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한국고전소설사 데이터베이스
자료 수집 25년, 집필 기간 5년, 편집 기간 3년, 본책 69권, 부록 4권.
1145년부터 1930년대까지, 삼국시대 이래 이 땅에서 나고 사라진 모든 고전소설의 역사적 자료 집대성이다. 총 309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중 연구 전이거나 발굴조차 되지 못한 작품이 1965편에 이른다.
연구가 이루어진 1028편에는 작품해설, 다른 이름, 작자, 작품연대, 판본연대, 참고자료, 관계기록, 회목, 줄거리, 등장인물, 비교연구, 원전자료, 연구논저, 이본연구, 이본목록, 이본도록 등 확인된 모든 연구자료를 총망라해 실었다.
사전의 틀을 갖춤으로써 종류별 분책이던 이전 자료집의 불편을 해소한다. 연구자들이 흩어진 자료를 찾아다니고, 이전 연구업적을 모른 채 똑같은 연구를 반복하던 문제가 해결됐다. 117년 고전소설사 연구 업적을 이 책 한 권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최신 연구 자료까지 모두 수록했다. 편집 기간에도 발굴되는 최신 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최신의 고전소설 자료집이다. 학계와 연구자에게 새로운 연구 환경을 제시한다.
필사본과 판각본을 촬영한 5977건의 도판을 수록했다. 국내 그 어떤 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는 원전 사진이다. 개인과 기관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촬영했다. 1000년 고서체의 현주소다. 한글 서체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971편의 줄거리, 3만8709명의 등장인물이 소개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 한국형 캐릭터 개발, 지역 문화를 홍보할 고유 인물, 다양한 창작 활동에 영감을 제공하는 상상력의 바탕이 될 것이다.
200자평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지은이
조희웅은 대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졌다. 수업이 없는 시간엔 도서관에서 고전소설을 뒤적이면서 보냈다. 그로부터 60년을 한결같이 고전소설과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어려운 조건도 받아들였다. 전국의 고문헌 도서관과 연구소의 자료를 섭렵했다. 희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이 있다면 어디든 마다않고 달려가 자료를 얻어내고 사진을 찍었다. 교수직을 퇴직한지 10년, 요즘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한다.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 1971), ≪조웅전≫(1978),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 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 2002), ≪영남 구전자료집 1-8≫(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2≫(공편, 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2006),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전 25책)≫(2012) 등 80여 권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국생전(麴生傳)
국선생전(麴先生傳)
국성전(麴聖傳)
국소저전
국수재전(麴秀才傳) ①
국수재전(麴秀才傳) ②
국순전(麴醇傳)
국청전(麴淸傳)
군자영숙여전(君子迎淑女傳)
굴승전(屈乘傳)
굴원전(屈原傳)
굿시하간전
궁수재사혼부가
권경채전
권률장군전(權慄將軍傳)
권선동전(權仙童傳)
권신랑전(權新郞傳)
권용선전(權龍仙傳)
권용성전(權龍星傳)
권익중실기(權益重實記)
권익중전(權益重傳)
권장군전(權將軍傳)
권장자전(權長者傳)
권저주전
권진사전(權進士傳)
권홍낭전
권홍양인전
귀매(鬼魅)
귀여아전
귀영전
귀전(鬼傳)
귀전(龜傳)
규문고사(閨門古史)
규중낭자전(閨中娘子傳)
규중담화(閨中談話)
규중문어(閨中門語)
규중칠우공론(閨中七友公論)
규중칠우쟁론기(閨中七友爭論記)
규중한화(閨中閑話)
규중화담(閨中話談)
규한록(閨恨錄)
규합록(閨閤錄)
그 아내
금강공주전(金剛公主傳)
≪금강유산기(金剛遊山記)≫
금강취류
금강취유(기)[金剛聚遊(記)]
금강탄유록(金剛誕游錄)
금고기관(今古奇觀)
금광공주전
금낭이산(金囊二山)
금대옥환전(金帶玉環傳)
금대환전(金帶環傳)
금덕전
금도야지전[金猪傳]
금독전(金犢傳)
금동전(金童傳)
금돼지전[金猪傳]
금령전(金鈴傳)
금명산쌍연기
금목토초상화
금무전
금방울전
금봉난옥기
금봉채기(金鳳釵記)
금봉회봉
책속으로
국성전(麴聖傳)
단편. ‘국성’의 전기. ‘술’을 의인화한 가전 작품으로, 국성(술)의 인품과, 행적, 능력 등을 비교적 세밀히 서술함으로써, 술에 대한 작자의 긍정적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30쪽
국순전(麴醇傳)
단편. 국순(‘술’의 의인)의 전기. ‘술’을 의인한 작품. 위·진 시대의 처사였던 국순은, 진나라 후주 때 등용되어 권력을 휘두르게 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더럽다고 여겨짐에 스스로 사퇴하였다가 병사한다. -54쪽
금방울전
중장편. 막씨(莫氏)가 죽은 남편과 교정(交情)하여 낳은 ‘금방울’의 전기. 장해룡은 아버지 장원이 동해용왕의 아들을 구출해 준 보답으로 얻게 된 아들이다. 한편 과부 막씨는 남편의 영혼과 교접하여 금방울을 낳는다. 어린 해룡은 내란이 일어나 피란 중에 부모와 헤어지고 장삼에게 거두어져 양육되는데, 양모 변씨의 박해를 받다 못해 가출한다. 도중 금방울을 만나 그의 인도와 협조를 받아 요괴에게 납치된 공주를 구출하고, 공주와 혼인한 뒤 다시 탈을 벗고 인간으로 된 금방울과 혼인하여 모두 영화를 누리다가 승천한다. -306쪽