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콘텐츠를 어떻게 경제적인 자산으로 평가할 것인가?
콘텐츠 비즈니스가 워낙 창조적인 분야를 대상으로 하다보니, 기존 경영 노하우로 해결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다. 무형의 자산, 예측할 수 없는 사업 결과에 대해 어떻게 투자하고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는 콘텐츠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의 공통 관심사이다. 콘텐츠 업계는 아직까지 업계로서의 형체를 갖추기 시작한 단계에 불과할 뿐, 관리체계 및 회계기준도 미흡하고 이것을 실행할 인재 또한 부족한 것이 실정이다.
문화 콘텐츠 비즈니스를 예측 가능한 블루오션 비즈니스로 탈바꿈시키는 경영 노하우의 결정판
일본은 콘텐츠 비즈니스를 체계적으로 안착시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기업을 일구어냈다. 그렇기에 운영 노하우와 사업 규모, 해외 시장 개척과 같은 경험 면에서 참고할 것이 많다. 이 책은 영화, 방송, 게임, 음악, 출판, 캐릭터, 디지털 콘텐츠 등 업계별 콘텐츠의 특성과 자금 조달 방법, 콘텐츠 상품별 라이프사이클, 제작, 투자, 유통, 저작권 관리 등 각 부분의 노하우를 콘텐츠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필진들이 상세하게 전수해 주고 있다.
200자평
일본 최고의 콘텐츠 비즈니스 컨설턴트들이 모여 집필한 책이다. 사업의 관리를 콘텐츠 프로듀서의 입장에서 해설했으며, 영화, TV 프로그램, 게임 소프트웨어, 음악, 출판, 캐릭터, 디지털 콘텐츠 등 콘텐츠 제작 및 판매 관리에 관한 업계의 관행과 거래에 대해 기획, 법무, 재무, 관리의 관점에서 설명했다. 이와 동시에 콘텐츠의 탄생에서 소멸까지 라이프사이클을 바탕으로 정리했다.
지은이
감사법인 토마츠의 TMT(정보/미디어/통신:Technology/Media/Telecommunications) 그룹은 감사, 세무, 리스크 관리, 재무 상담, 컨설팅, 기타 TMT 업계에 특화한 서비스를 개발,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은 미디어/콘텐츠 업계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전문가가 집필하였다.
옮긴이
이호영
현재 경기대학교 다중매체영상학부 교수이며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엔터테인먼트 경영전공 주임교수로 일하고 있다. 일본 조치(上智)대학원 언론학 석사 및 박사를 받았다.
저서와 논문으로 『현대지식정보사회와 직업』(2005, 공저), 『미디어선거론』(2006), “엔터테인먼트 매니지먼트의 특성에 관한 고찰”(2006)이 있다.
송종길
현재 경기대학교 다중매체영상학부 교수로 일하고 있다.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에서 박사를 받았으며,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으로 일했다.
저서와 논문으로 『전환기의 한국방송』(2005, 공저), “주요국가 방송영상산업진흥정책 및 지원기구”(2005), “중국방송광고 시장변화와 프로그램 수출 합리화방안 연구”(2003) 등이 있다.
차례
서문
옮긴이의 말
서문 콘텐츠 프로듀서의 업무
콘텐츠 사업의 성공 비결
콘텐츠 프로듀서란 무엇인가?
프로듀서가 갖춰야 할 지식과 능력
제1장 콘텐츠의 특징
I.. 콘텐츠의 라이프사이클
II.. 콘텐츠의 일반적인 특징
III.. 업계별 콘텐츠의 특이성과 회계 처리의 특징
제2장 계획과 자금 조달
I.. 사업 계획, 제작 계획, 자금 계획의 필요성
II.. 사업 계획 실무
III.. 제작 계획 실무
IV.. 자금 계획 실무
V.. 자금 조달 방법
제3장 콘텐츠 제작
I.. 제작비의 회계 처리 방법
II.. 저작권 등의 권리 확보∼공정거래위원회의 대응 노력 등
III.. 제작비의 예산/실적 관리
IV.. 인사 평가
V.. 납품 관리
VI.. 외주 관리
제4장 콘텐츠 구입과 투자
I.. 저작권, 저작 인접권 등의 개요
II.. 콘텐츠 구입 및 취득의 회계 처리
III.. 조합 등에 대한 투자 측의 처리
제5장 콘텐츠 유통과 판매
I.. 회계 기준에서 규정하는 수익 계상 시기와 측정
II.. 콘텐츠의 수익 계상 유형
III.. 자산으로 계상한 콘텐츠의 자산 계상 구분과 비용 배분 방법, 비용 계상 구분
IV.. 판촉비-대리점의 인센티브, 선물비용, 선전비의 계상 시기 등
V.. 반품 조정 충당금
VI.. 콘텐츠의 감손 처리
VII.. 로열티 계산과 관리
VIII.. 대량 소액 채권의 회수 관리
제6장 콘텐츠 관리
I.. 관리 단위 – 프로듀서 단위의 관리 회계
II.. 관리 연도에 대해 – 단년도 예산의 한계, 트랙 레코드(과거의 수익)의 관리
III.. 장부 외 라이브러리의 관리
IV.. 장부 외 라이브러리의 평가
V.. 저작권 관리
부록 콘텐츠 프로듀서에게 요구되는 자질
I.. 웹 사업의 콘텐츠 프로듀서
II.. TV 방송국의 제작 프로듀서와 편성 부문의 업무
III.. 사업가로서의 프로듀서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