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통유의 첫 번째 상, 이제현(李齊賢)
조선 전기의 사대부들이 지향했던 문학과 정치, 철학에 통한 선비, 통유(通儒). 고려를 대표하는 지성 이제현은 가히 통유라 할 만하여 이색(李穡)은 “도덕의 으뜸이며 문장의 본원”이라고 기리기도 했다. 이색의 영향을 받았던 이들은 모두 자신들의 학풍이 이색을 거친 이제현의 학풍에서 연원한다고 생각했다. 이제현에 대한 존숭 역시 이들과 함께 지속되었다. 그가 우리 문학사에 기여한 업적은 고문 창도(古文唱導)와 악부 제작(樂府製作)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역옹패설≫의 곳곳에서 그는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 구양수(歐陽脩) 등 당송(唐宋)시대의 문인들을 존숭하고 본받을 것을 말하고 있다. 그의 산문은 간결하고 소박하면서도 주제를 명료하게 전달하고 있어서 읽고 이해하기 쉬운데 이는 고문 학습의 결과로 보인다. 또한 그는 <무산일단운(巫山一段雲)>이라는 장단구의 악부를 지었고, <소악부(小樂府)>에 우리 민요를 악부 형식으로 옮겨놓기도 했다.
종합적 성격의 문헌, ≪역옹패설≫
시에 관한 이야기, 역사적 고증에 관한 견해, 경전에 적힌 어구나 사건에 대한 변증뿐만 아니라 작자 자신의 경험이나 주변 인물의 일화도 담긴 ≪역옹패설≫은 저작의 성격이 단일하지 않고 종합적이다. 이런 성격은 후대의 저술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서거정(徐居正)의 저술 중에서 ≪동인시화(東人詩話)≫,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필원잡기(筆苑雜記)≫ 등 세 편은 모두 이제현의 ≪역옹패설≫을 염두에 둔 저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분립적인 저술의 모본이 되었건, 종합적 저술의 비조가 되었건 ≪역옹패설≫은 뒤로 이러한 유형의 소재와 글쓰기의 모범이 된다.
올바른 인사(人士)가 걸어야 할 진리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이제현은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칩거하며 ≪역옹패설≫을 저술한다. 덕분에 이 책을 통해 잡다한 경사 고증(經史考證)과 사실 핵론(事實劾論), 문예 비평(文藝批評) 등 이제현의 박학다식을 볼 수 있지만, 또한 올바른 인사(人士)가 걸어야 할 마땅한 진리의 길에 대한 그의 고민과 확신을 여러 군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편 그는 고려가 원 제국의 질서 아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인 바탕에서 정치의 가치를 찾고 있다. 동일 문명권 아래 개별 민족이나 국가 공동체의 이질성이 공존하는 시대를 살게 될 우리의 한 모델이 될 수 있겠다.
200자평
‘재목감이 되지 못한 나무의 즐거움’을 누리는 늙은이가 적는 ‘돌피’ 같은 소소한 잡문은 이제현의 지나친 겸손이다. 고려 시대 3대 비평 문학서로 꼽히기도 하는 <역옹패설>은 시.역사.종교를 아우르고 소소한 일화도 곁들여 후진들의 저술에도 귀감이 되었다. 그의 넓은 시각으로 고려를 조망하다 보면 오늘을 보는 눈도 보다 넓어질 것이다.
지은이
이제현은 1287년(충렬왕 14년)에 태어나서 1367년(공민왕 16년)에 사망했다. 세수는 81세다. 고려 일대를 대표하는 문인, 학자, 정치가라는 평에 전연 손색이 없다. 본관은 경주(慶州)고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역옹이다. 이제현은 1301년(충렬왕 27년)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어서 과거에 합격하여 환로에 들었다. 이해에 당시 대학자며 권세가였던 권보(權溥)의 딸을 아내로 맞았다. 1314년(충숙왕 1년)에는 충선왕의 부름을 받아 연경(燕京)의 만권당(萬卷堂)에 가서 원나라의 학자, 문인과 교유하면서 문학과 사상 면에서 크게 계발되었다. 이 무렵 중국 내륙을 기행할 기회를 얻었다. 1316년에는 충선왕을 대신해 서촉(西蜀)에 있는 아미산(峨眉山)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다녀왔고, 1319년에는 충선왕을 모시고 절강(浙江)의 보타사(寶陀寺)에 강향(降香)하는 데 참여했다. 이 여행은 이제현의 견문을 크게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고려는 위기를 겪고 있었다. 우선 고려를 원의 한 행성(行省)으로 삼으려는 책동이 있어 고려의 국체가 위협을 받았다. 또 왕실의 난맥도 심화되어 혼란이 가중되었다. 전왕(前王)과 현왕(現王)이 서로 반목했고, 원에 있는 고려 거류민들의 왕인 심양왕(瀋陽王)까지 고려의 왕실과 갈등을 일으켰다. 1320년 충선왕이 유배된 것은 이런 일련의 사태로 인한 것이었다. 이제현은 원에 들어가 입성 반대 상서를 올리고, 티베트에 유배되어 있는 충선왕의 방환 운동을 벌였다. 결국 입성 책동은 저지되었고 충선왕도 티베트로부터 타사마(朶思麻)로 옮겨졌다. 이제현은 충선왕을 위로하기 위해 타사마를 다녀왔다. 1339년, 이번에는 조적의 변란으로 충혜왕이 원나라에 붙잡혀 갔다. 이제현은 충혜왕을 따라 원나라에 가서 사태를 수습해 왕이 다시 복위할 수 있도록 도왔다. 그러나 고려에는 조적의 세력이 여전했으므로 결국 이제현은 정치의 일선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역옹패설≫은 이 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저술이다. 1344년 충목왕이 즉위한 직후 판삼사사(判三司事)로 기용되면서 문란해진 정치 기강을 바로잡고 새로운 시책을 펴는 데 참여해 여러 항목에 걸친 개혁안을 제시했다. 1351년 공민왕이 즉위해 새로운 개혁 정치를 추진할 때 정승에 임명되어 국정을 총괄했다. 1356년(공민왕 5년) 반원 운동이 일어나자, 문하시중이 되어 사태의 수습에 나섰다가 이듬해에 치사하고 관직에서 아주 물러났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공민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옮긴이
김성룡은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호서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교수다. 김성룡은 문학이란 아름답게 나타내기, 지어서 만들어내기, 자기 사상을 표현하기라고 생각한다. 문학에 관하여 처음 쓴 글이 메타포(Metaphor) 연구인데 이것은 아름답게 나타내는 방법으로서의 수사학에 대한 그의 관심을 처음으로 적은 것이었다. 그것을 학부 졸업 논문으로 제출한 이래, 수사학에 대한 탐구, 곧 시학(詩學) 내지 시론(詩論)에 대한 관심은 그의 공부의 한 기둥이다. 지어서 만들어내기에 대한 관심은, 문학 작품은 서사든 그렇지 않든, 허구든 그렇지 않든, 현실 세계로부터 문학 세계를 구분하는 틀에 대한 관심이다. 문학의 세계는 만들어진 세계이므로 현실 세계는 아니다. 그것이 현실 세계를 닮아야 하느냐 아니냐 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전자는 존재의 원리라면 뒤의 것은 당위의 원리에 서 있다. 이 두 가지가 허구론(虛構論)의 근거라고 생각한다. 그의 석사 논문의 주제가 이것이었다. 문학은 어떤 상황이든 자기 고민의 흔적을 드러낸 것이다. 문학이란 문학의 형식으로 나타낸 글쓴이의 사상이다. 자기의 생각만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남의 생각도 표현해 낼 줄 알아야 한다. 문인이 사회적 오락 기구의 한 직능인, 예술 분과의 구성원 정도에 그치지 않고, 한 시대의 지성으로서 추앙을 받는 것은 바로 때문이다. 이런 고민을 박사 학위 논문으로 다루었다. 학부, 대학원을 다니면서 시학, 허구, 사상의 문제를 차례로 다루게 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시학, 허구, 사상은 지금도 그의 글쓰기의 세 거점 지점이다. 그리고 이 세 점을 지나는 원을 만들어 빙빙 돌면서 문학의 노천광을 채굴하는 즐거움을 누리고 있다. 그동안 ≪한국문학사상사 1≫, ≪우연이란 무엇인가(번역)≫,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공저)≫ 등의 책을 냈고, ‘이중 텍스트의 시학과 중층 독해의 이론에 관한 연구’ 등 시학 논문을 여러 편 썼다. 김성룡은 그의 글이 떨림을 준 적이 없다는 데서 열등감을 갖는다. 하지만 문학의 산은 무진장(無盡藏)이다. 아직도 얻을 게 많고 쓸 것이 많다. 그래서 즐겁다고 한다.
차례
역옹패설 전집 서
역옹패설 전집 1
역옹패설 전집 2
역옹패설 후집 서
역옹패설 후집 1
역옹패설 후집 2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패(稗) 자에 비(卑) 자가 붙어 있는 것 역시 소리를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이를 뜻으로 살펴보면 돌피[稗]는 곡식[禾] 중에 하찮은[卑] 것이라는 뜻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나는 젊어서는 글 읽을 줄 알았으나 장성하면서 그 배움을 폐지했다. 지금은 늙었는데 도리어 잡문 쓰기를 좋아하니 부실하기가 마치 하찮은 돌피와 같다. 그러므로 그 기록한 것들을 패설(稗說)이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