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동전화는 정체성의 표현인가? 유행의 흐름을 타는 기기인가? 혹은 생활의 도구인가? 아니면 그 모든 것인가? 다중양식적인 이동통신이 집과 일터, 학교 등 일상의 모든 곳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전 세계에서 수집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누가, 왜 이동통신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찾아보고, 불평등한 접속 상황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차별화의 유형을 분석한다. 이동통신의 사회적 영향을 탐색하고 이동통신의 확산으로 생겨나는 문화적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자신들만의 문자메시지 언어와 가치를 가진 또래집단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둔 모바일 청년 문화의 발흥을 고찰한다. 플래시 몹 현상과 그것이 내포한 잠재적인 정치적 함의를 분석하며, 이동통신 발달을 통해 개발도상국이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그리고 미국에서 중국, 유럽에서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로 자유롭게 오가면서 모바일 네트워크 사회로의 변화에 관한 핵심 문제에 답한다.
200자평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시간과 지구촌의 공간이 구조적이고 역동적으로 달라지고 있다. 누가, 왜 이동통신을 이용하는가? 저자는 미국과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을 넘나들며 전 세계 이동통신의 보급 현황과 확산 유형, 이로 인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포괄적으로 탐색한다. 방대한 통계자료와 연구결과를 분석해 모바일 네트워크 사회로의 변화에 관한 핵심 문제에 답한다.
지은이
마누엘 카스텔
정보사회학 및 커뮤니케이션 학자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애넌버그 커뮤니케이션 대학 커뮤니케이션 학부 교수이며, 월리스 애넌버그의 석좌교수로 사회학부, 국제관계학부의 교수직을 맡고 있다. 또한 바르셀로나에 있는 카탈루냐 개방대학교의 연구 교수다.
1996∼1998년 사이에 3부작으로 펴낸 『정보 시대: 경제, 사회, 문화』가 그를 대표적인 정보사회학자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2000년에서 2003년 사이에 개정판이 나온 이 책은 미국에서만 18쇄까지 인쇄되었으며, 20여 개의 언어로 번역, 출간됐다. 그 후에도 『인터넷 갤럭시』, 『네트워크 사회: 비교문화적 관점』 등 여러 권의 저서를 냈다. 그의 책은 출간되는 즉시 전 세계 여러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가장 최근의 저서로는 2009년 8월에 펴낸 『커뮤니케이션 파워』가 있다. 지금까지 22권의 학술 서적과 21권의 공동 저서, 편저를 출간했으며,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구겐하임 연구 지원(Guggenheim Fellow), 라이트 밀스 상(C. Wright Mills Award), 로버트 헬렌 린드 상(Robert and Helen Lynd Award) 등 전 세계 여러 학술 지원기관으로부터 저명한 학술상과 연구 지원을 받고 있으며, 유러피언 아카데미(European Academy) 회원이다. 사회과학적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프랑스, 핀란드, 칠레, 포르투갈, 카탈루냐 정부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았다.
미레야 페르난데스-아르데볼
스페인 카탈루냐 개방대학교의 인터넷 학제 간 연구소의 연구원이며, 바르셀로나 대학교 경제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다.
잭 린추안 추
홍콩 중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의 부교수이며, 인터넷 연구자 네트워크인 ‘중국 인터넷 리서치 네트워크’의 공동 창립자다. 최근에는 중국 주요 도시 지역 정보통신 기술의 공간적, 계층적 형성에 관한 연구와 아시아 지역 무선기술의 사회적 행위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아라바 세이
미국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워싱턴 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옮긴이
김원용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
전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텍사스 주립대학교(오스틴) IC2 펠로우
성혜령
경기도 언론홍보 자문관
전 칼라짚테크놀로지 상무(U-사업본부장)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박사과정 수료(영상 커뮤니케이션 전공)
차례
역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글
머리말: 우리의 네트워크, 우리의 삶
1장 세계 무선통신의 확산
이동전화의 전 지구적 확산
이동전화의 지역적 확산
각 지역과 국가에서의 무선통신 기술의 확산
이동통신 데이터의 확산 추세
무선통신 기술의 보급률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
요약
보론 2004년 이후의 세계 이동통신 현황
이동통신의 국가별·지역별 확산 현황
세계 이동통신 기술 현황
2장 이동통신 사용자의 사회적 차별화: 연령, 성, 인종, 사회경제적 지위
연령 격차가 존재하는가?
이동통신에서의 성적 차이: 사회적 통념과 실제
모바일 세계에서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무선통신의 계급적 차원
인종과 문화 그리고 이동통신의 사용
요약
3장 일상생활에서의 통신과 이동성
일에서의 이동성
미세하게 조율되는(Micro-coordinated) 가족
사회성의 변화
개인적인 안전과 보안
이동통신 기기를 통한 공공 서비스
무선통신에서의 소비, 오락, 유행
불안한 세계에서의 이동통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공포
요약
4장 모바일 청년 문화
젊은이들 사이에서의 이동전화의 확산과 사용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청년 문화
자율성의 관리 대 안전
네트워크화된 사회성을 통한 또래집단의 구축
집단정체성의 출현
개인정체성의 강화와 유행의 형성
사람들을 위한 방향성이라는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프로젝트
엔터테인먼트, 게임 그리고 미디어
요약
5장 흐름의 공간, 시간을 초월한 시간 그리고 모바일 네트워크
6장 무선통신 언어
문자메시지 주고받기
문자메시지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으로
모바일 구술성
새로운 언어?
7장 모바일 시민사회: 사회운동과 정치권력 그리고 통신망
사회적 네트워크와 도시의 반란: 2001년, 필리핀의 피플 파워 Ⅱ
젊은 유권자를 투표하게 만들다: 2002년, 한국의 노사모와 정보기술의 힘
테러리즘, 정치 조작, 정치 시위 그리고 정치적 변화: 2004년, 스페인
고양이와 쥐 게임: 정치적 행동주의, 감시 그리고 2004년, 뉴욕 공화당 전당 대회에서의 무선기술
모바일 메시징 대 대중매체: 2003년, 중국 사스 위기 때의 정보 흐름 관리
정치적 민중? 무선통신이 사회적 동원을 제외한 모든 것에 사용되었을 때: 일본
결론: 무선통신과 반란 정치
8장 무선통신과 전 지구적 발전: 새로운 쟁점과 전략
발전과 통신에 대한 재고: 문제가 되는 쟁점
대안적 사용과 접속의 대안적 양식
아래로부터의 관찰: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사례 연구
요약
맺음말: 모바일 네트워크 사회
안전한 자율성
지속적인 연결성
선택의 네트워크
즉각적인 행위 공동체
개인 행위가 지닌 사회적 맥락의 흐려짐
개인적 가치의 근원이자 사회적 권리로서의 무선통신망에 대한 접근
사용자는 콘텐트와 서비스의 생산자다
소비자 중심주의, 유행, 도구성 그리고 의미
언어의 변형
통신 자율성, 정보망, 사회정치적 변화
무선 세상이 안고 있는 사회문제
이동통신과 네트워크 사회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으로
우리 인간의 모든 시간과 지구촌의 모든 공간이 구조적이고 역동적으로 달라지고 있다.
이동통신은 경제 생산 과정과 사회 조직, 개인의 삶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우리 생활에 다양한 흔적을 남기고 있다. 급격한 변화 속도는 우리가 무선통신 양식에서 비롯된 심오한 변화를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이동전화 모델이나 무선 인터넷 기능, 이동통신과 관련된 사회 문제에만 집착한 결과, 우리는 모든 시간과 공간을 아우르는 구조적이고 역동적인 사회 변화를 미처 생각하지 못하곤 한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전 세계를 포괄하는 독자적이고, 엄밀하며,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 우리는 네트워크 사회 이론으로 다시 돌아왔다. 이것은 이동통신의 보급이 10년 전의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 사회의 확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은 단순한 기술적 확산에 관한 것만은 아니며, 네트워크 사회 전체를 구성하는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변화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2006년 이후 모바일 네트워크 사회는 더욱 확장되고 있다. 아이폰 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새로운 3G 애플리케이션들로 인해 개인화와 사회적인 네트워킹 기능은 더욱 강화되었고, 모바일 사용자와 콘텐트 생산자 간의 경계도 한층 더 모호해졌다.
이 책에서 우리의 핵심 목적은 전 세계 다양한 지역의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개인 연구를 전 지구적 맥락 속에 나열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해야만 한국의 연구물과 같이 특정 사회의 연구 작업을 국적을 초월해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이동통신 연구자들의 학문 공동체를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_ “한국어판 서문” 중에서
관련기사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09년 11월 7일자 ‘한줄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