擒)하겠다며 순무가 허풍을 떨다
제30회: 바이수이탄(白水灘)에서 명배우가 모자를 던지고, 칭양항(靑陽港)에서 아리따운 새가 조롱을 떠나다
등장인물 소개
줄거리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강산에 노래가 그쳤고 정령(精靈)이 흐느끼며, 중원(中原)에는 자유의 정신이 끊겼구나! 궁궐의 재능 있는 선비와 평강리(平康里)의 미인이, 하늘이 점지하심에 따라 쑤저우(蘇州)에서 정분이 났더라. 칙사의 마차가 서쪽으로 가더니, 문득 양심을 속이며 남몰래 달콤한 원망을 맺었다. 죄악의 바다를 떠도나니, 전생의 업보를 이승에서 치르는구나.
뭇 용들이 구주(九州)를 횡행하며 밤내 싸우는데, 그때에도 조정은 흠뻑 취해 있고, 몽혼(夢魂)들이 놀라 전율한다. 호신영(虎神營)은 황폐해지고, 난의전(鸞儀殿)이 열리니 미녀 사절을 보낸다. 대천세계(大千世界)에 선현이 남기신 본보기. 다시 천안(天眼)은 오랑캐를 근심하고, 민심은 중국을 걱정한다. 자유의 꽃을 피우는 신(神)이 혁명의 힘에 의탁하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