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제야 일본 문학의 정수를 독자 여러분에게 선보이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근현대 일본 작가 30명의 명작 단편 67편을 주제별로 엄선해 전 5권에 묶었다. 제1권 ‘인생을 말하다’, 제2권 ‘재난을 만나다’, 제3권 ‘근대를 살다’, 제4권 ‘동물과 교감하다’, 제5권 ‘광기에 빠지다’ 등으로 구분해 각 권에 13편 정도씩 담았으니 읽는 재미가 쏠쏠하리라고 확신한다. 각 권별 배열 순서는 대표 역자의 작품을 맨 앞에 두고 발표 연도순으로 배치해 각 시대의 흐름과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는 기존에 잘 알려진 명작도 포함되어 있고 새로이 소개하는 작품도 많다. 작품 선정은 이 분야 전문가인 역자들에게 일임하고 편집위원회에서 조정 및 보완 후 번역을 의뢰해, 일본 근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단편(소설 중심, 동화, 에세이, 평론 일부 포함) 명작이 망라되도록 배려했다.
이 <일본 명단편선>을 기획한 의도는 무엇보다도 국내의 일본 문학 소개가 몇몇 현대 인기 작가의 대중적 작품이나 추리 소설류에 편중되어 있다는 사실에 전문가로서 책임을 통감하기 때문이다. 우선 가장 기본적이고 우수한 일본 근현대의 맛깔나는 단편 명작을 다양하게 찾아, 전문가에 의한 번역과 적절한 작품 해설 및 작가 소개, 자상한 각주 등을 독자에게 제공할 필요성을 절감하는 한편으로, 지금의 독서 풍조에 보다 풍요롭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국내 독자들의 일본 문학에 대한 편식을 일깨우고 19세기 말 메이지 시대의 작품부터 다이쇼 시대와 쇼와 시대 전기, 그리고 전후의 작품까지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체계적 작품 읽기를 지향하는 것이 이번 기획의 주안이다. 특히 일본 근현대 문학사에서 위상에 비해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접하기 어려웠던 모리 오가이의 단편을 비롯해, 고다 로한, 이즈미 교카, 기타무라 도코쿠, 호리 다쓰오 등의 작품을 초역해서 게재한 데에도 큰 의의가 있다.
역자들은 대부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근대문학회에 참여한 이 분야의 전문가들로서, 동 대학원 일본 문학 전공 과정을 수료하고 대부분 국내 또는 일본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국내 여러 대학의 일어일문학 관련학과 교수 및 강사로 재직 중이다.
200자평
메이지부터 쇼와 전기까지, 일본 근현대를 대표하는 명작가들의 명단편을 모았다. 일본 근대 문학 전문가의 정확한 번역과 친절한 해설은 독자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격동하는 일본 개화기의 현장으로 안내할 것이다. 3권에서는 모리 오가이의 <한나절>를 비롯해 근대를 주제로 하는 열네 편의 작품을 소개한다.
지은이
모리 오가이(森鷗外, 1862∼1922)의 본명은 모리 린타로(森林太郎)로, 근대 일본의 대표적인 계몽기 지식인이자 근대 문학의 선각자다. 오가이(鷗外)는 도쿄대학(東京大學) 의학부 출신의 군의관으로 독일 유학(1884∼1888)을 가서 위생학 연구뿐만 아니라 서양 문학을 두루 섭렵했다. 1894년 가을, 1개월간 군의관으로 조선 부산에 체재하면서 남긴 일기 등도 있다. 동서양에 걸친 넓은 시야의 소유자로서, 동서양의 학문과 문학 일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 삼아 일본 근대 문학 초창기에 평론과 번역으로 근대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소설가·시인·학자로서도 여러 업적을 남겨 근대 문학 성숙기의 일본 문단에서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1867∼1916)와 쌍벽을 이루는 작가다.
오가이의 대표작은 일본 근대 최초의 번역 시집 ≪그림자(於母影, 오모카게)≫(1889)와 서양 문학 번역에 안데르센의 ≪즉흥시인≫(1892), 입센의 ≪노라(인형의 집)≫(1913), 괴테의 ≪파우스트≫(1913)가 있고, 단편 소설 <무희(舞姫)>(1890), <망상(妄想)>(1911), 장편 ≪청년≫(1910), ≪기러기(雁)≫(1911), 역사 소설 <아베 일족(阿部一族)>(1913), <산쇼 대부(山椒大夫)>(1915) <다카세부네(高瀬舟)>(1916), 역사 인물 전기 ≪시부에 추사이(渋江抽斎)≫(1916), 그리고 ≪시로 쓴 일기(うた日記)≫(1905)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면서 다방면에 걸쳐 활약했다.
오가이는 ‘서양에서 돌아온 보수주의자’답게 ‘동도서기(東道西器)’와 비슷한 소위 ‘화혼양재(和魂洋才)’로서 동서양에 대한 해박한 식견과 복안으로 서양의 장점을 배워 바람직한 일본 근대화의 방향을 모색했다.
옮긴이
유진우는 현재 동남보건대학교 관광일어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양어대학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 일어일문학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모리 오오가이(森鷗外)의 역사 소설 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가 있으며 저서로 ≪일본현대소설선독≫(제이앤씨, 2012), ≪문학, 일본의 문학−현대의 테마−≫(공저, 제이앤씨, 2012), 역서로 ≪가족이 있는 풍경≫(유이 타케지 지음, 도서출판 서당, 1990), ≪지(知)의 논리≫(공역, 경당, 2008), ≪모모도 선을 말하다≫(시게마츠 소이쿠 지음, 스타북스, 2016) 등이 있다.
차례
한나절(半日) 모리 오가이·유진우
괴짜 박사(ねじくり博士) 고다 로한·오성숙
처녀의 순결을 논하다(処女の純潔を論ず) 기타무라 도코쿠·이종환
두 줄기의 피(二筋の血) 이시카와 다쿠보쿠·박지영
비밀(秘密) 다니자키 준이치로·박은혜
빈 수레(空車) 모리 오가이·최재철
한 송이 포도(一房の葡萄) 아리시마 다케오·류리수
산사나이의 사월(山男の四月) 미야자와 겐지·심종숙
레몬(檸檬) 가지이 모토지로·최윤정
분배(分配) 시마자키 도손·국윤경
비색(秘色) 요코미쓰 리이치·강소영
다마강(多摩川) 하야시 후미코·김성은
현해탄 밀항(玄海灘密航) 김사량·허호
금주하는 마음(禁酒の心) 다자이 오사무·이지현
편집위원의 말 최재철
책속으로
만일 또 정신에 이상이 생긴 게 아니라고 한다면 심리상으로 이 여자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효라고 하는 고정 관념이 있는 나라에서 남편에게 시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저런 식으로 말하며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여자가 어떻게 있을 수 있다는 것인가. 서양 사상에서도 어머니라는 사람은 신성한 대상으로 여기고 있으니까 남편한테 대고 시어머니를 모욕해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여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동서양의 역사는 물론이고 소설을 보아도 각본을 보아도 내 아내 같은 여자는 없다. 이것도 모든 평가 기준이 달라진 요즘 시대 특유의 산물일지 모르겠지만.
모리 오가이, <한나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