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사(詞), 가장 정적인 감정 문학
문학은 인류의 삶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사실이든 가공이든, 그리고 설사 가공된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인간과 세상을 기초로 그들과 그곳의 이야기를 토로하기에 충분하다. 중국 문학 역시 오랜 시간 중국이라는 공간에서 살았던 이들의 정서와 모습을 여러 형식을 통해 드러낸다. 시(詩)는 시대로, 사(詞)는 사대로, 곡(曲)은 곡대로, 소설(小說)이나 산문(散文)은 소설이나 산문대로, 각각의 특징을 발휘하며 그들을 위로했고, 받아 주고 다독였다. 그런데 특히 이 중 사 문학(詞文學)은 중국의 문학 형식 중 가장 정적인 감정 문학이다. 중국 역대의 문인들은 각각의 형식에 맞추어 공개해야 할 자신들의 내면을 구분하고 그 표현의 수위와 정도를 조절했는데, 사 문학에는 아무에게나 그리고 아무 곳에서나 보일 수 없는 은밀한 감정과 속내가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시에는 정면에서 객관적으로 평가받는 시인(詩人)으로서의 심정을 노출했다면, 사에는 가려진 이면에 잠재된 사인(詞人)의 진심을 노출했다.
안수, 송사(宋詞)의 전범을 제시하다
사는 만당(晩唐)과 오대(五代) 때, 전문적인 문인사(文人詞)를 시작으로 송대(宋代)에 절정을 이루었다. 흔히 언급하는 ‘송사(宋詞)’라는 표현은 이를 정확히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송대에 그 절정의 토대를 구비한 사인이 바로 안수(晏殊)다. 안수는 10대에 이미 천재성을 인정받아 관직에 진입했고 평생 별다른 굴곡 없이 평탄하게 관로를 완주했다. 그래서 그의 사 문학 역시 사회 고발이나 정치 풍자가 아닌 성대하게 잘 차린 연회에서 마음껏 잘 마시고 잘 즐기는 내용, 그리고 장수하며 이를 오랫동안 누리고 싶다는 소망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냉정히 보자면, 주제 의식은 부족한 편이다. 그러나 안수의 사가 송사의 전범으로 제시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함축을 기반으로 하는 완약사(婉約詞)의 표본
오로지 감동만을 장착한 채 시종일관 작가가 구성한 깊은 심해에서 강한 감격으로 독자를 환호하게 하는 것도 수작이지만, 요동치는 감동은 아니더라도 절제와 함축으로 일관된 절도 있는 모습으로 독자에게 다가가는 것도 수작이다. 안수는 만당·오대의 화간사풍(花間詞風)을 이어, 북송의 사체(詞體) 중 특히 소령(小令)의 모범을 형성했다. 그 사의(詞意)의 중의성은 고도의 문학적 함축으로, 이 때문에 안수의 사를 세련된 소령의 모범으로 추대한다. 그리고 이는 중국 문학 중 최고의 감성 문학인 사 문학의 토대를 구축한 안수의 공로이며, 그 사 문학의 가치다. 안수가 이룩한 ‘함축을 기반으로 하는 완약사(婉約詞)의 표본’은 완약을 종주로 하는 사 문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안수는 1만 수가 넘는 사를 지었으나 현재는 <<주옥사>>에 수록된 136수만이 전한다. 이 책에는 판본별로 차이를 보내는 작품들까지 모두 소개해 총 140수를 수록했다. 중국 시 문학에 관심을 가진 독자, 특히 송사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꼭 읽어야 할 작품이다.
200자평
북송(北宋)의 대표 사인(詞人) 안수(晏殊)의 사(詞)를 국내 최초로 번역 소개한다. 만당과 오대 시기에 ‘문인사(文人詞)’로 시작한 사 문학(詞文學)은 북송 시기 만개해 송나라를 대표하는 문학 형식이 되어 ‘송사(宋詞)’로 불렸다. 이 송사의 토대를 쌓은 것이 바로 안수다. 그는 만당과 오대 시기의 화간사풍을 이어 함축을 기반으로 하는 완약사(婉約詞)의 표본을 이룩했다. 그의 사는 주로 개인적인 즐거움과 소망을 노래했기에 내용 면에서는 육유의 애국사나 소식의 호방사 등에 비해 주제 의식이 부족하지만 표현 면에서는 사어의 중의성을 활용한 고도의 문학적 함축으로 세련미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개인의 감성을 중시하는 사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 주는 작품들이다.
지은이
안수(晏殊, 991∼1055)는 자(字)가 동숙(同叔)이고, 무주(撫州) 임천[臨川, 지금의 장시성(江西省) 진셴현(進賢縣)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이름을 떨치며 7세 때 이미 시문(詩文)에 능했다. 14세 때, 당시 강남안무(江南按撫)였던 장지백(張知白)이 그의 명성을 듣고 경덕(景德) 원년(1004)에 조정에 천거했으며, 이에 경덕 2년인 1005년에 사동진사(賜同進士 : 진사와 동급으로 인정해 주는 제도)를 통해 비서정자(祕書正字)에 임명되었다. 이후에 태자사인(太子舍人)·지제고(知制誥)·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했고, 세심하고 사려 깊은 성품으로 진종(眞宗)에게 무한한 신임을 얻었다. 인종(仁宗)이 즉위한 후, 유 태후(劉太后)에게 수렴청정을 건의하며 요직에 임명되었고, 인종에게 《역(易)》을 강의했다. 그 후에도 추밀부사(樞密副使)까지 승진 가도를 달리다가 유 태후의 심기를 건드리면서 응천부(應天府)의 지부(知府)로 좌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인종이 친정(親政)을 한 후에는 다시 인종의 깊은 총애를 받아 관직이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동평장사 겸 추밀사(同平章事兼樞密使)에까지 이르렀고, 무주 출신의 첫 번째 재상이 되었다. 범중엄(范仲淹, 989∼1052)·부필(富弼, 1004∼1083)·구양수(歐陽修, 1007∼1072)·왕안석(王安石, 1021∼1086) 등과 같은 북송 시기의 명사들이 한때 안수의 문하에서 대량으로 배출되었는데, 당시 그의 세력이나 영향력과 무관하지 않다. 만년에는 진주(陳州)·허주(許州) 등지의 지주(知州)를 지냈다. 또한 임치공(臨淄公)에 봉해지기도 했다.
안수는 평생 비교적 순탄한 관로를 거치며 부귀한 생활을 누렸다. 지화(至和) 2년인 1055년에 향년 65세로 수도인 개봉(開封)에서 병사(病死)했다. 사공 겸 시중(司空兼侍中)으로 추증(追贈)되었으며, 시호(諡號)는 원헌(元獻)이다.
안수는 문학 창작에서 시(詩)·사(詞)·문(文) 등 다방면으로 두각을 드러냈다. 《동도사략(東都事略)》에 따르면 안수의 《문집(文集)》은 240권이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모두 산일(散佚)되고 전하지 않는다. 그는 서법(書法)에도 능했는데, 특히 사작(詞作)에 출중해 ‘재상사인(宰相詞人)’이라고 일컫는다. 안수는 일생 만여 수의 사를 썼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는 《주옥사(珠玉詞)》 3권에 136수의 작품만이 전할 뿐이다. 이외에도 오늘날 백과사전에 해당하는 《유요(類要)》를 편찬했지만 대부분 전하지 않고, 그 잔본과 《안원헌유문(晏元獻遺文)》만이 전한다.
안수 사의 풍격은 만당(晩唐)과 오대(五代)의 완약(婉約) 풍격, 특히 남당(南唐)의 사풍(詞風)을 계승했다. 형식은 소령(小令)이 대부분이고 내용이 단조로움에도 불구하고, 그 풍격이 특히 ‘함축완려(含蓄婉麗)’하다. 그의 사풍은 북송(北宋) 초기 사단(詞壇)에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안수는 강직한 성격을 소유했으나 이에 반해 그의 사어(詞語)는 대단히 유려하고 정연하다. 중국 문학사에서 당시의 구양수와 함께 ‘안(晏)·구(歐)’로 병칭하며 ‘북송 사인의 시조(北宋倚聲家初祖)’로 추앙되는데, 세간에서도 북송 시기 영사(令詞)의 대가로 불린다. 이외에도 북송 화간(花間)사풍의 종결자인 그의 일곱째 아들 안기도(晏幾道, 1038∼1110)와 ‘이안(二晏)’ 또는 각각 ‘대안(大晏)’과 ‘소안(小晏)’으로 불리며 북송 당시 소령의 유업을 전승한 가문으로 인정받고 있다.
옮긴이
윤혜지는 국립 타이완사범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외래교수를 거쳐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 연구소의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고대 여성 작가의 서호시사〉(2023)·〈중국 산동 지역 여성 작가 시 고찰〉(2022)·〈《옥대신영》에 수록된 여성 작가 정한시 고찰〉(2021)·〈청대 여시인 서소화의 《서도강시》 제재 고찰〉(2021)·〈원대 문언 필기 소설 《춘몽록》 속 창화시사 시탐〉(2020)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중국의 고전 시가를 위주로 연구하며, 고대 중국의 여성 문학 분야에서도 심도 있는 연구를 이어 가고 있다.
홍병혜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배화여자대학교의 겸임교수와 단국대학교의 외래교수를 거쳐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 통번역학과와 KFLT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남송 시기의 소외 사문학〉(2023)·〈발로와 위로의 가치, 팝으로써의 송대 유영 사〉(2022)·〈당송사 유파 형성의 알고리즘〉(2022)·〈이주 사의 망국 감성〉(2021)·〈화간사인들의 절대감성〉(2021) 등 중국 사 문학과 관련한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사 문학 속에 내재한 사인들의 감성에 주목해 사 문학의 감성을 조명하는 데에 관심을 가지며,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차례
1. 밝은 달은 고통스러운 이별의 원망을 알지 못하고
2. 좋은 꿈속의 그대를 찾을 길이 없다네
3. 돌이켜 보니 지금은 반도 남아 있지 않네
4. 삶은 일장춘몽과 같으니 길어야 얼마나 길겠는가
5. 오직 그리움만은 끝이 없네
6. 석양은 서쪽으로 지는데 언제쯤 돌아오시려나
7. 늘 이별로 인해 쉽사리 마음 상하네
8. 평생의 뜻을 다 적어 놓았네
9. 가을바람이 소슬히 불어
10. 그대는 천만 가지로 얽힌 시름을 견디며
11. 엄화 계곡 곁에 채색한 배를 세우니
12. 수천만 번 그리워 되돌아보네
13. 작은 길에는 붉은 꽃이 드물어지고
14. 하늘 끝 땅끝까지 그를 찾는 내 그리움만이 남았다네
15. 그때 쉽게 그대와 이별했으니
16. 이 밤 술에 취함을 사양하지 말기를
17. 어찌 다 세세히 전할 수 있을까
18. 이렇게 흘러갈 뿐이네
19. 이 마음 천 겹 만 겹
20. 지난해의 오늘을 떠올리니
21. 해는 길고 버들 솜은 가볍게 날리는 때
22. 모란꽃 요염한 모습은 천금의 가치라네
23. 누구를 위해 초췌해지고 얼굴빛을 잃어 가는지
24. 작은 병풍 펴고 수놓은 주렴은 내려야겠네
25. 푸른 잎과 붉은 꽃은 새벽안개 속에서 아름다운데
26. 잠시 머물던 이 말을 타고 돌아가자고 연회 자리를 재촉하네
27. 가는 비와 안개 머금은 버들잎이 우리의 마음을 이어 주네
28. 저녁녘 화장한 얼굴이 연꽃보다 아름답네
29. 몇 번의 성긴 비가 둥근 연잎에 떨어졌을까
30. 이 순간 그때의 풍류를 후회하네
31. 작고 가벼운 배는 마음대로 떠다니네
32. 잠시 눈물을 흘리고는 그립다고 말하네
33. 우리의 삶 속에 이별이 얼마나 많은가
34. 봄이 올 것을 기약하네
35. 즐거운 분위기가 봄과 같네
36. 이러한 정을 누가 알겠는가
37. 서로 바라보며 술 앞에서 취함을 슬퍼하지 말게나
38. 산이 높고 물이 깊어 어디로 보내야 할는지
39. 한 곡 한 곡의 노랫소리가 옥구슬을 꿴 듯하네
40. 남은 것은 눈에 가득한 그리움뿐이네
41. 그저 이렇게 부질없이 초췌해져 갈 뿐이네
42. 도처에서 새로움이 돋아나네
43. 인생에서 마시지 않으면 무엇을 하겠는가
44. 세월은 머물지를 않는다네
45. 살면서 몇 번이나 높은 관직에 오르겠는가
46. 누가 알겠는가? 서로 떨어져 바람 앞의 달 아래에 있을 줄을
47. 날아가는 원앙에 의탁해 보네
48. 꿈속의 하루살이 같은 삶에 애간장이 끊어지네
49. 눈에 가득한 봄날의 수심을 누구에게 말해야 할까
50. 삶에서 즐거운 일 얼마나 많은가
51. 자홍색의 꽃이 석양에 밝게 빛나네
52. 제비가 들보로 돌아오기만을 헛되이 기다리네
53. 봄 적삼에 눈물 흘리며 마신 술은 쉽게 깨네
54. 햇볕 따스한 춘삼월은 꽃향기가 가득해
55. 천수 누리기를 축원하네
56. 함께 황제가 장수하기를 기원하네
57. 뜰의 나무에는 차가운 매화가 남아 있네
58. 천수 다하기를 기원하네
59. 고금 이래로 꿈처럼 헛됨을 보시기를
60. 잠들지 못한 밤이 얼마인지
61. 간직했다 마음속 그 사람에게 주세요
62. 붉은 가지 하나에 애간장 끊어지네
63. 꼭 젊었던 시절과 같네
64. 좋은 날을 축하하고 새해를 맞이하네
65. 봄빛이 막 돌아오니
66. 봄을 잠시 잡아 두시게
67. 술잔에 술을 비게 하지 마시길
68. 좋은 술 한잔을 누구와 함께 마실까
69. 눈에는 눈물이 가득해 말로는 다 할 수 없네
70. 월궁을 향해 천수를 기원하네
71. 젊음이 오래도록 변함없기를
72. 비파 소리 급해지고 붉고 옥 같은 팔도 따라 움직이네
73. 늘 이러한 마음을 말해도 다하질 못하네
74. 지나가는 세월 늘 짧기만 한 것을
75. 마음속의 그녀를 가지 말라고 만류하네
76. 마음속의 근심은 끝이 없네
77. 향기로운 누각에서 깊이 잠든 그대를 원망하는데
78. 그저 그리워할 뿐이라네
79. 부귀와 장수를 기원하네
80. 해마다 오래도록 새롭기를 바라네
81. 봄바람과 함께하기를
82. 그리움이 끝이 없네
83. 소나무처럼 천수 다하기를 기원하네
84. 끝없이 살기를 기원하네
85. 이 아름다움을 모두 그려 내지 못해
86. 꿈속에서도 늘 날아가 버리네
87. 경사스러운 날에 사람들의 바람이 얼마나 많은지
88. 신선으로부터 천수를 하사받았네
89. 아침 꽃과 저녁달을 보면서 오래도록 그리워하네
90. 어찌 지나가는 사람을 붙잡을 수 있을까
91. 인생 만사가 언젠가는 끝난다는 것이라네
92. 누가 기녀를 불러 맛있는 술을 마시는가
93. 꽃과 잎처럼 오래도록 서로 바라보기를
94. 마치 신선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 같네
95. 연잎에 연밥이 이미 보이네
96. 꽃술은 다 꺾여도 연 줄기는 계속 남네
97. 붉은 얼굴은 젊음에만 어울리나요
98. 붉은 뺨에 그리움으로 눈물이 흐르네
99. 고개 돌려 돌아가려 하나 마음이 흔들리네
100. 서쪽 연못에서 밤마다 바람과 이슬을 맞는다네
101. 말 없는 모습은 오래도록 그리워하는 것이라네
102. 붉은 얼굴 어찌 옛날과 같겠는가
103. 가을 강 언덕에 다 떨어지는 것보다 나으니
104. 애석하구나! 달은 밝고 이슬과 바람은 좋은데
105. 그 아름다움을 세상 사람들과 감상하네
106. 붉은 매화 눈 내린 가지 위에서 드러나네
107. 기쁘게 마시며 즐기네
108. 만수무강을 축원하네
109. 태평성대이니 임금의 은혜를 받들어야 하네
110. 사람들이 모두 부귀와 장수를 기원하네
111. 장수를 축원하네
112. 거북이 학 소나무처럼 오래오래 살며
113. 종남산의 신선처럼 오래 살길 기원하네
114. 더미 중에 이미 새로운 연꽃이 피었다네
115. 붉은 주렴 친 밤에 달빛만 몽롱하네
116. 해마다 오늘처럼 경사스럽길 기원하네
117. 장수를 바라며 술잔을 올린다네
118. 옥술잔 앞에서 깊이 취한들 어떠하리
119. 세상에 이런 꽃은 없다네
120. 가을꽃 중에 최고는 황금빛 규화
121. 사람들은 모두가 노란 규화가 단아하다고 말하지만
122. 사람 사이의 정은 오래 견뎌야 하지만
123. 다투어 젊음이 오래기를 바라네
124. 이대로 잠들지 못해도 좋으리
125. 지는 꽃을 어찌하랴
126. 사람의 마음을 천 갈래로 끌어당기네
127. 남은 것은 차가운 술과 식은 음식뿐이니 허무한 마음을 애써 감추네
128. 두 사람 서로 그리워만 하겠지
129. 서리 맞은 연꽃 한 송이 가을 색이 더해 가는데
130. 섬돌 가 붉은 연꽃에
131. 곳곳의 버들과 꽃향기 소매에 가득하네
132. 눈앞에 선명한 꽃향기 아쉽기만 하네
133. 약속대로 숲속에 앉아 석양을 바라보네
134. 이러한 좋은 만남이 오래기를 바란다네
135. 신선처럼 오래 살길 바라네
136. 그대와 만난 것이 가장 마음 아픈 일이 되었네
137. 어찌 사람들은 늘 이별해야 하는지
138. 해마다 오늘 같기를 바라네
139. 영원히 자유롭게 도를 받들기를 바라네
140. 오직 그리움만은 끝이 없네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1. 밝은 달은 고통스러운 이별의 원망을 알지 못하고
난간 옆의 국화는 수심에 차 있고 안개에 싸인 난초에는 눈물 흘리듯 이슬이 맺혀 있는데,
비단 장막으로는 가벼운 한기가 스며들고,
제비는 쌍쌍이 날아가네.
밝은 달은 고통스러운 이별의 원망을 알지 못하고,
새벽이 되자 달빛이 비스듬히 붉은 문에 이르네.
어젯밤 가을바람에 푸른 잎 떨어지니,
홀로 높은 누대에 올라,
하늘 끝까지 바라보네.
고운 편지 부치고 싶지만,
산길은 멀고 물길은 넓어 그대 있는 곳이 어디인 줄 알겠는가?
蝶戀花
檻菊愁煙蘭泣露, 羅幕輕寒, 燕子雙飛去. 明月不諳離恨苦, 斜光到曉穿朱戶.
昨夜西風凋碧樹, 獨上高樓, 望盡天涯路. 欲寄彩箋兼尺素, 山長水闊知何處.
33. 우리의 삶 속에 이별이 얼마나 많은가
변새의 기러기는 높이 날고,
이슬은 충만하며,
가을로 접어들자 은하가 맑네.
좋은 객을 만나서,
수심이 사라졌는데,
이러한 때가 얼마나 가겠는가?
쟁을 연주하는 이,
비단 소매가 부드럽고,
화려한 대청에서는 단판 소리가 울리네.
취할 때까지 마셔야 하니,
사양하지 말기를,
우리의 삶 속에 이별이 얼마나 많은가?
更漏子
塞鴻高, 仙露滿, 秋入銀河淸淺. 逢好客, 且開眉, 盛年能幾時.
寶箏調, 羅袖軟, 拍碎畫堂檀板. 須盡醉, 莫推辭, 人生多別離.
50. 삶에서 즐거운 일 얼마나 많은가
앵두가 떨어지고 배꽃이 피니,
붉고 흰 꽃들이 서로 다투어 피네.
제비가 돌아오자,
여기저기서 주렴이 흔들리고 수놓은 창이 열리네.
삶에서 즐거운 일 얼마나 많은가?
금술잔에 술을 따르네.
악기 소리는 애달프게,
춤추는 기녀의 휘감기는 소맷자락을 천천히 이끈다네.
采桑子
櫻桃謝了梨花發, 紅白相催. 燕子歸來, 幾處風簾繡戶開.
人生樂事知多少, 且酌金杯. 管咽弦哀, 慢引蕭娘舞袖回.
84. 끝없이 살기를 기원하네
야외에 천막을 친 연회가 사치스럽고,
가기들은 홍아 판을 들고 노래하네.
술에 취했다 깨고 다시 마시고 취하는데,
머리 가득 비스듬히 꽃을 꽂았네.
수레에 술을 한껏 실었지만,
담비 가죽 풀어 다시 술을 사니,
번화로움이 끝이 없네.
자손들이 번성하고,
집안이 창성해,
끝없이 살기를 기원하네.
訴衷情
幕天席地鬥豪奢, 歌妓捧紅牙. 從他醉醒醒醉, 斜插滿頭花.
車載酒, 解貂貰, 盡繁華. 兒孫賢俊, 家道荣昌, 祝壽無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