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이러한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학술적 의미를 받아들이며, 우리의 언론학 연구에 새로운 나무를 심는 마음으로 엮었다. 저자들은 단절된 ‘단위 현상’ 또는 ‘최신 현상’에만 관심을 두는 학문적 시각의 편협성과 사회학, 심리학, 자연과학과 함께하는 학제 간 연구가 언론학에서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는 비판적 시각에 큰 깨우침을 받고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해 왔다. 위험사회의 여러 징후를 보이는 우리 사회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건강하고 경쟁력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처방을 제시하는 학문적 방법으로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접근 방법을 탐구한다.
200자평
선진국에서는 이미 1990년대부터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는 위험. 그 가운데 커뮤니케이션학적 관점은 지대한 관심을 모으며 자연 재난, 환경 재난, 기술 재난 같은 위험 현상과 미디어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는 핵심적인 방법이 되고 있다.
위험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커뮤니케이션학적 측면의 새로운 연구 영역은 여러 가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구조의 기능과 위험에 대한 보도와 수용의 관계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둔 연구 방법이다.
위험사회의 여러 징후를 보이는 우리 사회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건강하고 경쟁력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처방을 제시하는 학문적 방법으로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접근 방법을 탐구하는 이 책은,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기초를 일반 독자, 미디어 종사자, 공무원, 기업 운영자 등에게 알리는 목적에서 저자들의 논문과 관련 논문들을 선별해 엮었다.
엮은이
송해룡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 교수, KAIST 대우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위험보도와 매스커뮤니케이션』, 『위험커뮤니케이션』, 『디지털커뮤니케이션과 스포츠콘텐츠』, 『미디어스포츠』(역서), 『디지털미디어, 서비스 그리고 콘텐츠』, 『위험보도론』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김원제
원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석사를 마쳤으며,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사로 활동 중이다.
『미디어스포츠 사회학』, 『유비쿼터스 사회와 방송』(공저), 『CT(Culture Technol- ogy) 비전 및 중장기 전략 수립 보고서』(공저) 등의 저서가 있으며, 디지털미디어 및 콘텐츠, 미디어스포츠, 위험 커뮤니케이션 분야 등을 연구하고 있다.
차례
머리말
1장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 현황과 연구 방법에 관한 성찰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토대와 연구 결과
2장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논쟁점과 유형
1.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동기
2.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계획과 실천
3. 위험커뮤니케이션과 참여
4. 위험커뮤니케이션의 문제와 개선을 위한 접근 방법
5.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조건
3장 제한된 커뮤니케이션과 위험 수용에 대한 기대 요구
1. 위험과 결정
2. 위험 수용
3. 위험 수용 요구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4. 신뢰를 통한 안전
5. 제한된 신빙성에서의 커뮤니케이션
4장 문명화 과정에서 위험 인지의 변화에 관한 논의
5장 위험 보도, 누가 어떤 뉴스를 결정하는가
1. 1988년 10월, 핵무기 스캔들이 전국적인 기사가 되었다
2. 1993년 10월, 인간 방사능 실험이 전국적인 뉴스가 되었다
3. 결론
6장 과학커뮤니케이션:의견 형성에 미치는 요인과 이미지
7장 매스미디어와 환경위험:일곱 가지 보도 원칙
8장 조직적인 일상과 미디어 위험 보도
1. 재난의 영향과 조직적인 ‘원인’을 연상시키는 선택성
2. 대안적 관점
9장 과학자들과 대중매체 인터뷰
1. 방법
2. 결과
3. 논의
4. 제한점과 앞으로 가능한 연구
10장 과학기술에 대한 독일 언론의 보도 행태와 논점의 변화
1. 서론
2. 주요 결과
3. 결론
11장 휴대폰 위험과 위험커뮤니케이션
1. 도입
2. 조사 연구 방법
3. 연구 조사 결과
4. 분석 및 논의
12장 실리콘 유방 이식수술의 위험 보도
13장 픽션으로서 과학, TV 황금시간대에 나타나는 기술
1. TV의 황금시간대에 나타나는 기술 읽기
2. TV 속의 과학
3. 과학 픽션물
4. 황금시간대의 과학 픽션물
5. <스타트랙>에 대한 비평
6. 기술의 이미지
7. 기술과 사회질서
8. 픽션으로서 과학
14장 과학 기사 작성에서 나타난 전문 정보원의 사용:여러 종류의 잡지 상호 비교
1. 가정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15장 한국사회 위험의 특성과 치유
1. ‘삶의 질’과 위험의 문제
2. 위험사회론
3. 한국사회 위험의 특성과 원인
4. 한국사회 위험에 대한 치유 방안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